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忠. 孝. 烈(79)
-
호국 인물 李日泳(이일영) 공군 중위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 67-1 [이일영 공군중위상 안내팻말] [안내글 내용] [이인영 공원내 정자] [공원 정자 옆 벤취] [공원내 이일영 동상 전경] 어제 현충일에 다시 안동에 들리게 되었다. 서너군데의 답사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오래전에 들린 곳이지만, 현충일이기에 그냥 스쳐지나치지 못하고 들렸다. 이일영 공군중위 동상 예전엔 동상만 덩그렇게 있었는데.. 이번에 들렸을 때 보니, 주변을 공원화 해 두었네요. 노오란 금계국도 곱게 펴서 이일영 공군중위님의 넋을 위로하는듯.. 잠시 머물며 담아온 사진 소개합니다. [호국 인물 李日泳(이일영) 공군 중위 像(상)] 이 중위는 1928년 8월 경북안동에서 태어나 48년 9월 육군항공학교에 입교한후 49년 공군창설과 함께 조종사로 활약했다..
2016.06.07 -
97주년 삼일절 태극기를 달자
4대 국경일의 하나인 3.1절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의사를 세계 만방에 알린 날이기도 하다. 선조님들께서 자신의 목숨까지 아낌없이 바쳐가며 되찾은 우리나라라는 것을 세월이 흘러갈수록 달력에 빨갛게 표시된 공휴일 정도로만 기억하고 있는지나 않은지... 나 자신부터 되돌아보게 한다. [태극기의 숨은 뜻 풀이 글 내용] [무궁화의 유래와 무궁화의 품종] [단심계(백단심)] [단심계(홍단심)] [삼천리 강산에 우리나라꽃 무궁화] 올해로 97주년이 되는 3.1절 집집마다 태극기를 달고 추모 애도하며 경건한 마음으로 묵념을 올리는 날이 되었으면 합니다. 어릴적 목이 터져라 불렀던 유관순 누나 강소천님의 동요 올려봅니다. 유관순 / 강소천 삼월 하늘 가만히 우러러 보며 유관순 누..
2016.03.01 -
六臣祠 (육신사)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640 번지 [六臣祠 (육신사)전경과 홍살문] 충절문을 통과하여 마을 끝머리에 사육신 사당이 있다. 이 정자는 1479년 성종10년 사육신의 한 사람인 박팽년의 손자 박일산이 건립한 것이다. 원래는 종가안에 있던 별당 건물이었으나, 임진왜란 때인 1592년 선조25년에 불타고 일부만 남아있었는데, 이를 1614년 광해군6년 현재의 모습으로 다시 지었다한다. 1981년에 새로이 건립한 건물은 이삼문. 삼층각. 숭절당. 등이 있으며, 사육신으로 일컬어지는 박팽년. 성삼문. 이개. 유성원. 하위지. 유응부등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이다. 사육신의 행적을 기록한 육각 기념비와 朴彭年(박팽년)의 유일한 유복손인 박일산이 창건한 태고정 보물제554호가 있다. [六臣祠(육신사)]..
2016.02.29 -
中原 高句麗碑(중원고구려비)
소 재 지 :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立石(입석) 마을 지정번호 : 국보 제205호 [중원고구려비각 과 주변 전경] 형태는 넓적한 돌기둥처럼 보이며, 자연석의 형태를 그대로 비면(碑面)으로 삼고 있다. 4면 모두에 글을 새긴 4면비이며, 글자는 전면이 10줄에 23자씩이고, 좌측면은 7줄에 23자씩, 우측면은 6줄이며 뒷면은 9줄로 추정되고 있는데, 글자의 지름은 3∼5cm이다. 마멸이 심해 정확한 글자수는 알 수 없으나 대략 400여 자로 추정하고 있다.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옆 모형碑(비)]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구려 석비로,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빼앗은 뒤, 그 기념으로 세운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합니다. [중원고구려비각 전경] 이 비는 고구려 廣開土大王碑(광개토태..
2016.02.16 -
韓國儒林獨立運動巴里長書碑(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1530 [韓國儒林獨立運動巴里長書碑(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 전경] 巴里長書(파리장서) 운동은 1919년 3월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었던 세계만국평화회의에 한국의 유림대표들이 보낸 장문의 독립청원서를 말한다. 이 사건은 국내외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던 것으로 우리 독립운동사에 획기적이고 대단한 사건이었다 한다. '韓國儒林獨立運動巴里長書碑(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는 파리장서의거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碑(비)로 한국유림대표 137인의 뜻을 모아 일본의 침략상과 한국의 피해 실정을 밝힌 1천420자에 달하는 장문의 글인 독립청원서(파리장서)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만국평화회의에 제출해 한국독립을 탄원한 또 하나의 '獨立運動(독립운동)'이었다 한다. [韓國儒林獨立..
2016.01.20 -
백범 김구선생 은거기념비와 의사 박공문용 기적비
소재지 :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삼정리(쇠실 휴게소 내) [백범 김구선생 은거추모비 전경] 해남 답사길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잠시 쉬어가려 들린 쇠실휴게실. 그곳에서 우측으로 얕든 언덕에 세워놓은 백범 김구선생 은거비와 의사 박공문용 기적비를 만났다. [안내판 내용] 그냥 지나칠 수 없지요. 예전같으면 아마 그냥 지나쳤을지도... [좌측에서 담은 백범 김구선생 은거비 전경] 김구선생이 1898년 5월 하순 경부터 40여일간 쇠실마을에서 머물렀던 것을 기념하여 세운 추모비이다. [의사 박공문용 기적비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의사 박문용 기적비(좌)와 백범 김구 은거비(우)] 의사 박문용은 1882년 1월 15일 보성군 겸백면 사곡리 10번지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9세 되던 ..
2016.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