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고택과 문학관(174)
-
白下舊廬(백하구려)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내앞길 35 (천전리) 경상북도 기념물 제137호 [입구쪽에서 담은 白下舊廬(백하구려) 전경] 이 가옥의 堂號(당호)인 白下舊廬(백하구려)는 구한말과 일제 초에 국민계몽과 광복운동에 헌신한 백하 김대락(1845~1914)선생이 42세(1855) 세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백하구려는 백두산 아래에 살았던 김대락 지사의 옛집이라는 뜻이다. 김대락 지사는 무려 65세나 되는 나이에 전 재산을 팔아 독립운동 자금으로 바꾼 후 가족들과 함께 만주로 이주하여 일제에 맞섰던 지사이다.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白下舊廬(백하구려) 현판] [좌측에서 담은 白下舊廬(백하구려) 전경] 백하의 웃대 鎭麟(진린) 호 愚坡(우파)공이 道薦(도천)으로 都事(도사)를 지냈으므..
2016.06.13 -
안동 민속박물관(2층 전시관)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3 [안동 민속박물관 입구 표석비 [입구쪽에서 담은 민속박물관 전경] 안동댐 건설에 따른 수몰지역 문화재를 이건하여 5만여평의 민속경관지를 조성하였다. 1992년 6월 26일 개관한 박물관으로서 안동의 민속문화를 전시하는 전문박물관입니다. [출입구에서 담은 정면 2층 오르는 계단] 1층 전시관 소개를 마쳤으니, 2층 전시관으로.... 혹시 1층 전시관을 둘러보시지 못하셨다면 요기 클릭 하시면 됩니다. 2층 계단을 오르면, 마주 보이는 벽면의 그림 [ㅁ자 와가] [안내도와 안내글 내용] ㅁ자와가란 건물평면구조가 ㅁ자형으로 된 것으로 안마당을 중심으로 안방, 사랑방, 부엌 등이 ㅁ자로 배열되어 있고 지붕이 모두 기와로 연결된 집을 말한다. ㅁ자집의 종류로는 뜰집형과 튼ㅁ..
2016.06.02 -
안동 민속박물관(1층 전시관)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3 [안동 민속 박물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도] [영어, 일어, 중국어, 안내 글 내용] [안동 민속박물관 입구 표석비 [입구쪽에서 담은 민속박물관 전경] 안동댐 건설에 따른 수몰지역 문화재를 이건하여 5만여평의 민속경관지를 조성하였다. [박물관 출입구] 1992년 6월 26일 개관한 박물관으로서 안동의 민속문화를 전시하는 전문박물관입니다. [출입구에서 담은 정면 2층 오르는 계단] [출입구 좌측 전경] [안동 차전놀이] [1전시관 하회마을] [古墳(고분)] 선사유적의 유물로 고인돌, 선돌, 고분, 무문토기, 돌화살촉, 그물추, 숫돌자귀 등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 [고려 공민왕 친필 안동웅부 현판] 그리고, 영호루, 진여문 그리고 영주 부석사의 무..
2016.06.01 -
默溪宗宅(묵계종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735-1 경북민속자료 제19호 [종택 삼문과 앞쪽 안내판 전경] '默溪(묵계)'라는 지명은 원래 '居墨驛(거묵역)'이었다 한다. 1500년에 김계행이 머물면서 '默村(묵촌)'으로 바뀌었는데, 김계행이 晩休亭(만휴정) 냇물이 잔잔히 흐르는 모습을 보고 다시 '默溪(묵계)'로 바꾸었다고 합니다.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종택 솟을삼문] 열린 대문에는 國泰(국태) 民安(민안) 이란 글이 붙여있다. 과거나, 현재나 미래나 꼭 필요한 말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들의 생활이 평안해 진다면 더 바랄게 없겠지요. [솟을삼문 옆 벽에 붙어 있는 안동김씨-묵계종택] [寶白堂(보백당) 전경] 종택 솟을 삼문을 들어서면, 좌측으로 보이는 건물이 바로 寶白堂(보백당)..
2016.05.24 -
허균. 허난설헌 기념공원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초당동 시아버님 기제사 참석차 강릉 큰조카댁에 들렸다가 초당두부를 먹으려가자기에 함께 하였다가 집으로 오는 길에 2009년도에 다녀온 허균. 허난설헌 생가와 기념공원을 지나치게 되어 들려보실래요. 하길래 마다하지 않고 그러자 하였지요.^^ [안내판 글 내용] [안내도] [허균. 허난설헌 기념관 현판] [허균. 허난설헌 기념관] 이른 시간이라 개관을 하지 않았기에... 기념공원으로 향했다. [난설헌 허초희 동상 전경] 許曄(허엽, 1517~1580) 본관은 陽川(양천). 호 草堂(초당)이다. 오늘날의 지명이 초당인 이유도 허엽선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한다. 조선 중기의 시인이였던 허난설헌이 바로 허협의 딸이다. 본명은 楚姬(초희). 자는 景樊(경번), 호는 蘭雪軒(난설헌)이다...
2016.05.11 -
초허 김동명 문학관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노동리 71 [초허 김동명 복원된 생가와 문학관 전경] 문학관이 존재하는 이유는, 한 문인의 업적과 문학혼을 기리는 것이라 한다. 초허 김동명 문학관은 2013년 7월 3일 개관하였다. [복원된 생가 전경] 김동명 시인은 이곳에서 1900년 2월 4일 출생하여, 8세까지 생활했던 생가를 고증을 거쳐 현재의 초가가옥으로 재건립되었다 한다. 초가집에서는 한번도 살아보지 못하였지만, 난 이상하게도 초가집에 대한 그리움이 있다. 특히 초가삼간. [생가 앞 안내판 글 내용] [생가 앞 안내판 글 내용] [생가 앞 안내판 글 내용] [김동명 생가] 김동명 시인의 산문 '어머니'에 등장하는 '코굴'을 재현하여 시인의 어머니에 대한 각별한 그리움과 당시 고향의 생활상을 알 수 있도록 하..
2016.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