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고택과 문학관(174)
-
고산 윤선도 유적지 유물관과 孤山詩碑(고산시비)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고산윤선도유적지 입구 전경] [종합 안내도]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녹우당 원림 안내도] [녹우당 안내도] [고산 윤선도 유적지 입구 전경] 고산 윤선도는 우리나라 국문학상 시조시인의 최고봉으로 꼽힌다. 송강이 가사문학의 대가라면 고산은 시조문학의 대가라고 할 수 있다. 당시 우리나라의 선비들이 대부분 한문문학과 경직된 사회구조의 틀 속에 갇혀 있을 때 고산은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려 섬세하고 미려한 시조들을 지어냈다. [관리소 건물] 고산의 생애는 한마디로 유배와 은둔의 생활이 거듭된 굴곡 많은 삶으로 그는 이러한 자신의 삶과 시름과 흥, 願(원)을 詩文(시문)으로 풀어낸다. [관리소 앞 동백] [대문에서 본 관리소] 이곳은 고산 윤선도..
2016.01.06 -
우금촌 두암고택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304 경북유형문화재 제81호 [斗巖古宅(두암고택 앞 노거수와 쉼터] 디카를 꺼냈다 넣었다 하는 사이 S 맞춰져 있는지도 모른체 사진을 담았는데, 한참을 찍다가 무언가 이상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평소와 다른 그러나 무시하고 그냥 담았지요. [友琴村斗巖古宅(우금촌두암고택) 전경] 나중에야 살펴보고 그제야 알게 되었지요. 평소에는 P에 설정을 해 놓고 사진을 담았는데... 아차 나의 실수 되돌릴 수도 없고... 설정을 고쳐놓고 담았지만.. 답사 마치는 그 순간까지 마음은 조마조마.. 결국 위의 사진처럼 허옇게 나왔어요....ㅠ.ㅠ [정상으로 담은 솟을삼문 전경] 다시 가서 담을 수 없으니 그냥 올려봅니다. 정상으로 담은 사진과 잘못 설정하여 담은 사진을 섞어서 올려봅..
2015.12.29 -
순천 趙淳卓(조순탁) 家屋(가옥)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구산리 821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30호 [조순탁 가옥 솟을삼문 전경] 너무 이른 시간에 도착을 하였는지, 아침 안개가 신비스럽게 가옥을 감싸고 있는듯 하였다. [안내석 글 내용] [안내석 영문 글 내용] [웹에서 모셔온 안내도 자료] [조순탁 가옥 돌담과 삼문] 가옥의 삼문은 이른 방문객을 거부하듯 닫혀있고, 어디론가 다른곳의 출입구를 찾아야하기에 우선 담을 끼고 좌측으로 가보았더니.... [또 다른 출입구] 가을의 정령 살살이꽃이 환하게 반겨주는 곳 옆으로 담이 끝나는 지점에 가옥으로 어갈 수 있는 출입구가 보였다. 정식 출입구는 아니지만, 그곳으로 들어갔지요. [입구쪽에서 담은 전경] 옥천 조씨 상호정파의 종가집이다. 조선 철종 6년(1855)에 조병익이 세운 건물..
2015.12.28 -
沖齋博物館(충재박물관)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1리 934 [沖齋博物館(충재박물관) 현판] [沖齋博物館(충재박물관)] 1980년대 중반에 국가보조금과 후선들의 성금을 모아 종가 경내에 작은 규모의 유물관을 지었으나 전시관리 및 주변경관과 관련된 여러문제로 인하여 2007년 현재의 위치에 재건립하였다. 얼마전 올린 봉화 靑巖亭(청암정) 바로 옆에 있는 충재박물관입니다. 靑巖亭(청암정) 게시물을 보시지 못하신 이웃님께서는 아래를 클릭하셔서 들려보셔요. 박물관에는 보물로 지정된 충재일기 근사록을 비롯한 각종 소장견적, 고문서, 유묵등 총5건 40종 482점의 국가지정문화재와 3,000여 책의 전적을 포함한 각종유물들이 보관되어 있다 합니다. [충재 권벌선생 불천위 제사상 전경] 자석으로 되어있으니, 만져보셔도 된다 합..
2015.12.26 -
영주 槐軒古宅(괴헌고택)
소재재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두월리 877 중요민속자료 제 262호 [괴헌고택과 덕산고택을 알리는 안내팻말] 괴헌고택과 덕산 고택 두 고택을 답사하려 가는 길에 만난 반가운 안내팻말 나란히 적혀 있는 안내팻말처럼 德山古宅(덕산고택)은 중요민속자료 제262호로 지정된 槐軒古宅(괴헌고택)과 나란히 담하나를 경계로 붙어 있다. 우선 조금 더 아랫쪽으로 내려가 적당한 자리에 주차를 해 놓고, 대문이 활짝열려있는 괴헌고택부터 들려본 후 다시 밖으로 나와 덕산고택으로 향했다. [槐軒古宅(괴헌고택) 솟을대문 전경] 괴헌고택은 경북 영주시 이산면에 있는 살림집으로 정조 3년(1779)에 김경집이 지은 집으로 고종 8년(1871) 증손인 김복연이 일부 중수하였는데 지금도 건축 당시의 옛 모습이 비교적 잘 남아있다...
2015.12.21 -
영주 德山古宅(덕산고택)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두월리 878 문화재자료 제529호 [괴헌고택과 덕산고택 안내팻말] 어디쯤일까? 아직도 멀었을까? 궁금할 즈음에 나타나는 안내팻말 참 반갑다. 나란히 적혀 있는 안내팻말처럼 德山古宅(덕산고택)은 중요민속자료 제262호로 지정된 槐軒古宅(괴헌고택) 문화재 자료 529호 와 담하나를 경계로 붙어 있다. [괴헌고택 대문에서 바라 본 덕산고택 평문 전경] 通政大夫(통정대부) 僉知中樞府事(첨지중추부사)를 지낸 德山(덕산) 金慶集(김경집)이 영조32년(1756)에 두암에서 두월로 이주시 신축하면서 지은 집으로 처음의 당호는 德山亭(덕산정)이었다 한다. 공의 후손인 禧淵(희연)이 光武(광무) 8년(1904)에 일부분 중수하였다. [안내판 글 내용] [괴산고택 담너머로 담은 덕산고택]..
201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