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과문학관(64)
-
개교100주년 기념관 유스티노홀(건축관) 1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3동 219-3 대구광역시문화재자료 제23호 [유스티노홀(건축관) 출입문] [유스티노홀(건축관) 현판] [입구쪽에서 담은 유스티노홀(건축관) 1관 전경] 이곳에서 촬영한 영화도 있네요. [신부수업 영화 포스트] [각시탈 영화 포스트] [성 유스티노 신학교 건축에 사용된 주춧돌과 벽돌] 유스티노홀의 동쪽 창문 밖으로 중국인 벽돌 제조업자들이 벽돌을 만들던 우물터가 보존되어 있다. [각종 자료 사진 전시] [유스티노홀(건축관) 1관] [안내글 내용] [전시관 내부] [우측 벽면 자료 사진] [서상돈(아우구스티노)] [한국가톨릭대사전. p.593] [르망주 주교] [르망즈 주교 일기 중에서 일부] [전시관 내부 전경] [1914년 성 유스티노 신학교 신축 당시 재현 모형] 신학교..
2017.04.11 -
성유스티노신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3동 219-3 대구광역시문화재자료 제23호 [성유스티노신학교 전경] 성 유스티노 신학교는 대구 천주교회 초대 교구장이었던 안세화 주교가 중국인 벽돌공을 동원하여 1913년에 착공, 1914년에 완공한 신학교 건물이다. [나를 따르라 표석비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정면에서 담은 성모마리아 상과 성유스티노신학교] [성모상 뒤쪽 성유스티노 개교 100주년 기념관 입구 전경] [100주년 기념관 안내도] [주의 사항] [기념관 문을 열고 담은 전경] 부득이한 경우 프래쉬사용을 자제... 스맛폰은 프래쉬를 사용할 수 없으니, 좀 찜찜하긴하지만, 부득이한 경우(이곳을 들리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라 생각하고 사진을 담았습니다. [성유스티노신학교 성당 감실 전경] 191..
2017.04.10 -
샬트르 성바오로 대구 수녀원 역사관 2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190-1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걷는 파스카] [수도회 문장] 프랑스 샬트르의 작은 지방 러베빌에서 1696년 소수의 처녀들로부터 출발한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는 여자 수도회로서는 처음으로 1888년 당시 조선의 제물포항에 첫발을 내딛고 서울에 둥지를 틀었다. [우리는 누구인가 안내 글] [정면에서 담은 내부 전경] 가난하고 피폐한 조선 땅에 복음의 씨앗을 뿌리기 시작한 것이다. 27년 후 1915년에는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 소속의 초대 대구교구장 드망즈 주교에 의해 초대돼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대구 수녀원(이하 대구 수녀원)이 설립됐다. 예수 그리스도를 향한 신앙 안에서 수녀들은 닥쳐오는 여러 형태의 시련을 극복해 나가면서 대구교구(당시는 영. 호남, 제주까지 ..
2017.04.06 -
샬트르 성 바오로 대구 수녀원 역사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3동 190-1 [샬트르 성 바오로 대구 수녀원 역사관 현판] [샬트르 성 바오로 대구 수녀원 역사관 전경]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역사관 내부 전경(앞쪽)] [소화데레사 성녀] [제의 와 제대용품] [성모마리아] [성요셉]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역사관 내부 전경(뒤쪽)] [대구수녀원 본원 설립배경 사진과 글 내용] [망원경, 현미경 등] [우측 드망주 주교] 좌측 사진 수녀원내 사제 휴양소에서 임종전의 드망즈 주교 [전시된 자료] [온수통 등] [제주 신성여학교 재봉수업 사진] [초창기의 수녀복과 제봉틀] [실감믄 물레, 다리미, 바늘쌈,] [성수대] [전시된 자료 2] [제병기] [전시된 자료 3] [풍금] [백백합 보육원 안내글과 옛 사진 등] [요셉시약소 성..
2017.04.05 -
2.28 민주운동기념회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113-10 [2.28 민주운동기념회관 현판] [2.28 민주운동기념회관 전경] [2.28 민주운동기념회관 출입구 전경] [2.28 민주운동 안내판 글 내용] [2.28 민주운동기념동산 안내 글 내용] [횃불] 1층 전시실 입구로 사람이 들어가면 횃불에 불이 들어온다. 2.28 민주운동은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사에 있어 첫 횃불을 상징한다. 당시 운동을 주도하였던 학생들의 모습이 벽화처럼 벽에 새겨져 있다. 1960년 2.28 민주운동이 일어나게된 역사적배경을 년대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놓아 그때의 상황을 잘 알 수 있다. [냉돌방의 결의] 빈곤과 불법적 인권 유린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1960년 2월 28일 대구지역 8개 고등학교 학생들이 일으킨 대한민국 정부 수..
2017.03.24 -
대구 향토역사관 제2전시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294 [제 2전시실 안내팻말] [출입구 전경] [입구쪽에서 담은 전시실 내부 전경] [嶺營藏板(영영장판)] 조선시대 전국 8도에 설치된 각 감영에서는 유학을 장려하기 위해 사서삼경 등 유학관련 서적을 간행하였는데, 경상감영의 도서간행이 전국에서 가장 활발했다. [입구쪽 전시실 내부] [영천청제비 보물 제517호 와 대구무술명오작비 판독문] 1920년대 나무다리(신천교) 이공제비(좌 1797년, 우 1808년) 대구 유형문화재 제23호 수성구 상동 이서공원 내 [전시실 내부] [전시 자료 모음] [전시실 내부 2] [날뫼북춤(대구 무형문화재 제2호)] 16세기 이후 대구 비산동원고개를 중심으로 전승되어온 민속춤 [천왕매기(대구광역시무형문화재 제4호)] [천왕제의 지신풀이..
2017.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