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忠. 孝. 烈(79)
-
국채보상운동 111주년 기념 전시회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 [대구문화예술회관 제4전시실 입구 전경] [국채보상운동 111주년 기념 전시회 안내책자 앞면] 아래는 안내책자 속 설명을 순서대로 소개합니다. [02] [03] [04] [06] [07] [08] [09] [10] [11] [국채보상운동 111주년 기념 전시회 안내책자 뒷면] 오랫만에 지인의 점심을 함께 하자는 전화를 받고, 옆지기의 허락을 받고는 약속장소로... 점심후 한참을 얘기나누다가 조금 떨어져 있는 두류문화예술회관으로 걸음을 옮겼다. 요즘 갤러리 탐방에 푹 빠져 있는 나. 마침 국채보상운동 111주년 기념 전시회를 하고 있었다. 오늘이 3.1절 99주년 기념일이라 뜻깊은 전시회 소개를 드리고 싶어 올립니다. [전시장 좌측 내부 전경] [전시장 내부 전경..
2018.03.01 -
圃隱鄭夢周遺墟碑(포은정몽주유허비)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 1044-5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72호 [포은 정몽주 유허비각 전경] 遺墟碑(유허비)란 한 인물의 옛 자취를 밝혀 후세에 알리고자 세우는 碑(비)로, 이 비는 포은 정몽주 선생의 효행을 기리고 있다. 정몽주 선생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며 三隱(삼은)의 한 사람이다. [포은 정몽주 유허비각] [포은 정몽주 유허비 안내판 글 내용] [圃隱鄭夢周遺墟碑(포은 정 선생 지각) 현판] [정면에서 담은 유허비] 공민왕 5년(1355) 부친상을 당해 廬墓三年(여묘 삼 년) 그로부터 10년 후인 1365년 모친상을 당하여 역시 廬墓三年(여묘 삼 년)을 하였다. 廬墓三年(여묘 삼 년) : 상제가 무덤 근처에 여막을 짓고 살면서 무덤을 삼 년간 지킴 [좌측에서 담은 전..
2018.01.23 -
張士珍義兵將遺蹟(장사진의병장유적)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병수리, 오천리 경상북도 기념물 제122호 [증수군절도사 의병장장사진유허비 전경] 遺(비)에는 '贈水軍節度使 義兵將張士珍遺墟碑'라 새겨져 있다. 뒤쪽에 보이는 건물이 의병장 장사진을 모시는 忠烈祠(충렬사)이다. [贈水軍節度使 義兵將張士珍遺墟碑(증수군절도사의병장장사진유허비)] [忠烈祠(충렬사) 오르는 돌계단] 張士珍(장사진) 의병장은 어려서부터 호협심이 대단하여 불의를 보고 참지 못하여 남이 당하는 것을 보고는 앞뒤를 가리지 않고 뛰어들어 손해를 보는 일이 가끔 있었으나 개의하지 않았다. 이웃사람들은 義俠人(의협인)이라고 불렀다 합니다. [忠烈祠(충렬사) 오르는 돌계단 2] 재주도 있어 군위향교의 校生(교생)의 신분으로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승승장구하는 왜세를 당하..
2017.12.06 -
낙동강승전기념관(2층 전시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산 227-5 [유물전시관] [소리없는 울음] 지축을 울리며, 밀고 내려왔던 탱크 그 바퀴 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는지.. [수통과 수통집(국군 사용)] [구멍 난 철모] [지뢰(6.25전쟁 당시 사용된 지뢰)] [방망이 수류탄] [멀티영상관] [통일의 꿈(포토존)] 대한민국 육군과 조선인민군 여기 예쁘게 서서 찍으세요. 라 적혀 있다. [6.25전쟁 호국의 얼굴들] [벽면을 꽉 채운 호국의 이름들....] [추모관] [비전관] [북한 우표] [북한 화폐] [북한에서 생산되는 술과 담배] [남북한 군사력, 북한 주요 미사일] [평화의 공원 전경] [평화의 공원] [2층 전시관 출구] [대구홍보관] [3층과 1층 오르고, 내려가는 계단] [2층계단에서 내려오..
2017.12.02 -
낙동강승전기념관(1층 전시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산 227-5 [낙동강승전기념관 전경] [낙동강승전기념관 출입구] 출입구 계단 우측 담아래에 조각된 그날의 함성이 들려올것만 같은 작품을 나누어서 좌측부터 담아 소개합니다. [학도의용군 6.25 참전 기념비] [낙동강승전기념관 입구쪽 전경] 지난번 들렸을때 하였던 북한정치범 수용소전시회 사진전시는 끝이 났는지 한쪽에 가지런히 놓여져 있다. [1층 전시관 입구 전경] 지난번에 일본학생들이 방문하였기에... 뒤로 밀려나서 사진을 담지 못하였기에 약속을 하였지요. 다시 들려 전시관을 둘러보겠다는.. 1층 전시실을 둘러보겠습니다. [달려라 박상사] [TNT폭탄] [모형도로 보는 낙동강 격전지] [전사의 무덤] [정면에서 담은 전사의 무덤] 아침에 모자라던 주먹밥이 저녁에는 절반..
2017.12.01 -
낙동강승전기념관(야외전시장)
소재지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산 227-1 [기념관쪽에서 담은 전경] [학도의용군 6.25 참전 기념비와 안내판 전경] [학도의용군 6.25 참전 기념비] [학도의용군 6.25 참전 기념비 현판] [기념비 아래 설명 글 내용] [학도의용군 6.25 전공사 안내판 글 내용] [기념비 쪽에서 내려다 본 야외 전시장 전경] 6.25를 생각하면 인천상륙작전을 빼 놓을 수 없지요. 그에 못지 않게 중요했던 전투가 바로 낙동강 전투였다. 전쟁 초기 북한군 기습공격으로 열세를 겪어, 북한군의 남진을 막지 못해 1950년 8월 1일 낙동강 까지 밀리게 되었다. 낙동강 방어선은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최후의 저지선 이곳을 막지 못하면 전국이 북한의 손아래에 떨어지게 되었다. 낙동강이라는 천연장애물을 이용해서 방..
2017.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