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忠. 孝. 烈(79)
-
대구교육박물관(교육역사관 2)
세상을 바꾸는 힘 교육 Power that changes the world-Education 우리나라 현대교육사의 중요한 사건, 현대교육의 발전 과정과 유물을 전시. 소개합니다. 바닥에 적힌 문구만 보았는데도 가슴이 뭉클했습니다. 전시자료 앞쪽에 커다란 거울 벽에 비취어 우측 자료가 좌측에 비치는 전경 한글 첫 걸음 / 1945 / 군정청 학무국 광복 후 미군정청 학무국에서 발행한 최초의 초. 중등 과정용 국어교과서이다. 한글 교육의 대표적 교과서로 단어 학습은 물론 속담, 시, 동요 등을 통해 한글을 공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 / 1945 / 조선어학회 조선어학회는 1930년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할 것을 총회에서 결의하고 1933년 10월 29일(당시 한글날)을 기하여 '한글..
2021.03.05 -
대구교육박물관(교육역사관 1)
우리나라 전통시대부터 개화기,일제강점기까지의 교육의 변화와 발전을 소개합니다. 교육역사관은 한 국가와 인간의 발전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교육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공간입니다. 교육역사관 1은 우리나라 전통시대부터 개화기, 민족저항기까지 교육의 변화와 발전을 시대상의 흐름에 따라 소개합니다.(옮겨 적은 글) 오늘은 3.1절이기에 그 중에서 민족저항기의 자료들을 소개해 드릴까합니다. 대구사범학교 1939년 7월, 경부선 복선화 공사에 동원된 대구사범학교 학생들이 일본인 교사의 차별에 항거한 '왜관사건'을 계기로 '문예부'를 조직하여 비밀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민족성이 담긴 학생 문집 '반딧불'을 발간하여 민족정힌을 일깨우며, 일제에 항거하는 등 문학활동을 통한 문예부의 항일운동은 '연구회', '다혁당'..
2021.03.01 -
대구교육박물관 벽화길에서 만나는 10명의 위인
이곳 벽화는 박상철의 그림으로 일러스트레이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일보, 넥서스출판사, 메트로신문에서 일러스트와 만화, 그래픽 작업 등을 했고 현재는 반려동물포털 '노트펫' 에서 이사화백으로 재직 중이라 합니다. 저서로 '펜 끝으로 더듬어 본 서양미술순례', '일러스트로로 읽는 365일 오늘의 역사' 등이 있다. 자아, 달팽이와 개구리의 그림부터 시작하여 팽퀸 공룡 거북이 등 다수의 동물들과 아이들의 모습과 10명의 세계적인 위인들의 그림들을 감상해 보셔요.^^ 세상에나 남극에 사는 팽긴이 출현해 주셨네요. 오잉!~ 공룡도 출현해 주셨넹 거북인 오늘도 바쁘네요. 벌써 토끼랑 경기하나보다 힘내 거북아 영차 영차!~ 캥거루, 토끼, 새(독수리)? 토끼야 또 자려고? 바로 뒤에 거북이가 따라오고..
2021.02.19 -
鄭文孚將軍(정문부장군) 墓(묘)와 忠德祠(충덕사)
소재지 :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동 379-32 경기기념물 제37호 [송산재 충덕사 정문부장군 묘 안내팻말] [송산재 충덕사 정문부장군 묘로 가는 출입구 전경] 鄭文孚(정문부, 1565~1624)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壬辰亂(임진란) 일등 공신 우찬성 대제학 의병장이다. 본관 海州(해주), 자 子虛(자허), 호 農圃(농포), 시호 忠毅(충의)이다. 기념비로 北關大捷碑(북관대첩비)가 있다. [정문부 선생 신도비와 북관대첩비 전경] 1565년 한성부에서 부사 鄭愼(정신)의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경기도관찰사를 지낸 鄭彦慤(정언각)이며, 할머니는 이조판서 申公濟(신공제)의 셋째 딸이다. [안내판 글 포토스케이브포 이어붙이기 편집 내용] [좌측 신도비각과 우측 북관대첩비 전경] [북관대첩비와 안내판 전경]..
2019.08.26 -
광복 74주년과 태극기와 무궁화 바로 알기
[자랑스런 태극기] 2절 흙 다시 만져보자 바닷물도 춤을 춘다 기어이 보시려던 어른님 벗님 어찌하리 이 날이 사십 년 뜨거운 피 엉긴 자취니 길이 길이 지키세 길이 길이 지키세 이날이 사십년의 뜻은 일제강점기 37년을 의미한다 합니다. 37년으로 가사를 넣었을 때에 박자가 잘 맞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이 노래를 만든 시점이 사십년이었기네 그리 가사를 했을 수도 있다 합니다. [태극기의 숨은 뜻 바로 알기 풀이 글] [우리나라 꽃 무궁화의 유래와 품종] [단심계(백단심)] [단심계(청단심)] [삼천리 강산의 무궁화] 집집마다 태극기는 달으셨겠죠. 74주년 광복절을 맞이하여 나라의 광복을 위해 목숨까지 초개처럼 버리신 모든 선열님들을 생각하며 뜻 깊은 날로 지내보려 포스팅해 보았습니다. 현재는 막막할지..
2019.08.15 -
靜庵(정암) 趙光祖(조광조) 선생 流配地(유배지)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174 전라남도기념물 제41호 [정암 조광조 선생 적려유허비 출입구 와 안내판 전경] [정암 조광조 선생 적려유허비 안내판 글 내용] [愛憂堂(애우당) 현판] 愛憂堂(애우당) 현판은 後學(후학) 李炳玹(이병현)의 글씨라 합니다. [입구쪽에서 담은 애우당 옆 전경] 謫廬(적려)란 귀양 또는 유배되어 갔던 곳을 이르며, 유허비는 한 인물의 옛 자취를 밝히어 후세에 알리고자 세워두는 비를 말하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종 때 이곳에 유배당한 조광조 선생의 옛 자취를 기록해 두고 있다. [우측에서 담은 애우당 전경] 愛憂堂(애우당)은 정암조광조 선생이 사약을 받은 자리라고 전해지며 그 자리에 건물을 세웠다 합니다. 정면 5칸 측면 2칸에 맞배지붕에 가운데 마루를 둔 구..
2019.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