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과문학관(64)
-
독립운동가 이상정장군 고택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2가 90 [2010년에 담은 李相定(이상정) 고택 전경] 李相定(이상정, 1897∼1947). 독립운동가. 본관은 月城(월성). 별명은 然浩(연호), 直(직). 호는 晴南(청남), 汕隱(산은). 대구출신. 時雨(시우)의 맏아들로서 相和, 尙火(상화), 相佰(상백), 相旿(상오)의 형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큰아버지 一雨(일우)밑에서 교육을 받았다. 큰아버지가 경영하던 그 당시 신학문과 민족정기의 요람이었던 講義院(강의원)에서 공부한 뒤 1912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의 成城中學校(성성중학교, 육군유년학교)를 마치고 미술학교·상업학교를 거쳐 고쿠가쿠인대학(國學院大學)에서 역사학을 전공하였다. 이곳은 독립운동으로 유명한 시인 이상화의 형 이상정 장군이 살았던 고택이다..
2017.01.09 -
국채보상운동의 거장 서상돈 고택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2가 100번지 [서상돈 고택 전경] 한때 (구)고려예식장 일대에 30층 주상복합아파트 신축사업으로 위기를 맞았던 서상돈 선생 고택은 아파트사업주인 (주)L&G측의 협조와 대구시, 고택보존운동본부의 노력으로 복원,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서상돈 고택은 상화 고택의 대문 앞 길 하나를 두고 높다란 아파트 밑에 위치해 있지만, 높낮이의 묘한 조화를 이루어고 있다. [안내판 글 내용] [출입구] 우측 안쪽으로 정식 대문이 있지만, 그곳은 닫혀 있고 건물과 건물 사이에 난 이곳으로 고택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서상돈 고택 안채 전경] 서울에서 출생했으며, 민족운동가셨다. 가톨릭교도로 신유박해, 기해박해 등의 고난으로 문중에서 쫓겨나고 여러 곳을 옮겨다닌 집안의 내력으로 어려..
2017.01.06 -
향촌문화관. 대구문학관 둘러보기 종합편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향촌문화관. 대구문학관 전경] [대구 향촌문화관 1층 전시관 입구] 대구 향촌문화관 1층 전시관 둘러보기 [향촌동 사람이 모이는 동네] 대구 향촌문화관 2층 전시실 둘러보기 [3.4층 대구 문학관오르는 계단] 3층 대구문학관 둘러보기 대구문학관 작가와의 만남(그들이 남긴 어록) 다시보기 대구문학관(마음치유 살롱) 요기 클릭 [4층 행복한 문학 서재, 기획전시관] 대구문학관 4층(행복한 문학 서재) 둘러보기 [기획전시관 입구] 구상 展(전)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요기 클릭 [2층 계단에서 담은 1층 향촌문화관 계단] 취조실 같기도 하고 감옥 같기도 한 이곳은 무엇? [1층 기념품 판매점] [기억의 탑 ] 자세히 살펴보니, 붉은 벽돌에 이름이 새겨져 있..
2016.12.20 -
대구 향촌문화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향촌문화관 전경] [관람금액표] [향촌문화관 입구] 향촌동은 조선시대 대구읍성 안 화약고가 있던 곳으로 읍성이 허물어지고, 신작로가 생기면서 근대 대구의 중심지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8.15 광복, 6.25전쟁을 거쳐 시내로 거듭나기까지의 향촌동의 흥망성쇠를 연표와 사진, 영상자료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입구에서 담은 내부 전경] [대구의 연혁] [향촌동 1900년] [1900~1919년] [대구는 어떻게 변했을까?] [대구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생활물가(여러가지 생필핌 가격, 먹거리, 즐길거리, 탈거리등) 2. 주거. 생활(가구당 거주 인원, 주요 난방방식, 시대별 주요 가전기기등) 3. 보건. 의료(남녀 체격 변화, 출생수, 인..
2016.12.12 -
영광 延安金氏(연안김씨) 宗宅(종택)
소재지 :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동간리 166 중요민속문화재 제234호 [골목 입구에서 담은 전경] 연안김씨의 종갓집이라고 할 수 있는 '延安金氏(연안김씨) 宗宅(종택)'은 조선 말기에 새롭게 고쳐 지은 건물이라 한다. [영광 연안김씨 종택 안내팻말] 연안김씨가 영광에 들어와 살게된 것은 시조의 4대손인 金嶸(김영)이 영광군수로 부임하는 숙부를 따라 이곳에 온 16세기 중엽부터라고 합니다. [안내팻말과 솟을삼문] 첫대문인 솟을 삼문 외관이 특이하게 생겼다. 솟을대문을 2층으로 높여 만든 점이 특이하다. [솟을삼문 전경]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물게 2층 누각으로 된 삼효문. 솟을대문 위에 효자각을 올렸고 고종 5년(1868년)에 건립. 2층 누각은 목재가 썩는 것을 방지하려고 유리 샤시를 설치하였다 한다..
2016.11.21 -
안동김씨 종택 養素堂(양소당)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218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5호 [안동김씨 종택 養素堂(양소당) 전경] [안내판 글 내용] [養素堂(양소당)] 김번의 伯父(백부)는 일찍 출가하여 세조 때 여러 고승들과 불경을 번역. 간행하는데 종사했고 해인사 중창에도 참여했던 學祖大師(학조대사)였는데 풍수지리에 밝은 그는 조카가 살고 있는 이곳을 방문하여, 이 자리가 천하명당임을 알고 조카 김번에게 알려 주었다. 자신은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지만 가문의 번영을 위해서였다. [養素堂(양소당) 뒤채] 부인 홍씨는 김번이 죽자 친정 집을 설득하여 방앗간을 헐고 묘를 쓰는 것을 허락 받았다. 홍씨 집안에서 뒤늦게 이곳이 명당임을 알고 물을 갖다 부어놓고 물이 나오므로 묘 자리로는 쓸 수 없는 땅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
2016.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