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忠. 孝. 烈(79)
-
義狗塚(의구총)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 산148 경북 구미시 시도민속자료 제105호 [의구총 팻말] [義狗塚(의구총) 전경] 해평면 신양리에 사는 김성발이 개 한 마리를 길렀는데, 이 개가 매우 영리하여 평소 주인의 뜻을 잘 알아차렸다. 하루는 주인이 술에 취한 채 길가에서 잠이 들었는데 들판에 불이 났다. 주인이 위험에 처하자, 개는 멀리 떨어진 洛江(낙강)까지 뛰어가 꼬리에 물을 적셔 와서 불을 끄기를 수없이 반복하던 중 탈진하여 죽었다. 무사히 깨어난 주인이 모든 상황을 깨닫고 이에 감동하여 개의 시체를 거두어 묻어주었다. [안내판 글 내용] [계단 아래쪽에서 담은 義狗塚(의구총)] 훗날 사람들이 개의 의로움을 기려 그곳을 狗墳坊(구분방)이라 하였으며, 봉분은 사람의 묘와 비슷하게 하여 지름 2m..
2015.10.05 -
義牛塚(의우총)
소재지 : 경북 구미시 산동면 인덕리 104-1 경북 구미시 시도민속자료 제106호 [안내판과 義牛塚(의우총) 전경] 구미시 산동면 인덕리에 마련되어 있는 충직한 소의 무덤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옛날에 문수점(지금의 인덕리)이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그곳은 3면이 산이었다. 이 마을에는 김기년이라는 사람이 암소 한 마리를 키우고 있었는데, 어느해 여름 밭을 갈고 있을 때 갑자기 호랑이가 소에게 덤벼들었다. 이 때 김기년이 괭이로 호랑이를 치려 하자 이번엔 호랑이가 김기년에게 덤벼들어 소가 뿔로 호랑이를 여러 번 찔러 도망가게 만들었다. [안내판 글 내용] [義牛塚(의우총)과 義牛圖(의우도) 전경] 그러나 20일 후에 상처가 깊어 김기년은 죽었는데, 죽기 전에 가족에게 말하기를 내가 호..
2015.10.03 -
玄風郭氏十二旌閭閣(현풍곽씨12정려각)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시리 1348-2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9호 [玄風郭氏十二旌閭閣(현풍곽씨12정려각)] 현풍곽씨일문에 삼강을 지킨 28인의 공을 기린12각이 나열되어 있으며, 각 정려의 건립연대는 각각 다르나 조선 영조 때에 정려를 받아 이들의 현판이 봉안되어 있는 곳이다. 건물은 정면 12칸, 측면 2칸의 주심포집으로 팔작지붕이며 이 안에는 2기의 비석과 12개의 현판이 있다. 건물과 현판은 최근의 것이나 일문삼강을 비롯한 십이정려각은 전국에서도 그 유례가 흔치 않은 것 중의 하나로써 중요한 민족사적인 유산이 되고 있다. [현풍곽씨12정려각(문화재자료 제29호) 표석] 三綱五倫(삼강오륜)을 지킨 충신과 열녀, 효자에게 나라에서 포상 하였으며, 그들이 사는 마을 입구에는 정려각(旌閭閣)을 세워..
2015.10.01 -
달성 한일우호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륵길 206 [녹동 서원쪽에서 담은 달성한일우호관 전경] [한일우호관 주변 안내도] 녹동서원 둘러보시려면 요기 클릭 이번에도 묘소에는 들리지 못하고 왔습니다. 언제가 될지는 몰라도 다시 들려볼 생각입니다. 묘소는 그때 다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한일달성우호관 종합안내도] [달성 한일우호관 현판] [달성한일우호관 입구 전경] 녹동서원 옆에 위치한 달성한일우호관은 2010년 1월 착공하여 2012년 5월 개관하였으며, 모하당 김충선 선생의 귀화 및 귀화 후의 활약상을 내용으로 한 역사관, 3D 영상관, 예절교실, 기획전시관, 전통놀이 및 일본식 정원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한.일 문화 교류와 화합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화합의 미소] [화합의 미소 안내글 내용] [달성..
2015.09.15 -
申砬(신립)장군 묘역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대리 산1-1번지 경기도 기념물 제95호 [안내판과 묘소 오르는 길 전경] [묘역으로 가는 길] 주소가 있기에 쉽게 찾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못하였다. 네비에 찍어놓은 주소로 가자는대로 움직였지만, 엉뚱한 곳에 대려다 놓고는 안내를 종료한다나 뭐라나...ㅠ.ㅠ [묘역 오르는 계단] 이럴땐 역시 그곳에 거주하고 계시는 분께 여쭈어보는게 상책이다. 물어 물어 어찌어찌 도착하였다. 안내팻말을 갈림길쪽에라도 세워두었드라면 참 좋았을텐데... 묘가 있는 둔덕에 오르니, 나란히 3기의 묘가 자리하고 있었다. 차례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申昉(신방)의 묘 전경] 申昉(신방, 1686-1736)은 신립의 6대손으로, 조선 후기의 문신. 자 明遠(명원) 호 鈍庵(둔암) 相臣(..
2015.09.08 -
독립군의 어머니 南慈賢志士 生家址(남자현지사 생가지)
소재지 :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 394 [南慈賢志士(남자현지사) 抗日殉國碑(항일순국비) 전경] 독립운동가 경상북도 英陽(영양) 출생. 영남의 석학인 부친 南珽漢(남정한)의 3남매중 막내딸로 태어나 어릴 때부터 품성이 단정하고 총명하였으며 7세 때에 국문에 능통하였고 부친의 가르침을 받아 小學(소학)과 大學(대학)을 통달하였다. 19세에 金永周(김영주)에게 시집 가 단란한 생활을 꾸렸으나 일제의 만행이 점차 극성을 부리자 남편 김씨는 1896년 여사에게 “나라가 망해 가는데 어찌 집에 홀로 있을 것인가. 지하에서 다시 보자..."며 決死報國(결사보국)을 결심하고 英陽義兵將(영양의병장) 金道鉉(김도현) 의진에서 왜군과 전투중 전사하였다 한다. 남편의 전사소식을 들은 여사는 복수심에 밤잠을 이루지 못..
2015.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