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忠. 孝. 烈(79)
-
梁氏三綱門(양씨 삼강문)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 산 131-1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1호 [梁氏三綱門(양씨 삼강문) 전경] 광주시 광산구 박호동 박뫼마을 입구에는 전국 유일의 賜額(사액) '三綱門(삼강문) 지방기념물 제11호가 자리하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팔작지붕 집으로,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1칸 규모의 일각문이 있다. [梁氏三綱門(양씨 삼강문) 현판] 외삼문은 평삼문이며 '梁氏三綱門(양씨 삼강문)' 현판은 1803년 이헌중이 썼다. [梁氏三綱門(양씨 삼강문)] 임진왜란 때 진주성 전투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한 양산숙 일가 7명의 忠(충). 孝(효). 烈(열). 行(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旌閭(정려). 사액은 조선시대 국왕으로부터 扁額(편액). 서적. 토지. 노비 등을 하사받아 그 권위를 인..
2018.06.18 -
高氏三綱門(고씨 삼강문)
소재지 :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산 14 광주광역시의 기념물 제12호 [高氏三綱門(고씨 삼강문) 전경] 1844년에 건립한 이 건물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정려의 건축 양식으로 평면은 정면 4칸, 측면 1칸으로 맞배지붕이다. [三綱門(삼강문) 현판] [高氏三綱門(고씨 삼강문)] [고씨 삼강문 표석비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高氏三綱門(고씨 삼강문)] 사방에 홍살문을 설치하여 내부를 차단하고 앞뒤 2열로 旌閭懸板(정려 현판)을 걸었다. 정면 4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지붕은 附緣(부연)이 없는 홑처마로 처리했다. [내부 우측 옆에서 담은 高氏三綱門(고씨 삼강문) 전경] 고씨 삼강문은 임진왜란 때 錦山(금산) 전투에서 순국한 의병장 高敬命(고경명) 선생을 비롯한 그 일가의 충절을 기리기 위..
2018.06.08 -
조선 5란 충의사 호국충혼탑
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유천리 [조선 5란 충의사 호국충혼탑] 조선시대 5란 이란, '임진왜란.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이인좌의 난'을 말한다. 나라가 위험에 처했을 때 목숨을 아끼지 않고 나라를 구했던 의병 2천143위를 기리는 충혼탑이 2015년 3월 26일 전남 담양군 청평면 유천리 월봉산 아래 역사공원에 광주. 전남 조선 5란 충의사 호국 충혼탑을 세웠다. [조선 5란 충의사 호국충혼탑 전경] 임진 정류 왜란의 이순신(1545~1598) 본관 德水(덕수). 자 汝해(여해). 아버지 貞(정)이며, 어머니는 草溪卞氏(초계 변씨)러 守林(수림의 딸이다. 서울 건천동(지금의 중구 인현동 부근)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가계는 고려 때 중랑장을 지낸 이돈수로부터 내려오는 문반의 가문으로 ..
2018.06.07 -
7번째 국립묘지 대구 국립 신암선열공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산 27-1 [국립 신암선열 공원 출입구 전경]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운동가의 봉분이 모셔져 있는 대구 신암선열공원 1987년 대구경북에 흩어져 있던 선열 묘지를 이장해 만들어진 신암선열공원은 현재 독립운동가 52기의 봉분이 모셔져 있다. 하지만, 국립묘지로 지정되지 않아 관리 등에 있어 국비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하였다. [국립 신암선열 공원 출입구] 현행 국립묘지법에 따르면 국립묘지는 서울과 대전의 현충원, 4.19민주묘지, 3.15민주묘지, 5.18민주묘지, 국립호국원뿐이다. [출입구 쪽에서 담은 좌측 전경] 봉분이 1, 2기뿐이거나 합동묘역 형태인 다른 지역 순국선열 집단묘지와 달리 신암선열공원은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노력으로 대구경북에 흩어진 선열 묘지를 한 곳으..
2018.06.06 -
녹천 고광순의사 기념관
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유천리 22-1 [녹천 고광순의사 기념관 전경] 한말 호남지역 의병장 鹿泉(녹천) 고광순(1848~1907)의사 순국 100주년 추모대제를 마지하여 녹천 고광순의사의 정신을 기리는 기념관과 사당을 지었다 한다. [녹천 고광순 의사 기념관] 본관 長興(장흥). 초명 高光旭(고광욱) 또는 高光珣.高光詢(고광순). 자 瑞伯(서백), 호 鹿川(녹천). 전라남도 담양 출신. 생부 高鼎相(고정상), 양부 高慶柱(고경주), 항일투사 奇山度(기산도)가 사위이다. [관리사무소 전경] 구한말 의병은 전. 후기로 구분하는데, 전기는 1895년 명성황후 살해와 단발령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고, 후기는 을사조약 체결 후에 일어났다. 호남에서 전기 의병은 장성의 松沙(송사) 奇宇萬(기우만)이 주도..
2018.06.05 -
崔興遠(최흥원) 旌閭閣(정려각)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375 [마을 입구에서 담은 崔興遠(최흥원) 旌閭閣(정려각) 전경] 정려란 효자나 열녀, 충신 등의 행적을 높이 기르기 위해 그들이 살던 집 앞에 門(문)을 세우거나 마을 입구에 작은 旌閣(정각)을 세워 기념하는 것을 말한다. 이곳은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선생을 기리는 旌閣(정각)이다. [안내판] 둔산동 옻골마을 중간에 위치한 이 건물은 조선후기 영남의 대학자이자 효를 위한 덕목을 정하고 부모의 병을 극진히 돌보는 등 효행으로 유명하였던 百弗庵(백불암) 崔興遠(최흥원)을 기리기 위해 1789년 조정의 명으로 세운 것이다. 최흥원은 둔산동 옻골마을 입향조인 臺巖(대암) 崔東?(최동집)의 5대손으로 1705년태어나 82세를 사는 동안 평생 학문에 정진하면서 130여..
2018.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