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와 서원(39)
-
전북 武城書院(무성서원)
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 사적 제166호 [무성서원 안내팻말과 무성서원 입구 홍살문 전경] 무성서원은 崔致遠(최치원)의 덕행과 학문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곳이다. [무성서원 입구 홍살문] 신라말 정강왕 1년 태산군수(태인)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푼 고운 최치원을 모신 生祠堂(생사당)인 泰山祠(태산사)가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오랜 전통을 간직한 서원이다. 生祠堂(생사당):생존해 있는 사람을 모시는 사당 [홍살문쪽에서 담은 무성서원 전경] 본래 명칭은 태산서원이었으나 1696년(숙종 22년) 賜額(사액)을 받아 武城書院(무성서원)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홍살문 앞 우측 高直舍(고직사)] 고려 말 쇠약해졌다가 성종 14년(1483) 丁克仁(정극인)이 세운 鄕學堂(향학당)이 있던 지금의 자..
2019.04.08 -
군위 松湖書院(송호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외량리 [松湖書院(송호서원) 표지석] 참 이상한 현상 하나. 네이버에서는 주소 검색 하면 군위 송호서원이 나오는데... 왜 이곳에서는 주소를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 서원앞 '송한지'는 주소 검색에 나오는데, '송한지'가 서원보다 더 유명하다는건가? 아님 더 중요하다는건가? 그도 저도 아니면 연꽃으로 유명한 '송한지'가 더 널리 알려져서인지.. 암튼 좀은 야릇하다. 그나 저나 난 '송한지'는 스쳐지나치고 내게 더 중요한 '송호서원'만 담고 돌아왔다.^^ 연꽃철이여서 연꽃이 피어있었다면 지나치지 못하고 담아왔겠지요. ㅎ [松湖書院(송호서원) 전경] 지은지 얼마 되지 않은듯 반듯하고 깨끗한 서원의 모습이 어색해 보였다. 고택이나, 서원, 서당 등 문화재로 등록된 건물은 복원..
2019.03.26 -
崇德殿(숭덕전)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77 [좌측 옆에서 담은 숭성각 전경] 알영정을 둘러 본 후 대나무숲길을 따라 걸어 숭성각으로 ... 오릉에 오셨다면 이곳까지 둘러보시고 가야겠지요. [崇聖閣(숭성각) 현판] [정면에서 담은 崇聖閣(숭성각) 전경]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제사를 모시는 곳으로 '五陵(오릉)' 남쪽에 있다. [숭성각 앞쪽 숭덕전 안내판 글 내용] 숭덕전은 신라 시조 박혁거세왕의 제사를 모시기 위한 건물이다. 조선 세종 11년(1429)에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탔다. 선조 34년(1601)과 광해군 10년(1618)에 다시 지었고 숙종 30년(1704)에 고쳐지었다. 경종 3년(1723) 숭덕전이라 편액을 걸었는데, 지금의 모습은 영조 11년(1735)에 고친 것이다. 홍살문 안쪽으로 영숭문과..
2019.02.14 -
慶州鄕校(경주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慶州鄕校(경주향교) 외삼문] 원래는 이곳을 통하여 향교로 들어가야하지만, 이곳은 향교의 큰 행사나 있을 때 열리는 곳이구요. 우측길 향교 담을 따라 걷다가 담이 꺾어지는 쪽으로 가면 또 다른 향교의 문이 있다. 이 문은 항상 개방되어 있으니 향교를 가시려면 이곳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경주향교 표석비] [慶州鄕校(경주향교) 현판] [慶州鄕校(경주향교) 출입문] [경주향교 배치도] [경주향교 안내글 내용] [향교 출입문에서 담은 전경] 일각문을 들어서자마자 관리사동 바로 앞에 신라시대의 우물로 추정되는 오래된 우물이 있다. 이 우물은 올해 실시되는 '우물포럼' 대상에 포함되는 등 그 역사적 가치가 학계의 주목을 끌고 있는 우물이라 합니다. [다시 담아본 우물 전경..
2019.02.07 -
경주교촌마을 교촌홍보관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56-4 [월정교 쪽에서 담은 교촌홍보관 전경] [안내판과 교촌홍보관 전경] [안내판의 안내문 글 내용] [안내도와 일어, 영어, 중국어 설명 글] [교촌홍보관] 월정교를 둘러 본 후 앞쪽에 교촌홍보관이 있어 궁금하여 들어가보았지요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교촌마을의 지형 및 건축물등과 역사에 대해 설명과 자료들을 전시해 둔 곳이었습니다. [홍보관 들어가는 바닥의 문양] [교촌 홍보관 출입구 전경] [출입구에서 담은 정면 전경] [좌측 영상실] 영상실에선 예전 경주의 모습 12대 동안 400여년간 부와 명예를 지킬 수 있었던 경주 최부자의 참된 정신을 영상으로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영상실 입구 경주 교촌마을 최부자 이야기] [영상실 입구 안쪽 경주 교촌마을 중요문화재] ..
2019.01.26 -
東洛書院(동락 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373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1호 [東洛書院(동락 서원) 전경] [동락 서원 강당 안내판 글 내용] [동락 서원 강당 안내판 영문 글 내용] [동락 서원 앞 380년 된 노거수(은행나무) 전경] 효종 6년(1655)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張顯光(장현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서원의 강당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1호이다. [380년 된 노거수(은행나무)] 공자가 은행나무 단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 杏壇(행단)이다. '학문을 닦는 곳'이라는 뜻으로 널리 쓰이는데 우리나라의 향교나 서원에 어김없이 커다란 은행나무가 서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遵道門(준도문) 현판] [동락 향교 외삼문 遵道門(준도문) 과 안내판] [遵..
2018.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