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고택과 문학관(174)
-
향촌문화관. 대구문학관 둘러보기 종합편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향촌문화관. 대구문학관 전경] [대구 향촌문화관 1층 전시관 입구] 대구 향촌문화관 1층 전시관 둘러보기 [향촌동 사람이 모이는 동네] 대구 향촌문화관 2층 전시실 둘러보기 [3.4층 대구 문학관오르는 계단] 3층 대구문학관 둘러보기 대구문학관 작가와의 만남(그들이 남긴 어록) 다시보기 대구문학관(마음치유 살롱) 요기 클릭 [4층 행복한 문학 서재, 기획전시관] 대구문학관 4층(행복한 문학 서재) 둘러보기 [기획전시관 입구] 구상 展(전)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요기 클릭 [2층 계단에서 담은 1층 향촌문화관 계단] 취조실 같기도 하고 감옥 같기도 한 이곳은 무엇? [1층 기념품 판매점] [기억의 탑 ] 자세히 살펴보니, 붉은 벽돌에 이름이 새겨져 있..
2016.12.20 -
대구문학관 4층(행복한 문학 서재)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향촌문화원. 대구문학관 전경] [대구문학관 3,4층을 잇는 죽순 조형물] [행복한 문학 서재] [행복한 문학 서재 출입구] 이곳은 정말 행복한 곳이랍니다. 왜 행복할까요?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함께 둘러보셔요.^^ [동화. 동시 구연방] 이곳은 가족과 함께 동시나 동화를 구연해 볼 수 있도록 만든 공간입니다. 이용방법 1. 동시. 동화 중에서 구연하고 싶은 작품 고르기 2. 녹음 버튼을 누른 후 구연을 시작 3. 재생 버튼을 눌러 녹음한 목소리 들어보기 4. 저장하기 버튼을 누르면, 녹음된 내용이 애니메이션과 함께 벽면 모니터에서 재생 [동화감상방] 이곳은 대구 문인들의 그림동화를 감상하는 공간으로 이용방법 1. 3편의 동화책중 원하는 한편을 선택 2..
2016.12.19 -
대구문학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3.4층 대구문학관 오르는 계단] [대구, 명작의 본향(조형물) 죽순] 3층 대구문학관 입구에서 담은 전경 '죽순'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4층까지 이어져 있다. [작품 죽순과 대구 명작의 본향 설명 글] [작가와의 동행 설명 글] 문인들이 찾던 다방, 술집 등 골목길에는 그들의 어록들을 만날 수 있다. [김동리(소설가) 어록] 이곳은 문인들이 남긴 어록들을 다시 새겨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두었다. [씨뿌린 사람들] 대구는 민족시인 이상화와 소설가 빙허 현진건, 고월 이장희 등 우리 문학사에 새겨진 별들을 배출한 도시이다. 한국전쟁 때는 오상순, 조지훈, 박두진, 구상, 최정희 등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대구에 모여들어 전쟁기 문화수도의 역할을 ..
2016.12.14 -
대구 향촌문화관 2층(전시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1층 향촌문화관] [1층과 2층 계단 중간 그때 그 시절 사진] [향촌동] 향촌동은 6.25전쟁 당시 전국에서 모여든 문화 예술인들로 인해 당대를 대표하던 시인, 소설가, 화가, 작곡가, 연극영화인, 가수 등이 넘쳐났다. [나의 인생, 우리의 역사] 대구 중구 도심재생문화재단에서는 '생애사열전 100선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으며, 2012년 부터 발간된 생애사 45권과 기증유물, 사진 자료를 통해 격동의 역사 속에 묻혀 있던 이웃 어르신들의 삶과 지난 역사를 되짚어 볼 수 있다. [문화예술인들의 아지트] 특히 구상, 조지훈, 이중섭, 이상범, 김동진, 박사춘 등 이들이 대구로 내려오면서 명실상부한 한국문화예술의 중심이 되었다. 1950년대 다방은 한국..
2016.12.13 -
대구 향촌문화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향촌문화관 전경] [관람금액표] [향촌문화관 입구] 향촌동은 조선시대 대구읍성 안 화약고가 있던 곳으로 읍성이 허물어지고, 신작로가 생기면서 근대 대구의 중심지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8.15 광복, 6.25전쟁을 거쳐 시내로 거듭나기까지의 향촌동의 흥망성쇠를 연표와 사진, 영상자료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입구에서 담은 내부 전경] [대구의 연혁] [향촌동 1900년] [1900~1919년] [대구는 어떻게 변했을까?] [대구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생활물가(여러가지 생필핌 가격, 먹거리, 즐길거리, 탈거리등) 2. 주거. 생활(가구당 거주 인원, 주요 난방방식, 시대별 주요 가전기기등) 3. 보건. 의료(남녀 체격 변화, 출생수, 인..
2016.12.12 -
영광 延安金氏(연안김씨) 宗宅(종택)
소재지 :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동간리 166 중요민속문화재 제234호 [골목 입구에서 담은 전경] 연안김씨의 종갓집이라고 할 수 있는 '延安金氏(연안김씨) 宗宅(종택)'은 조선 말기에 새롭게 고쳐 지은 건물이라 한다. [영광 연안김씨 종택 안내팻말] 연안김씨가 영광에 들어와 살게된 것은 시조의 4대손인 金嶸(김영)이 영광군수로 부임하는 숙부를 따라 이곳에 온 16세기 중엽부터라고 합니다. [안내팻말과 솟을삼문] 첫대문인 솟을 삼문 외관이 특이하게 생겼다. 솟을대문을 2층으로 높여 만든 점이 특이하다. [솟을삼문 전경]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물게 2층 누각으로 된 삼효문. 솟을대문 위에 효자각을 올렸고 고종 5년(1868년)에 건립. 2층 누각은 목재가 썩는 것을 방지하려고 유리 샤시를 설치하였다 한다..
2016.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