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고택과 문학관(174)
-
떡볶이 박물관 / 신전뮤지엄
앞쪽 안내데스크에서 열체크 그리고 방문기록 적은 후에 입장 할 수 있다. 열체크와 방문기록을 남겼으면, 이곳을 통과해서 들어갑니다. 아참 이곳을 들어가시려면 입장료가 있습니다. 입 장 료 : 성인 1만원, 중고생 8천원, 어린이(36개월이상) 7천원 운영시간 : 12시~17시30분(입장마감 16시30분) 월화 휴무 전 미술관 전시작품을 보려 왔다하니 그냥 통과 시켜주었어요.^^ 입장권을 사면 목걸이 출입증과 스탬프 찍는 지도를 받을 수 있다. 스탬프를 완성하면 기프트샵에서 엽서 두장을 주며, 또 떡볶이와 튀김 시식 떡볶이 포장해 갈 수도 있다하니 그렇게 따지면 비싼 편은 아닌듯 하네요. 양쪽 벽면에는 80여개국의 언어로 번역한 신천떡뽁이의 맛과 문화를 알리는 글들이 적혀 있다 합니다. 이곳은 통과하겠습니..
2021.05.20 -
DGB대구은행 금융박물관
DGB대구은행 금융박물관은 수성구에 있는 대구은행본점 건물 지하 1층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저도 우연히 은행에 들렸다가 알게되어 들려보았기에 잇님들과 함께 하기 위해 열심히 담아와서 소개합니다.^^ DGB대구은행 금융박물관 을 관람하시려면 이곳에서 영상을 본 후 영상이 끝나면 입구문을 개방해 줍니다. 그때 들어가셔야 한답니다.^^ 전 딱 점심시간에 걸릴 것 같아서... 부탁을 드렸지요. 영상을 건너뛰면 안되느라고, 그랬더니 흔쾌히 허락해 주셨습니다. 그때의 고마움을 담아 이자리를 빌어 다시 한번더 감사드립니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잘 꾸며 놓았지만, 검은 대리석에 새겨놓은 글을 담기위해 담았더니 제 모습이 그림자로 다 비쳐저서 전체의 전경만으로 소개하고 통과합니다.^^ 기증자 명예의 전당 Col..
2021.04.14 -
대구교육박물관(문화체험실)
대구교육박물관에서만 만나는 특별한 공간 '디지털아쿠아리움' 직접 그린 그림이 디지털 아쿠아리움의 스크린 속에 나타나는 활동을 통해 창의성과 미술적 표현 및 감상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온다면 아주 좋은 곳이죠. 쉬면서 구경도 하고 색칠도 하고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밤하늘의 별처럼 반짝반짝 아름다운 별들이 땅위에 내려 앉은듯 화려했습니다. 색칠한 그림을 스케너해서 아쿠아리움 속에 띄운답니다. 내가 색칠한 그림이 살아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는 곳이죠. 아이쿠 어떻게 큰 물고기가 덥석 잡아먹어버렸어요....ㅠ.ㅠ 밑거림이 그려진 물고기 해마, 날치, 오징어, 문어 등 다양하게 많네요. 색칠을 할 때 진하게 해야 더 예쁘게 나타난다합니다. 최대한 알록달록 예쁘게 칠하면 좋겠..
2021.03.18 -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교육(대구교육박물관)
예전에, 임금이 신하에게 주는 공식적인 임명장을 이르던 말. 조선 시대에 임금이 사품 이상이 관리에게 주던, 임명이나 해임에 관한 문서이다. 조시원이 문과에 응시하여 제출한 과거 답안지이다. 오른쪽에는 응시자인 조시원의 내력을 알 수 있도록 그의 부, 조부, 증조부 및 외조부의 이름이 차례로 적혀 있고, 왼쪽에는 시제에 대한 답변을 적었다. 공정한 채점을 위해 답안지 작성자의 인적 내용을 자른 후에 제출하였기 때문에 두 장으로 분리되어 있다. 論語(논어). 孟子(맹자). 大學諺解(대학언해). 中庸諺解(중용언해). 書傳大全(서전대전). 詩經諺解(시경언해). 周易諺解(주역언해) 司馬榜目(사마방목) 司馬試(사마시)는 생원과 진사를 설발하는 과거시험인 소과의 다른 이름이다. 사마방목은 사마시의 합격자 명단을 수..
2021.03.11 -
교육역사관 1(전통교육)
"인간은 교육을 통하지 않고서는 인간이 될 수 없는 유일한 존재이다." -임마누엘칸트(독일 철학자, 1724~1804)- 壬申誓記石(임신서기석) 두 명의 화랑이 유교경전을 익히고 나라에 충성을 다할 것을 맹세하며 새긴 비석 (보물 제1411호) 蔚州川前里刻石(울주 천전리 각석) 화랑이 인물과 기마행렬, 화랑의 명칭, 관직명 등을 돌에 새겨 당시의 생활상 반영 (국보 제147호) 신라 화랑, 삼국통일의 주역 화랑도는 신라시대 청소년 수련단체로 나라를 이끌어 갈 인재를 길러내는 역할을 하였다. 세속오계를 바탕으로 심신을 단련하였으며, 삼국을 통일한는데 이바지하였다. 대표적인 화랑 : 김유신, 관창, 사다함 서당은 천자문 등 한문의 기초를 배우고 유교적 예절을 익히는 곳으로 개인이나 주민이 공동으로 세운 교육..
2021.03.09 -
대한민국 교육과정의 변천
우리나라 교육 목표인 '홍익인간'의 정신을 바탕으로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교육을 강조하였다. 교과가 사회생활과 공민. 지리. 역사. (일반과학 물리. 화학. 생물), 실과와 수공(가사. 재봉. 수예 실업 등) 미술(습자. 도화)로 통합되어 이후의 교과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 손으로 만든 최초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이라는 점에서 제1차 교육과정으로 불린다. 교과 중심, 생활 중심을 지향하였으며 광복 후의 사회적 혼란과 6.25 전쟁으로 인해 반공. 도의. 실업 교육을 강조하였다. 생활 중심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격을 표방하며 교육과정 내용 면에서 자주성, 생산성,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부분 개정을 통해 반공, 도덕 생활을 강화하고, 완전한 한글 사용을 위해 한자 교육을 하지 않도록 하였다. 학문 중심 ..
2021.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