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忠. 孝. 烈(79)
-
항일독립운동기념탑과 朝陽會館(조양회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225 [항일독립운동기념탑 표석과 朝陽會館(조양회관) 입구 전경] [안내판 글 내용] [항일독립운동기념탑 표석과 항일운동기념탑 전경] 애국선열의 발자취를 따라 들려보며 숭고한 독립정신과 애국지사의 조국사랑을 새겨봄도 뜻깊은 일이라 할 수 있겠다. 지난 2002년 향토 항일운동의 뿌리인 조양회관의 정신을 살리기 위해 기념탑을 건립키로 하고 성금 모금을 시작하여, 대구, 경북 항일독립운동기념탑이효목동 망우공원 내에 세워졌다. [백두산정계비] 항일독립운동기념탑 광장 우측에 세워져 있는 백두산정계비 전경 [백두산정계비 윗글 내용] [抗日獨立運動紀念塔(항일독립운동기념탑)] 광복절을 마지하여 항일독립운동 기념탑과 뒤쪽에 있는 조양회관에 다녀왔습니다. 오늘의 우리들이 있기까지 선조님..
2015.08.15 -
韓國儒林獨立運動巴里長書碑(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1530 [韓國儒林獨立運動巴里長書碑(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 전경] 巴里長書(파리장서) 운동은 1919년 3월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었던 세계만국평화회의에 한국의 유림대표들이 보낸 장문의 독립청원서를 말한다. 이 사건은 국내외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던 것으로 우리 독립운동사에 획기적이고 대단한 사건이었다 한다. '韓國儒林獨立運動巴里長書碑(한국유림독립운동파리장서비)'는 파리장서의거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碑(비)로 한국유림대표 137인의 뜻을 모아 일본의 침략상과 한국의 피해 실정을 밝힌 1천420자에 달하는 장문의 글인 독립청원서(파리장서)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만국평화회의에 제출해 한국독립을 탄원한 또 하나의 '獨立運動(독립운동)'이었다 한다. [韓國儒林獨立..
2015.08.14 -
광복 70주년 大邱(대구) 新岩先烈公園 (신암선열공원) 둘러보기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산 27-1 [유투브에서 모셔옴] 광복절 노래 / 작사 정인보 / 작곡 윤용하 1절 흙 다시 만져보자 바닷물도 춤을 춘다 기어이 보시려던 어른님 벗님 어찌하리 이날이 사십 년 뜨거운 피 엉긴 자취니 길이길이 지키세 길이길이 지키세 2절 꿈엔들 잊을 건가 지난 일을 잊을 건가 다 같이 복을 심어 잘 가꿔 길러 하늘 닿게 세계의 보람될 거룩한 빛 예서 나리니 힘써 힘써 나가세 힘써 힘써 나가세 [신암선열공원 입구 전경] 국내 유일의 애국지사공원묘역으로 조국의 광복과 민족의 자존을 위해 신명을 바치신 우리 고장 출신 애국선열의 고귀한 넋을 모신 성역으로 51위의 묘역이 조성되어 있는 곳입니다. [안내문] [입구쪽에서 본 신암선열공원 전경] 대명동 일대에 흩어져 있던 애국지사들..
2015.08.13 -
용인 朴仁永(박인영) 孝子旌門 (효자정문)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 [박인영 효자비와 효자정문 전경] 朴仁永(박인영)의 본관 竹山(죽산). 자 汝安(여안) 朴敏興(박민흥)의 아들이다. 英祖(영조) 26년(1750) 옥산리에서 태어났다. [박인영 효자비와 효자정문] 어려서부터 행동이 단정하고 효성이 지극하였고, 재덕을 겸비하여 약관의 나이에 과거에 급제하였다. 영조 47년(1771) 과거에 급제하여, 通德郞(통덕랑)에 올랐으나 모친께서 병으로 위중하다는 소식을 듣고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어, 전국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며 약재를 구하여 탕약을 해드리며, 온갖 정성을 다하였지만, 모친이 생명이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세 번 잘라 피를 흘려 넣어 모친의 수명을 며칠 간 연장할 수 있었다. 모친상을 당하여 지극히 애통하면서 ..
2015.08.06 -
延安李氏 烈女旌閭閣 (연안이씨 열녀정려각)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 [연안이씨 열녀정려각 전경] 연안이씨는 이형원의 딸로, 16살 때 박래영과 결혼하였는데, 시어머니는 이미 작고하였지만, 시아버지는 병환으로 문밖 출입도 못하고 있었다. 대소변을 받아내는 등 7년여 동안 극진히 간병하였으나 시아버지는 마침내 세상을 떠났다. 남편 박래영도 병약하여 24살 되던 해에 세상을 떠나자 연안이씨는 그날 밤 남편의 뒤를 따라 자결하였다. 이러한 열행을 기려서 1892년(고종 29)에 나라에서 열녀정문을 내렸다.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연안이씨 열녀정려각 전경 2] 정려각은 정면과 측면 모두 1칸이다. 외벌대 기단을 조성하고 원형 초석 위에 두리기둥을 사용하였다. 기둥 머리에서 초익공을 두었으며, 지붕은 겹처마로 암수막새를 ..
2015.08.05 -
三忠祠(삼충사) 廟庭碑閣(묘정비각)과 茶川亭(다천정)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871-1번지 [三忠祠(삼충사) 廟庭碑閣(묘정비각) 일각문] 파계사로 가는 길에 늘 이곳을 지나친다. 들려보고 싶다는 생각은 많았지만, 주차할 곳도 마땅찮고 늘 문이 닫혀 있어서 지나치곤 하였는데, 이 날은 불법(?)주차를 잠시 해 놓고들려보기로 하였다. [廟庭碑閣(묘정비각) 전경] 닫힌 문이 원망스럽기 하였지만, 그리 높지 않은 담너머로 튀어나온 돌담의 돌모서리를 밟고 올라서서 담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안내판과 三忠祠(삼충사) 廟庭碑閣(묘정비각) 전경] 어디서 담아야 더 많이 안까지 담을 수 있을까? 혹시나 다른 출입문은 없을까? 둘러보며 사진을 담기 시작하였다. [안내판 글 내용] [茶川亭(다천정) 일각문] 三忠祠(삼충사) 廟庭碑閣(묘정비각)으로 갈 수 있는 또 ..
2015.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