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10)
-
淸道石氷庫(청도석빙고)와 淸道邑城(청도읍성)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285 보물 323호 [안내판 글 내용] [출입금지 경고문] [淸道石氷庫(청도석빙고)] 석빙고는 얼음을 저장하기 위해 땅을 파고 만들어둔 창고이다. 양쪽 벽을 이어주던 반원아치형태의 紅霓(홍예)가 4군데 남아있을 뿐 천장은 완전히 무너져 불완전한 상태이나, 지금까지 남아있는 우리나라 석빙고 가운데 경주석빙고(보물 제66호) 다음으로 큰 규모이고 쌓은 연대도 오래된 것이다. [내부 모습] 동. 서로 뻗은 긴 구조로, 서쪽에 문을 두었으며 계단을 따라 안으로 들어가면 경사진 바닥이 보인다. 가운데에는 물이 빠지는 길을 두고 동쪽에 구멍을 만들어, 석빙고 밖의 작은 개울로 물이 빠지도록 하였다. [석빙고 출입구] 석빙고의 입구 왼쪽에는 石碑)(석비가 서 있는데, 앞면에..
2016.01.25 -
청도, 德寺(덕사) 또는 떡절
소재지 : 경상북도 화양읍 소라길 16-107 [건너편에서 덕사 주변 전경] 주구산의 거대한 숲이 보호하듯 덕사 지붕만 간신히 보여주네요. [덕사로 가는 잠수교(?)] 덕사는 가는 길부터가 남다르다. 들어가는 입구 길이 물(잠수교) 속에 있기 때문에 처음 가는 사람은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가뭄이 들어 물이 줄어들지 않으면, 대부분 다리가 물에 잠겨있기 때문에 다리를 건너려면 자주 다닌 사람이 아닌 초행길에는 들어가기가 쉽지 않다. 섬 아닌 섬처럼 비가 많이 오면 그 잠수교마저 차량이 통제가 되기도 한다. [파랑새 다리] 이 다리를 지나 갈 수도 있지만, 이곳은 차량통행은 금지 걸어서 덕사로 가야한다. 덕사를 찾으려고 근처 주민들에게 덕사가 어디냐고 물으면 다들 고개를 갸우뚱하며 모른다고 하는데, 떡절이..
2015.12.07 -
시조시인 李鎬雨(이호우) 李永道(이영도) 오누이 생가를 찾아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 259-24 등록문화재 제293호 비 개인 햇볕이 쨍쨍 한 날. 우린 청도에서 밀양으로 넘어가는 도중에 있다는 시조시인 이호우님과 이영도 남매의 생가와 詩碑(시비)공원을 찾아 집을 나섰다. 올림픽대로를 그쳐 새로 생긴 길을 넘으니 곧장 경산병원이 보이고 우회전으로 꺾어 남성현재를 구비돌아 올라 정상에 있는 휴계소에 주차 했다. 예전에 보았던 이호우님의 '살구꽃 피는 마을'의 詩碑는 없어지고, 그 자리엔 싸움하는 소 두마리가 조각되어 있었다. 휴계실 밑 식당에서 시원한 콩국수로 점심을 대신하며, 주인에게 여쭈어보았지만.... 모른단다. 수첩에 적어온 대로 찾아갈 수 밖에 없다. 다시 출발하여 용암온천도 지나 사거리...어디로 가야할까? 잠시 길가에 차를 정차시켜놓고..
2015.10.19 -
청도 龍岡書院(용강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학산리 450 시도기념물 제129호 [마을 입구쪽에서 담은 용강서원 전경] [十四義士碑閣(14의사비각) 현판] [서원 앞 十四義士碑閣(14의사비각) 전경] 안내판에 적힌 내용을 알아보면, 이곳은 忠肅公(충숙공) 朴翊(박익, 1332~1398)과 임란 14의사를 제향하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이곳에는 임진왜란 때 忘憂堂(망우당) 郭再祐(곽재우) 등과 연합하여 의병을 일으켜 청도, 경산 등지에서 왜적들에게 큰 타격을 준 삼우정 朴慶新(박경신), 慶因(경인), 慶傳(경전), 慶胤(경윤), 慶宣(경선), 智男(지남), 哲男(철남), 瑄(선), 璨(찬), 璘(린), 瑀(우), 瑾(근), 琡(숙), 球(구) 등 14의사를 모신 사당이다. 이들 14의사는 부자, 형..
201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