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고택과 문학관(174)
-
경주 국립박물관(신라역사관 1실)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경주국립박물관 신라역사관 전경] 그곳의 문화를 알아보려면 박물관을 들리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지요. 경주를 여러번 수도 없이 들렸으나, 박물관은 늘 통과했습니다. 물론 저야 늘 가고 싶었지만, 함께 하는 옆사람이 다른 곳 보기를 더 즐겨해서 늘 시간이 바쁘다며 그냥 지나쳤습니다. [신라역사관 출입구 계단] 이번 경주 여행길에 따뜻한 줄 알았던 기온이 갑짜기 내려가서... 추위에 왕릉이나 문화재 탐방도 하긴 하였지만, 바깥이라 박물관에 들려보고 싶다며 조심스럽게 말을 꺼냈더니, "가고 싶어?" "네" "그럼 가자." 마음이 바뀔까봐서 얼른 쌩하니 달려 박물관 주차장 도착 [신라역사관 전시실 출입구 전경] 어렵게 주차를 해 놓고 여기서 기다릴께 다녀와 하는 남편의 말..
2019.03.04 -
경주 최부잣집(독립유공자 최준 선생 생가)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69 [입구쪽에서 담은 최부자집(국가민속문화재 제27호) 전경] [최부자집 솟을대문 우측 옆 안내판 전경] [경주 최부자댁 안내판 글 내용] [독립유공자 최준 선생 생가 안내판 글 내용] [관람시간 안내] [최부자집 솟을 대문] 솟을대문 형식을 취했으나 화려하지 않으며 수수하고 평범한 최부자댁 대문. 일반적인 솟을대문보다 낮게 지었다고 한다. 솟을대문 전경을 담아보려 하였지만, 한무리의 관광객들이 오래도록 머물고 있어서 우선 내부부터 둘러본 후 나오면서 담아야지 해놓고는 잊었다...ㅠ.ㅠ [대문안 좌측 경주 최부자집(중요민속자료 제 27호) 설명 글] [작은 사랑채 터] 불에 탄 작은 사랑채터는 주춧돌만 남아 있다. 이 주춧돌은 집을 지을 당시 반월성에 있던 왕궁기둥을 받..
2019.01.28 -
박경리 기념관과 박경리 추모공원
소재지 :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신전리 1429-9 [박경리 기념관 안내 팻말 전경] 어느 따뜻한 봄날 친구들 모임에서 통영으로 향했다. 통영에는 볼거리가 참 많다. 그중에서 문학의 향기를 담아내는 곳으로 박경리 기념관과 청마문학관이 있다. 두 곳 다 다녀왔지만, 오늘은 박경리 기념관과 박경리 추모공원을 함께 할까 합니다. [박경리 기념관 전경] 우리나라 대표 소설가였던 박경리 그의 대하소설 '토지' 4대에 걸친 인물들의 삶을 통해 민중의 한과 아픔을 그려낸 작품 한국문학사의 한 획을 긋고 가신 분이셨다. 박경리 기념관 앞 주차장에 주차를 한 후 기념관은 내려올 때 들리기로 하고 우선 묘소가 있는 박경리 공원부터 들리기로 했다. [박경리 공원 안내도] 친구들은 묘소에는 관심이 없는지, 기념관부터 들리려..
2018.10.31 -
旅軒紀念館(여헌 기념관)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383-1 [여旅軒紀念館(여헌기념관) 입구 쪽 전경] [旅軒紀念館(여헌기념관) 전경] [旅軒(여헌) 張顯光(장현광) 선생 좌상] 張顯光(장현광, 1554~1637)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다. 본관 仁同(인동), 자 德晦(덕회), 호 旅軒(여헌)이다. 아버지는 증 이조판서에 추증된 張烈(장열)이며, 어머니는 京山李氏(경산 이씨)로 齊陵參奉(제릉 참봉) 李彭錫(이팽석)의 딸이다. [여헌 장현광 선생 소개 글] [旅軒紀念館(여헌기념관) 현판] [旅軒紀念館(여헌기념관)] [旅軒紀念館(여헌기념관) 출입구] [旅軒紀念館(여헌기념관) 내부 자료 사진과 글] 여헌 선생은 조선 명종 9년(1554년) 구미시 인동에서 태어난 조선 중기 성리학의 대..
2018.10.27 -
丹場里(단장리) 許氏古家(허씨고가)
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단장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10호 [입구 쪽에서 담은 단장리 허씨고가 전경] 지난달 남편은 풍수 회원들과 함께 이곳에 들렸지만, 대문이 닫혀 있었어 둘러보지 못하였다면 답사 일정표를 짜면서 다죽리 손씨고가와 주변 문화재를 둘러 본 후 밀양시 쪽으로 나오면서 단장면 허씨고가도 둘러보기 위해 적어 넣었다. [단장면리허씨고가 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단장리 허씨고가 앞 안내판과 고가대문] 남편이 멀리서 보고는 '또 닫혀 있네' 혼잣말을 하더니, 곧장 허씨고가 대문으로 향하여 발걸음을 재촉하였지만, 역시... 닫혀 있는 대문 앞에서 흔들어도 보고 인기척도 내 보았지만, 허사다. 주차를 해 놓고 뒤따라 왔건만 허당이네.. ᅲ. ᅲ [허씨고가 돌담에 핀 능소화 와..
2018.08.28 -
密陽(밀양) 茶竹里(다죽리) 孫氏古家(손씨고가)
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다죽리 경남문화재자료 제111호 [다죽리 손씨고가 앞 손숙 고향집 대문 전경] 다죽리 손씨 고가로 가는 길 골목길에서 무언가 예사롭지 않은 커다란 솟을 대문과 대문 앞 넓은 공터가 보여 잠시 차를 세우고 살펴보았으나, 어떤 집인지 알 수는 없었다. [대문 앞쪽 뜰 활짝 핀 백일홍] 그래도 사연이 있을 것 같아서 잠시 둘러보았지만, 안내판도 닫힌 대문도 말이 없고, 대문 앞 공터 옆으로 백일홍만 만발하여 나그네의 마음을 달래주는듯하였다. [활짝 핀 백일홍 2] 배롱나무에게 물어볼까? 잠시 꽃에 머물다가 날아가는 나비에게 물어볼까? [활짝 핀 백일홍 전경] 그냥 지나칠 수 없어서 몇 장의 사진을 담고는 뒤쪽 골목 끝에 있는 처음의 목적지인 다죽리 손씨 고가로 향했다. 돌아와..
2018.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