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고택과 문학관(174)
-
海南(해남) 尹鐸家屋(윤탁가옥)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초호리 276 중요민속자료 제 153호 [尹鐸家屋(윤탁가옥) 솟을 대문 전경] 나지막한 야산을 뒤로하고 앞으로 넓은 들이 펼쳐진 남향 땅에 자리하고 있는 기와집으로 조선 말기의 호남지방 상류주택의 모습이 잘 간직되어 있다. [안내판 글 내용] [안채 전경] 안채에서 발견된 上樑文(상량문)에 光武十年 丙午十一月 庚申 竪柱 同 十二月 初三日 乙丑 辛巳時 上樑 丑坐 (광무10년 병오11월 경신 수주 동 12월 초3일 을축 신사시 상량 축좌)'라 기록이 있어 광무10년(1906)에 지었음을 알 수 있고, 사랑채와 별당채도 이 시기에 지었다고 한다. 건물의 전체배치는 완만한 경사지형을 3단으로 정지한 후에 직선축을 이용하여 각 건물을 배치하였다. [좌측에서 담은 문간채 전경] 건..
2016.01.18 -
海南(해남) 恭齋 尹斗緖古宅(공재 윤두서고택)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372 중요민속자료 제 232호 [고택으로 가는 골목길] 尹斗緖(윤두서, 1668-1715) 본관은 海南(해남) 자는 孝諺(효언) 호는 恭齋(공재)이며, 조선 중기와 후기 변환기에 활약한 대표적인 선비 화가로 孤山(고산) 윤선도의 증손자이자 다산 정약용의 외증조부이다. [고택으로 가는 골목길 2] 그는 장남인 덕희와 손자인 용도 畵業(화업)을 계승하여 3대가 화가 가정을 이루었는데, 시서화 음악 공예 등 다방면에 능통했고 지리 천문 수학 등 폭넓은 학식을 지닌 실학자였으며, 謙齎 鄭敾(겸재 정선) 玄齎 沈師正(현재 심사정)과 함께 조선후기 '三齋(삼재)'로 꼽히는 화가이다. [사랑채와 곳간채] 학문에 정진하던 윤두서는 15세에 전주 李氏(이씨)와 결혼 남인계열이었..
2016.01.15 -
크라운 제과 창업자 尹台鉉(윤태현) 생가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慕先堂(모선당) 전경] 白浦(백포) 尹台鉉(윤태현) 생가 입구쪽에 있는 慕先堂(모선당)은 공재 윤두서의 9대손인 크라운제과 창업자 윤태현가의 사당이다. [尹台鉉(윤태현) 生家(생가)] 백포마을은 원래 해남 윤씨의 자손들이 대대로 한 마을을 이루고 살아온 곳이라고 한다. [生家(생가) 표지석] '산도'로 유명한 50년이 넘는 장수 기업 크라운제과 창업자 白浦(백포) 尹台鉉(윤태현) 회장의 경영철학은 한결같았다고 한다. [尹台鉉(윤태현) 生家(생가)] "내 자식이 먹을 수 있는 과자를 고객에게 제공한다"는 것이었다. 그야말로 한평생 맛있고 영양가 풍부한 과자 만들기에 몰두했으며, 생전의 윤회장은 누구보다 앞서 새 제품뿐만 아니라 기존 제품도 매일 매일 최초 고객의 ..
2016.01.15 -
여성운동가 시인 高靜熙(고정희) 생가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송정리 259 [고정희 생가 ] 고정희 생가는 마을 초입에 있다. 대문 옆에 커다란 안내판을 세워놓아 집 찾기에 어려움은 없었다. [집앞 안내판 글] [활짝 열린 생가 대문] 안내판에 자세히 적혀 있으니 고정희 시인에 관해서는 여기서는 더 말씀드리지 않고 시인님의 詩(시)를 몇수 올려볼까합니다. 삼산면 송정리마을은 스무살 무렵까지 그녀가 문학소녀로서의 꿈과 희망을 키우던 마을이며, 이러한 뿌리가 그의 초기 詩(시)에 토속적 서정이 짙은 근원이 되기도 하였다한다. 쓸쓸한 날의 연가 / 고정희 내 흉곽에 외로움의 지도 한 장 그려지는 날이면 나는 그대에게 편지를 쓰네 봄 여름 가을 겨울 편지를 쓰네 갈비뼈에 철썩이는 외로움으로는 그대 간절하다 새벽 편지를 쓰고 허파에 숭숭한..
2016.01.13 -
민족 시인 金南柱(김남주) 생가를 찾아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삼산면 봉학리 [金南柱(김남주) 생가 전경] 金南柱(김남주, 1945~1994)는 아버지 김봉수. 어머니 문일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남. 한국 민족문학을 대표하는 사람으로 사회변혁운동의 이념과 정신을 온몸으로 밀고나간 '戰士(전사) 시인'이며, 혁명적 목소리로 한국문단을 일깨운 '민족시인'이다. 또한 청춘의 10년을 감옥에서 보내는 등 반독재 투쟁에 앞장선 혁명 시인이었다. [金南柱(김남주) 생가 전경] 삼화초등학교, 해남중을 거쳐 광주일고에 입학하였으나 입시 위주의 교육에 반대, 자퇴하였고 이후 검정고시로 전남대 영문과에 입학하였다. 대학 재학중 '3선개헌반대 투쟁'에 참여하는 등 반독재 학생운동에 투신한 그는 1972년과 이듬해에 전국 최초의 반유신투쟁 지하신문 '함성..
2016.01.12 -
康津(강진) 永郞生家(영랑생가)
소재지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211-1 전라남도 기념물 제 87호 중요민속자료 제 252호 [영랑생가 안내팻말] [향토문화관 현판] [향토문화관 전경] 영랑 생가 입구 주차장 옆에 있는 건물로 이곳은 한국 시문학파의 거성 영랑 김윤식, 김현구 시인의 작품과 향토작가들의 주옥같은 시와 작품 세계를 감상하실 수 있는 곳이다. [탑골샘 현판] [탑골샘 전경] 향토 문화관을 지나 생가로 가는 길에 가장 먼저 만나는 초가지붕을 한 탑골샘이 정겹다. 이 샘은 도르래를 이용해 두레박으로 물을 길어 올린다. [영랑 생가 사립문과 안내판] 대나무로 엮은 열린 사립문을 들어서면 영랑생가다. 영랑생가는 지방기념물 제89호로 관리되어오다 2007년 10월 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 제 252호로 지정되었다. [안내도와..
2016.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