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와 서원(39)
-
예술발전소 2층 萬券堂(만권당)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58-2 [예술 발전소 내 2층만권당 전경] 대구예술 발전소는 담배공장 부지였던 곳을 리모델링하여 낙후된 구도심 지역에 예술 창조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현재 국내외 현대미술 전시회 등 다양한 전시 공연 행사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萬券堂(만권당) 출입구] 누구나 처음에는 숫자 '10,000'을 생각하겠지만, 다른 유래가 있다는 것은 이번 포스팅을 하며 알게 되었다. 그것은 고려 충선왕이 원나라 연경에 세운 도서관으로, 성리학을 연구하던 곳을 뜻하고, 또 하나는 1920년 독립운동가 문영박 선생이 달성군 화원읍 인흥마을에 세운 문고를 뜻하며 이곳은 국채보상운동의 발판이 되는 토론이 열린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萬券堂(만권당)'을 문..
2018.05.21 -
소남 이일우와 友弦書樓(우현서루) 옛터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101-11 대구은행(북성로지점) [대구은행 북성로 지점(우현서루 옛 터) 전경] 우리나라 최초의 항일운동 대구에서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또 이후 각계에서 일어난 항일운동가 상당수 키워낸 곳이 바로 友弦書樓(우현서루)였으며, 현 대구은행 북성로 지점 자리가 友弦書樓(우현서루) 자리였다 한다. '뜻있는 선비들이 모여 나라를 걱정하고 의기를 기르는 곳' 대구 북성로 공구상가가 즐비한 골목을 나와 마주한 사거리에 섰습니다. [은행 앞 소남 이 일우와 태극기]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로 일제에 저항했던 이상화 시인의 할아버지 이동진 선생이 을사늑약 한 해 전인 1904년에 友弦書樓(우현서루)를 지었고, 이상화 시인의 큰아버지인 小南(소남) 李一雨(이일우)..
2018.05.18 -
孝(효)와 節義(절의)의 상징 瞻栢堂(첨백당)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979 대구문화재자료 제13호 [광복소나무와 첨백당 전경] 宣祖(선조, 25) 1592년 임진왜란 때 丹陽人(단양인) 禹翊臣(우익신) 자 有義(유의)가 난을 피해 경기도 驪州(여주)에서 남하하여 八公山(팔공산) 남쪽 龍岩山(용암산) 계곡 내의 작은 평지에서 자리를 잡고 살게 된 것이 坪廣洞(평광동) 丹陽(단양) 禹氏(우씨)의 世居地(세거지)가 되었다. 광복소나무에 대해 알아보시려면 요기 클릭 하셔요.^^ [좌측에서 담은 첨백당 전경] 대구 평광동에 자리한 첨백당은 고종 3년(1896) 丹陽 禹氏(단양 우씨)의 재실로 지어졌는데, 단양 우씨 후손 중에서 효성이 지극했던 禹孝重(우효중)과, 조선시대 말기 때 節義(절의)를 지켰던 선비 禹命植(우명식)을 기리고 있다. [안내판..
2018.05.10 -
경상감영 공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21 [경상감영공원 하마비와 뒤 선화당 전경] [下馬碑(하마비)] 이 비는 조선시대 경상감영의 정문인 관풍루 앞에 서 있던 것으로 병마절도사 이하는 말에서 내려 출입하라는 뜻의 표석이다. 병마절도사란 도의 병권을 맡은 책임자로 대게 종이품 관인 관찰사가 겸임하였다. [경상감영 도시 대구 안내판 글 내용] [경상감영공원 안내도] [경상감영공원 주변 안내지도] [선화당과 경상감영공원] 시민의 나무 조각 작품 전경] 市民의 나무(크기 : 4.3m x 4.8m x 4.8m) [시민의 나무 앞쪽 안내글] 경상감영공원의 역사성과 대구의 뿌리를 상징하는 기둥 형태의 대구 市木(시목)과 미래를 향해 웅비하는 市鳥(시조)를 조형화하고, 대구의 자긍심을 지닌 사랑과 화합의 시민 상을 조각..
2018.02.08 -
圃隱遺物館(포은 유물관)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포은로 447 [圃隱遺物館(포은 유물관) 현판] [圃隱遺物館(포은 유물관) 과 釣翁臺(조옹대) 전경] [圃隱遺物館(포은 유물관)] [입구에 걸린 포은 초상화와 포은 선생 상] 鄭夢周(정몽주. 1337-1392) 본관은 迎日(영일). 자는 達可(달가). 호는 圃隱(포은) 義倉(의창)을 세워 빈민을 구제하고 개성에 5부 學堂(학당)과 지방에 향교를 세워 교육진흥을 꾀하였다. [제1 전시실 포은관 현판] [포은 선생 일대기] 고려 三隱(삼은)의 한 사람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중종 때 文廟(문묘)에 배향되었고 개성의 崧陽書院(숭양서원) 등 11개 서원에 제향 되었다. [이름에 얽힌 설화 안내글 내용] 유물관에는 대책문, 제김득배문, 포은 선생의 문집, 선죽판, 임고서원 관련..
2018.01.12 -
臨皐書院(임고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 462 경상북도 기념물 제62호 [임고서원 주차장] 넓은 주차장에는 안내 팻말도 세워져 있다. 어디부터 들릴 것인지 안내 팻말을 본 후 마음으로 정해놓고 들러보시는 것이 좋을듯합니다. [계현재와 임고서원 외삼문 영광루 전경] 전 서원부터 들리기로... 두어 번 들린 곳이기에 오늘은 서원만 들러보기로 하였다. [임고서원 영광류 전경] 우리나라 대표적인 역사인물인 圃隱(포은) 정몽주 선생을 추모하기 위하여 조선 明宗(명종) 8년(1533) 浮來山(부래산)에 창건을 시작하여 이듬해인 1554년에 준공하였으며, 명종으로부터 사서오경과 많은 位田(위전)을 하사받은 사액서원이다. [永光樓(영광루) 현판] [永光樓(영광루) 전경]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선조 36년(1603) ..
2018.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