향교와 서원(39)
-
軍威鄕校(군위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 629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85호 [군위향교 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涵德堂(함덕당) 현판] [涵德堂(함덕당) 전경] 군위향교 앞에 자리하고 있는 유림회관 함덕당은 유림들의 학문연구와 여가선용을 위한 휴식처제공 뿐 아니라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忠孝(충효) 및 전통예절교육의 장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합니다. [軍威鄕校(군위향교)] 태종 7년(1407)에 賢儒(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선조 40년(1607) 당시 영의정이었던 柳成龍(류성룡)과 이 고을 출신 학자 李五峯(이오봉)이 풍수지리를 잘 아는 승려 聖智(성지)를 보내어 새로 터를 잡아 船放山(선방산) 남쪽 기슭인 쇠똥..
2017.12.11 -
陽山書院(양산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296 [陽山書院(양산서원) 전경] 조선시대의 서원. 부림 홍씨의 세거지로서 고려 말의 문신 洪魯(홍노, 1366~1392년), 조선 전기의 문신 洪貴達(홍귀달, 1438~1504년)과 洪彦忠(홍언충, 1473~1508년)을 배향하고 있다. [陽山書院(양산서원) 표지석과 挹淸樓(읍청루) 전경] 충절과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분 선생의 靈位(영위)를 봉안한 廟宇(묘우)를 비롯하여 유생 강학을 위한 興敎堂(흥교당)을 중심으로 立懦齋(입나재), 求仁齋(구인재), 挹淸樓(읍청루), 半畝塘(반무당) 등의 부속 건축물로 그 규모가 방대하였으나, 1868년 高宗(고종) 5년 조정의 서원 철폐령으로 묘우를 비롯한 전 건물이 毁撤(훼철)되는 비운을 겪었다. [안내판 글 내용] [挹..
2017.10.26 -
龜岡書院(구강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679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88호 [구강서원 전제 모습] 문이 잠기어져 있어서 안을 들어갈 수 없기에 밖에서 찍은 사진으로 만족할 수 밖에 없었다. 바로 옆에 살림집이 있으나, 굵게 뚝 뚝 떨어지는 빗방울 곡식 거두기에 더 바쁘신것 같아 여쭈어 볼 시간도 죄송스러워 말 한마디 붙여보지 못하였다. 짝꿍이 멀리서 찍은 전체사진 속엔 한낮의 더위에도 불구하고 담에 붙어 예쁘게 핀 들꽃을접사로 찍기 위해 쪼그러 앉은 나의 뒤모습이 담기어져 있네요. ㅎㅎㅎ 그러나 접사 찍기는 실패로 돌아갔음. 새로운 디카에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ㅠ.ㅠ [안내판 글 내용] [龜岡書院(구강서원)] 이 서원은 조선 고종 8년(1871)에 철거되었다가 광무 8년(1904)에 다시 세워졌..
2016.03.09 -
청도 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교촌리 48 경북유형문화재 제207호 [안내판 글 내용] [청도 향교 일각문] 1985년 10월 15일 경상북도유형문화제 제207호로 지정되었다. [향교 삼문] 1568년(선조 1)에 군수 이선경이 고평동에 세웠다가 1626년(인조 4)에 합천동으로 옮겼으며, 1734년(영조 10)에 화양읍 교촌리로 다시 이전하였다. 대성전과 동. 서무, 내삼문, 명륜당, 동. 서재, 思樂樓(사락루) 등 8동의 건물이 있다. [明倫堂(명륜당) 현판] [明倫堂(명륜당)] 명륜당은 이익공계 집이며, 사락루는 2층의 누각 건물로 아래층에 출입문이 나 있다. 조선 선조 1년(1568)에 고평동에 세웠던 것을 영조 10년(1734)에 지금의 자리에 옮겨 지었으며, 일명 華陽鄕校(화양향교)라고도 ..
2016.01.26 -
영주 伊山書院(이산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내림리 기념물 제 166호 [伊山書院(이산서원) 전경] 영주의 첫 서원으로 명종 13년(1558)에 군수 안상이 창건하였으며, 선조 5년(1572) 사당을 세워, 이황의 위패를 봉안, 선조 7년(1574)에 사액을 받았다.(도산서원과 같은 해임) 앗 나의 실수 가방에 넣었다 꺼냈다 하는 사이에 p에 맞춰있어하는데, s에 맞춰져 있는것을 모른채 사진을 찍었기에.... 사진이 허옇게 나왔네요...ㅠ.ㅠ 다시 가서 담아 올 수 없으니 마음에 들진 않지만.. 그냥 올립니다. [伊山書院(이산서원)] 예로부터 영주는 문예를 숭상하는 기운이 높았던 곳으로, 이곳 이산리에는 선비양성을 위한 기금이 약간 마련되어 있었으나, 館舍(관사)가 없어서 선비들이 모일 장소가 없었다. [안내판 전..
2015.12.29 -
영주 汚溪書院(오계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천본리 55-1 문화재자료 제 475호 [서원 입구를 지키는 수문목] 주차를 해 놓고 지나온 길을 뒤돌아보니 하늘 높은 줄 모르고 하늘에 닿으려 뻗어나간 서너그루의 소나무 제 눈에는 꼬옥 예전 문을 지키던 守門將(수문장)처럼 오계서원을 지켜주는 守門木(수문목) 같아 보였습니다. [汚溪書院(오계서원)과 관리사 전경] 선조 3년(1570) 艮齋(간재) 李德弘(이덕홍, 154~1596)이 학문연마와 심신수련을 위해 건립한 '오계정사' 후신이라 합니다. 여러차례 이건과 중건을 거쳤다 하구요. [汚溪書院(오계서원) 전경] 사림의 공론으로 현종 6년(1665) 道存祠(도재사)를 建立(건립)하고 艮齋 先生(간재 선생)의 位牌(위패)를 奉安(봉안)한 후 1692년 迂溪書院(오계서원)으..
2015.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