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10)
-
청도 읍성과 형옥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상리 45-2 [청도 읍성 전경] 우쿨 여름방학 하기 전 야외수업으로 청도 유호연지 군자정으로 정하였지만, 미리 오신 어르신님들이 자리를 꽉 메워 연지에 핀 연꽃만 담고, 기념 촬영 후 2번째의 장소 꽃자리 옆 청도 읍성 아래쪽 쉼터(원두막)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날의 일정을 함께 해보시고 싶으시다면 우쿨렐레 야외수업 을 클릭해 보셔요.^^ [안내팻말] 야외 수업후 들릴 곳도 정해져 있었기에 시간이 촉박하여, 꽃자리를 건너뛰고 쉼터(원두막)으로 가는 길에 만난 안내팻말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석빙고와 향교에는 오래전 들렸기에 그런대로 통과할 수 있지만, 읍성과 동헌은 처음이라 건너 뛰기가 쉽진 않다. 그러나, 혼자가 아닌 일행과 함께 수업도 해야하고 다음의 일정을 다 ..
2019.08.12 -
청도 송금리 마을 황금빛 가로등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다로리 337 [송금교회 전경] 신도로가 좋긴하지만, 옛 정취를 느껴볼까하고.. 용암온천 다녀오는 길에 구길로 빠졌다. 혹시 운좋으면 남아 있는 감을 만날까 하는 기대감을 가지고 [송금교회와 감나무] 감와인터널로 가려면 송금교회쪽으로 들어가야 한다. 와인터널은 서너번쯤 다녀온 곳이라 오늘은 그냥 통과 하려다가 송금교회 옆 도로변 감나무에 황금빛 감이 주렁주렁 달려있기에.. 얼른 차를 우측 넓은 공터쪽에 세우고 길을 건너 갔다. [송금교회 옆 감가로수와 도로 전경] 담아온 감들을 올려봅니다. 이웃님들 즐감하셔요.^^ 감하면 떠오르는 박인로님의 早紅柿歌(조홍시가) 떠오른다. 早紅柿歌(조홍시가) / 박인로 盤中(반중) 早紅(조홍)감이 고아도 보이나다. 柚子(유자) 안이라도 품..
2017.11.21 -
청도 도로변 가을 풍경
[청도 송금마을 도로변] 예전 사진을 정리하다가 우연히 만난 풍성한 가을 놓칠 수 없지요. 적당한 곳에 차를 세워놓고 턴!~^^ 그날 담아 온 푹 익어가는 청도 감 소개합니다. 조선 명종 1년(1545년) 이서면 신촌리 세월마을 출신인 일청제 박호 선생께서 평해군수로 재임하다가 향리로 귀향시 중국에서 전래 되었다는 감나무의 접수를 무속에 꽂아 가지고 와서 청도의 감나무에 접목한 것이 이곳 토질과 기후에 맞아 세월반시가 되었고 청도의 전역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고 한다. 감의 종류 - 연시, 홍시, 곶감, 반시, 단감, 뾰주리 감, 고욤등이 있다.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빛이 붉다. 익기 전에는 떫은맛이 나지만 익으면 단맛이 나며 그대로 먹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감의 효능 감에..
2017.10.16 -
청도 유등지 君子亭(군자정)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 1리 [柳湖蓮池(유호연지)와 君子亭(군자정) 안내판] 청도 팔경중의 명승지이며, 전국 명승지 百選(백선) 중의 한곳인 이곳은 固城李氏(고성이씨) 청도 입향조 慕軒公(모헌공) 諱(휘) 育(육)선생이 백형 쌍매장 휘 윤 중형 망헌공 휘 주 형제들과 점필재 김종직 선생사화에 부친이 부관참시 되는 등 가문이 수난을 당하게 되자 벼슬을 버리고 안동에서 두형의 유배지인 거제와 진도로 문후차 왕래하던 중 산수수려하고 生利(생리)가 넉넉한 이곳 유곡지에 흥해인 죄자순의 딸과 혼인하여, 전거하며 신라지라 불리던 못을 깊이 2미터 넓이 7만여평방미터, 둘레 700여 미터로 파고 넓혀 연을 심고 지명을 유호연지라 이름지었다. 위 안내판글을 초장부분만 옮겨 적어 보았습니다. [固城李氏世..
2017.08.30 -
淸道梅田面(청도매전면)의 처진 소나무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 151-6 천연기념물 제295호 [안내판]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는 소나무다. 그만큼 우리 주위에 흔하고 수천 년 동안 한반도에 자리 잡고 살아오면서 민족과 애환을 함께한 이유일 것이다. 다른 침엽수가 대부분 단일 종인 것에 비하여 소나무는 여러 품종이 있다. 이곳에 자라는 소나무는 이름 그대로 가지가 밑으로 늘어져 자라는 것이 특징이라한다. 운문사로 가는 도로 아래 유천강쪽으로 자라고 있다. [처진 소나무] 가지가 아래로 축축 늘어져 있어서 매우 독특하고 아름다운 모양을 하고 있으며, 늘어진 가지가 버드나무를 닮았다고 하여 柳松(유송)이라고도 한다. 처진소나무는 보통 소나무가 주위 다른 나무의 압박을 받아 가지가 밑으로 늘어지기 시작한 환경요인인지..
2016.07.13 -
청도 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교촌리 48 경북유형문화재 제207호 [안내판 글 내용] [청도 향교 일각문] 1985년 10월 15일 경상북도유형문화제 제207호로 지정되었다. [향교 삼문] 1568년(선조 1)에 군수 이선경이 고평동에 세웠다가 1626년(인조 4)에 합천동으로 옮겼으며, 1734년(영조 10)에 화양읍 교촌리로 다시 이전하였다. 대성전과 동. 서무, 내삼문, 명륜당, 동. 서재, 思樂樓(사락루) 등 8동의 건물이 있다. [明倫堂(명륜당) 현판] [明倫堂(명륜당)] 명륜당은 이익공계 집이며, 사락루는 2층의 누각 건물로 아래층에 출입문이 나 있다. 조선 선조 1년(1568)에 고평동에 세웠던 것을 영조 10년(1734)에 지금의 자리에 옮겨 지었으며, 일명 華陽鄕校(화양향교)라고도 ..
2016.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