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고택과 문학관(174)
-
退溪宗宅(퇴계종택)과 詩碑(시비)동산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486-2번지 기념물 제 42호 [退溪宗宅(퇴계종택) 전경] 退溪(퇴계)선생은 연산군 7년(1501) 11월 25일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현 노송정 종택 태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진사 李植(이식), 어머니는 의성 김씨와 춘천 박씨 김씨는 잠, 하, 신담부인 등 2남 1녀를 두고 별세하였고, 재취로 들어온 박씨가 서린(일찍 죽음), 의, 해, 증, 황 등 5형제를 낳았는데 퇴계는 그 막내이다. [주차장에서 담은 종택] 퇴계 종택은 도산서원에서 북쪽 방향으로 약 3km의 도산면 토계리에 자리잡고 있다. [退溪先生舊宅(퇴계선생구택) 현판] [퇴계종택 솟을대문]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은 50세 때, 이 곳 토계의 시냇가에 '한서암'을 짓고 살기..
2016.07.14 -
吳一島 生家(오일도 생가)와 詩碑公園(시비공원)
소재지 :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감천리 780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48호 [吳一島詩碑 公園(오일도시비 공원)] 본명은 熙秉(희병)이요 一島(일도)는 雅號(아호)이다. 吳時俊(오시준) 漆原 縣監(칠원현감)의 10세손이며 吳益休(오익휴)선생의 둘째 아들로서 光武(광무) 5년(1901) 영양면 甘川洞(감천동)에서 태어났다. 8세에 私淑(사숙)에서 6년간 한문을 배웠을때도 성적이 우수하였다. [좀더 가까이서 찍은 吳一島 詩碑] 1915년 3월 16세로서 뒤늦게 영양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한 학년을 건너뛰어 1918년에 4학년을 졸업하고 전국의 수재들이 모여드는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 응시 합격하여 입학하였다. 1923년 일본 동경의 立敎(입교)대학 철학부에서 學究(학구)에 精進(정진)하는 한편 詩藝術(시예술..
2016.07.01 -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생가
소재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충청대로841번길 17 [생가 안내팻말] 주차장에 차를 주차해 놓고 골목길로 들어섰습니다. 골목길이 끝나는 곳에 반기문 평화랜드가 보였으며, 만국기가 바람에 펄럭이고 있었다. 평화랜드 앞쪽에 세워져 있는 생가 안내팻말을 보고 생가부터 들려보기로 하였다. [생가 앞쪽에 있는 광주반씨 장절공파 행치종중 사당] 이 곳은 선조영정 다섯분과 위패 삼십분을 모시고 있는 곳으로 광주반씨 장절공파 행치종중 사당으로 2000년도에 건립되었으며, 매년 음력 10월 3일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생가 전경]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생가마을인 행치마을은 보덕산이 좌우에서 감싸안고 있으며, 온화하고 정겨운 느낌을 주는 마을로 생가, 기념관, 평화랜드 및 선영과, 사당, 돌로 만든 세계도(족보), ..
2016.06.24 -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580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전경] 퇴계 이황선생의 형님이신 온계 이해선생께서 살림을 나신 집으로 삼백당 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溫溪先生舊宅(온계선생구택) 현판] [종택 삼문]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솟을삼문 전경] [협분] 정문인 솟을 삼문은 닫혀 있고, 다행이 협문은 열려있었다. 온계종택 주인이신듯 하신 분이 주변 정리를 하시고 계시기에 양해를 구하고 집안으로 들어갔다. [협문쪽에서 담은 전경] [안채 대문] 대문도 닫혀있었지만, 허락을 얻을때 안채에는 들리지 않기로 하였기에 그냥 통과~ [三柏堂(삼백당) 현판] [三柏堂(삼백당) 전경] 1520년경에 지어진 집으로 溫溪(온계) 李瀣(이해, 1496~..
2016.06.20 -
안동 천전리 霽山宗宅(제산종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29호 [霽山宗宅(제산종택) 표지석과 안내판] [안내판 글 내용] [닫힌 제산종택 현대식대문] 안동 천전마을 동쪽 끝편에 있는 齊山宗宅(제산종택)이다. 이 집은 조선후기 영조대 학자이자 관리였던 김성탁이 살았던 집이다. 이 집은 살림집와 김성탁이 후학을 양성하던 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霽山宗宅(제산종택) 전경] 霽山(제산) 金聖鐸(김성탁, 1684~1747) 자 振伯(진백), 호 霽山(제산), 본관 義城(의성) 남인의 명문인 천전김씨(김진의 후손)의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부터 촉망받는 학자였으나, 또한 그로 인해 노론의 집중적인 攻斥(공척)을 받아 유배지에서 생을 마쳤다. 저서로는 '제산문집' 16권이 있다. [霽山宗宅(제산종택)] 종택은 ..
2016.06.17 -
안동 천전리 恥軒(치헌)고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225-1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3호 [입구쪽에서 담은 恥軒(치헌)고택 전경] [안내판 글 내용] [恥軒(치헌)고택] 菊灘(국탄) 金始精(김시정)의 셋째아들 金永運(김영운)이 1785년 分家(분가)할 때 건립한 집이다. 집을 짓는 데 쓴 재목은 인근의 맏집인 菊灘宅(국탄댁)을 짓고 남은 것으로 충당하였다 한다. [대문에서 담은 우측 전경] 堂號(당호)는 金永運(김영운)공의 號(호)를 따라 恥軒(치헌)이라 불렀다. [대문 좌측 고택 전경] 원래는 臨東面(임동면) 知禮里(지례리) 897번지에 위치하였으나 임하댐 건설로 1988년 현 위치로 이건했다. [恥軒(치헌)고택 2]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편에 안채 부속 건물이 있다. 'ㅁ..
2016.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