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와 서원(39)
-
순천 龍岡書院(용강서원)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금곡동 285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 121호 [입구 쪽에서 담은 서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서원 솟을 삼문] 학포 양팽손과 장춘 양신용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梁彭孫(양팽손, 1488~1545). 자 大春(대춘). 호 學圃(학포). 본관 濟州(제주). 중종 11년(1516)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己卯士禍(기묘사화) 때 사직되어 고향인 능주로 돌아왔다. 이 때 능주로 유배된 조광조와 많은 교류를 하였다. 글과 그림에 능한 그는 당시 신진사류의 한사람으로 활약하였다. 文章(문장)과 書畵(서화)로 명성을 얻은 문신이다. 그는 조선 후기의 尹斗緖(윤두서, 1668~1715), 말기의 許鍊(허련, 1809~1892)과 함께 호남의 대표적인 문인화가로 손꼽히..
2015.10.07 -
경기도 楊根鄕校(양근향교)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옥천리 817-1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호 [홍살문과 양근향교 전경] 고려와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 지방에 있던 文廟(문묘)와 그에 속한 官立(관립) 학교를 이르며 중앙의 사부 학당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成均館(성균관), 사부 학당, 鄕校(향교) 등의 교육 기관이 있었다. 廟(문묘) : 孔子(공자)의 神位(신위)를 모신 사당. [향교 外三門(외삼문)] 역시 이곳도 문이 닫혀 있었다. 혹시나 하고 사방을 둘러보았지만,... 담너머로 사진으 담으며 아쉬움을 달랬습니다. [향교 앞 옥천블랫길 안내팻말] 홍살문을 지나外三門(외삼문)을 거쳐 경내로 들어가면 明倫堂(명륜당)이 있고 그 안쪽으로 東西齋(동서재)가 배치되었으며, 內三門(내삼문)에 들어서면 中央(..
2015.09.04 -
金忠善(김충선)과 鹿洞書院(녹동서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585 [鹿洞書院(녹동서원) 전경] 녹동서원은 조선으로 귀화한 일본장수 모하당 金忠善(김충선, 1571~1642)을 추모하기 위해 정조 13년(1789)에 건립한 서원이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1884년 훼철되었다가 1914년 중건하였으며, 1971년 이전하였다. 김해김씨(우록김씨) 시조 김충선 沙也可(사야가)의 일생은 우리에게 남다른 감흥을 준다. [神道碑(신도비)] 침략군이 되기를 거부한 일본인 沙也可(사야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내세운 전쟁의 명분이란 것은, 단지 전쟁의 부당성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침략을 하는 이도 저항을 하는 이도 모두 알고 있던 옳지 못한 명분이었지만, 조선을 침략해 들어온 20만 일본의 무사들은 그 부당한 전쟁..
2015.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