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과문학관(64)
-
서병국 주택 大邱華僑協會(대구화교협회)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일동 142 등록문화재 제 252호 [대구화교협회건물(서병국주택) 전경] 1900년대 초반 진골목에서 위세를 떨쳤던 서병국은 지금의 화교협회와 화교소학교 일대 대지에 저택을 지어 살았다. 서병국은 약재상을 상대로 객주일을 보면서 부를 누렸으나 1946년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안내판 글 내용] [華商公會(화상공회) 현판] [대구화교협회건물(서병국주택) 전경] 1929년에 지은 붉은 벽돌의 2층 서양식 주택이다. 대구 지역 부호인 서병국이 당시 대구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중국 건축가 慕文錦(모문금)에게 설계와 시공을 맡겨 건립한 것이다. 벽돌은 평양에서 구워 오고 나무는 금강산에서 가져온 것이라는 설이 있다. HID(방첩대) 건물로 이용되기도 했다. [韓國華僑協會(한국대..
2017.03.18 -
대구 계산성당 역사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계산성당 역사관 전경] [역사관 입구벽의 성경구절] [역사관 입구] [출입구에서 담은 내부전경] 특히 계산성당 초대 주임신부인 로베르(김보록, 1853~1922) 신부에 대한 설명과 계산본당 옛 신자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여러 유물을 살펴볼 수 있다. [계산의 역사] 1798년 경상도에 천주교 신앙이 형성된 시기부터, 1885년 로베르 신부의 대구 부임 및 대구본당의 경상도 신나무골 정착, 1898년 한옥식 계산성당(1901년 지진으로 인한 화재로 소실) 건축, 1902년 현재의 벽돌식 계산성당 건축 등을 거치며 지금까지 계산성당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해나간 대구대교구의 역사를 상세히 알려준다. 역사관에는 계산주교좌성당의 역사를 중심으로, 1798년 경상북도에 가..
2017.02.15 -
대구 경북에서 가장 최초로 세운 교회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30호 [대구 구 제일교회] 제일교회는 경북지방에 처음 생긴 기독교회로, 선교사들이 이 지방을 개화시키기 위해 근대적 의료 및 교육을 전개했던 곳으로 선교사들이 근대적 의료 및 교육을 전개하였던 거점으로서 역사적 의의를 지닌 곳이다. 고종 32년(1895) 부산에 있었던 북장로교 선교본부가 대구로 옮겨지고, 광무 2년(1898) 기와집 4동을 교회당으로 사용하였다. 계속해서 신도가 늘어 1908년에 재래양식과 서구 건축양식을 합작시킨 새로운 교회당을 지었다. [정면에서 담은 제일교회] 현재 이 건물의 전체적인 양상은 평면이 남북으로 긴 직사각형이고, 앞면 중앙에 현관을 두고 오른쪽에는 종탑을 세운 간결한 고딕 건물이다. 대구 제일교회는 대구의 수..
2017.02.14 -
에코한방 웰빙체험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24 [에코한방 웰빙체험관 전경] 에코한방 웰빙체험관은 중구청이 약령시 상권 활성화를 위해 중구 남성로 약전골목 제일교회 맞은편 1966년에 건축된 대구의 현대적인 병원건축의 전형인 이해영 정형외과를 사들여 옛 모습을 최대한 살려 환경친화적인 한방체험 공간으로 리모델링하였다. 대구 근대골목투어의 중간 거점지로서 약령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와 시민들을 위한 도심속 힐링 체험장이다. [안내 데스크] [체험관 안내도] 에코 전시실 내부를 소개합니다. 1층은 주로 볼거리와 직적 체험할게 있으며, 2층은 안마체험과 쉴 수 있는 곳으로 마련되어 있다. [김소하 / Life - 4 / 종이컵, 채색] [작가 김중기] 일상생활에서 버려지는 캔을 활용하여 꽃 모양을 형상화하여, 화분에 심은..
2017.02.13 -
생가터에 세운 石齋(석재) 徐丙五(서병오) 胸像(흉상)]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 3가 [근대로의 여행(진골목)] 진골목 벽화를 보기 위해 들어선 골목에서 만난 石齋(석재) 徐丙五(서병오) 書畫家(서화가) 선생의 胸像(흉상) 대구 근대미술사에 큰 족적을 남긴 석재 서병오 이곳이 그가 태어난 생가 터라 한다. [石齋(석재) 徐丙五(서병오) 胸像(흉상)] 본관 達城(달성). 호 石齋(석재). 영남출신으로 일찍이 군수를 지냈다. 1901년을 전후하여 중국 上海(상해)로 가서 그때 그곳에 망명중이던 閔泳翊(민영익)과 친밀히 교유하면서 그의 소개로 당시 상해에서 활동하던 유명한 중국인 서화가 蒲華(포화). 吳昌碩(오창석) 등과 가까이 접촉하여 많은 영향을 받았다 한다. [석재 서병오 선생의 연혁] [자세히] [선생의 작품] 1909년도 상해와 일본을 여행하였고..
2017.01.16 -
書畫家(서화가) 朴基敦(박기돈) 고택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2가 82 [朴基敦(박기돈) 고택] 晦山 朴基敦(회산 박기돈, 1873~1948)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서예가이다. 본관 密陽(밀양). 호 晦山(회산) 陜川(합천) 冶爐(야로)의 書堂(서당)에서 수학 대구상무소(현 상공회의소) 초대소장 역임. 국채보상운동에 가담 경제인으로서 활약. 官(관)은 正三品 通政大夫(정삼품 통정대부). 석재 서병오와 교우. 박기돈은 국채보상운동 및 계몽운동에 참여했던 대구지역의 명망가였다. 한말 정3품 통정대부를 지냈고 대구미술전람회(1923)에 이상정, 이쾌대의 동생 이여성, 석재 서병오, 이상화의 형 이상정과 함께 참여한 書畫家(서화가)였다. 경제계에 발을 들여 대구상공회의소 전신이며 1915년 발족한 대구상업회의소의 초대소장을 역임한 서예..
2017.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