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고택과 문학관(174)
-
전남 吳之湖(오지호) 기념관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432 [주차장에서 담은 오지호 기념관 전경] 오지호 기념관은 인상주의의 대가로 근현대 미술사에 영향을 끼친 오지호 화백을 추모하기 위해 화순군 동복 면민들과 유족, 그리고 화순군청이 뜻을 모아 건립되었다. 1992년에 건립 추진 위원회를 주축으로 기념사업을 추진하였고, 1996년 7월에 오지호 기념관이 준공되었다. 기념관은 지상 1층, 지하 1층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지상 1층은 오지호 화백 작품과 유품인 도록 등 각종 자료를 상설 전시하여 운영되고 있고 한쪽에 관장실이 있다. 지하 1층은 오지호의 두 아들인 오승우. 오승윤 등 국내 유명 작가의 기증 작품 전시실과 수장고,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광주에 가면 / 시인 이성부 짓고 조용선 쓰다] [오지호..
2019.05.06 -
전통한옥의 백미 99칸 집(김명관 고택)
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 814 국가민속문화재 제26호 [고택문화체험관 전경] 김명관 고택과 마주 붙여 지은 이곳은 고택문화체험관으로 외형은 한옥 형태를 유지하되 내부는 한옥의 품위를 유지하면서 멋은 살리되 체험객들이 불편하게 느끼는 한옥생활 선입관에서 벗어나 편리하면서 친근함을 느낄 수 있도록 김동수 가옥을 중심으로 좌측에 조성돼 단순히 거쳐 가던 관광행태에서 벗어나 머물러 가는 관광으로 건축하였다 합니다. [호지집 1] 노비들이 거주하던 집. 가옥 담장 밖 전후 좌우에 모두 8채의 호지집을 배치하였다. 현재는 문화해설사가 머무는 곳으로 사용하고 있네요. [김명관 고택과 안내판 전경] 이 가옥은 김동수의 6대조인 金命寬(김명관)이 정조 8년(1784) 건립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한옥으로..
2019.04.22 -
김삿갓 終命地(종명지)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구암리 542-1 [구암마을 표지석 전경] 전남 화순 답사길에 문득 남편이 김삿갓 문학동산이 조성되어 있다며, "들렸다 갈래?" 한다. 거절할 이유가 없죠. 안간다하면 오히려 제가 삐칠건데..., ㅎㅎ [시선 난고 김병연 김삿갓 종명 초분 유적지 표지석 전경] 네비에 주소를 넣고 달리다가 구암마을 표지석이 보이자 좌측으로 꺾어 들어가자는 네비양의 말에 좌측으로 꺾으들어가며 잠시 한쪽에 주차를 했지요. 왜냐구요? 사진을 담기위해서...ㅋ [시선 난고 김병연 김삿갓 종명 초분 유적지 표지석] 난고 김병연은 몰라도 방랑 시인 김삿갓하면 모르는 이 없죠. 화순은 김삿갓과 특히 인연이 많은 곳입니다. 김삿갓은 평생 화순을 3번 찾았으며 6년간 머물다 이곳에서 숨을 거두었으니, 그..
2019.04.16 -
신라역사관 4실(신라의 융성과 멸망)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신라역사관 4실 입구 전경] [4전시실 안내도] 신라는 660년 백제, 668년 고구려를 차례로 멸망시키고 676년에는 당나라를 물리치면서 한반도 최초의 통일국가를 이룩합니다. 통일 후, 안정된 사회에서 세련되고 화려한 통일 신라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8세기 후반부터 혼란기가 시작되면서 신라의 국력은 점차 쇠약해졌습니다. 결국, 왕건이 세운 고려(918~1392)에 항복하면서 신라도 멸망합니다. 4전시실 대표 전시품으로는 사천왕사 녹유사천왕전, 원화십년명 뼈항아리, 문무왕릉비편 등이 있습니다. [신라왕경 모형 전경] [경주 왕릉과 유적지 안내도] [신라왕경 모형] [전시실 내부 전시된 유물] 문무왕(재위 661~681)은 무열왕(재위 654~661)의 첫째 아들..
2019.03.08 -
신라 역사관(3실 강력한 중앙집권 왕국)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신라 역사관 / 3실 출입구 전경] 제3실에서는 신라의 영역확장과 중앙집권화의 과정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주요 전시품으로는 불교와 관련되는 흥륜사와 영묘사 출토품, 진흥왕대의 영토 확장을 보여주는 진흥왕 순수비 탑본, 전쟁을 대비해 쌓은 남산신성비와 명활산성작성비, 삼국 통일에 크게 기여한 화랑이 남긴 임신서기석(보물) 등이 있습니다. [포항 중성리(국보 제318호) / 포항 냉수리(국보 제264호) / 울진 봉평리(국보 제242호) / 신라비] 浦項中城里新羅碑(포항 중성리 신라비) 국보 제318호. 2009년 5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학성리에 거주하는 김헌도씨가 북구 흥해읍 중성리 도로공사 현장에서 발견한 현존 最古(최고)의 신라비이다. 발견 당시에는 ..
2019.03.07 -
신라 역사관(2실 황금의 나라, 신라)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2실 황금의 나라, 신라 출입구] [2실 황금의 나라, 신라 안내도] [황금의 나라, 신라 설명 글 내용] [금관총 금관 발견 안내 글 내용] [金冠塚(금관총)] 1. 金冠(금관) 2. 드리개 3. 유리 구슬 4. 가슴걸이 5. 옥 6. 팔찌 7. 금 허리띠와 꾸미개 8. 금동 신발 [앞쪽에서 담은 경주 금관총(신라 5세기)] [뒷쪽에서 담은 경주 금관총(신라 5세기)] [전시실 내부 전시된 여러 종류의 출토 유품] [전시실 내부 전시된 여러 종류의 출토 유품] [전시실 내부 전시된 여러 종류의 출토 유품] [皇南大塚(황남대총)] [신라 왕릉, 황남대총 설명 글 내용] 실크로드를 거쳐 온 물품 신라는 한반도 동남쪽 끝에 자리하였으나 끊임없이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
2019.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