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와 누각(37)
-
쌍봉리 忠臣閣(충신각)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498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59호 [쌍봉리 충신각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쌍봉리 충신각 출입문 전경] 다행히 협문은 바깥쪽에서 열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열고 들어갈 수 있어 조심스럽게 열고 들어갔다. [金海金氏忠臣門(김해김씨충신문) 현판] 협문을 열고 들어서니 곧장 현판이 보였다. 현판은 金海金氏忠臣門(김해김씨충신문)으로 되어 있다. [金海金氏忠臣門(김해김씨충신문) 내부] 건물의 규모는 앞면 2칸, 옆면 1칸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며, 단청을 하였으나 소박하며, 뒤쪽만 벽을 설치하고 나머지 3면은 화살 모양의 나무(홍살)를 돌려 개방하였다. [좌측 충신각 내부 전경] [충신 행훈련판관 철산부사 ..
2019.04.24 -
경주 東宮(동궁)과 月池(월지)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517 [경주 동궁과 월지 출입구 전경] 경주는 천년의 고도라고 주로 말한다. 약 천 년 동안 신라의 도읍이었으며, 단 한 번도 도읍지를 옮기지 않았다 한다 그래서 신라의 역사 유적, 유물들이 도시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경주는 자주 다닌곳이기도 하여 많이 알고 있다 생각을 하였는데, 그렇지 못하였나보다. 동궁과 월지로 가자 하는데, 낮선 이름이라 뭐지? 하였는데, 와서 보니 눈에 익고, 귀에 익숙한 雁鴨池(안압지) 였다. [동궁과 월지 안내판 글 내용] [동궁과 월지 안내도] 1. 복원건물(제1건물) 2. 복원건물(제3건물) 3. 복원건물(제5건물) [경주 역사 유적 지구 안내 글 내용] [복원건물(제1건물) 전경] 복원건물(제1건물) 앞쪽으로 보이는 공터는 월지 ..
2019.02.21 -
경주 사적 제457호 月精橋(월정교)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274 [교촌마을쪽에서 담은 月精橋(월정교) 전경] 월성 서쪽 끝에 위치하며 남천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경덕왕 19년 2월 궁성 남쪽 문천에 월정교와 춘양교 두 다리를 놓았다고 한다. [교촌마을 쪽 안내판 글 내용] [교촌마을쪽 月精橋(월정교) 현판] [교촌마을쪽에서 담은 月精橋(월정교)] 고려시대 문관 김극기가 월정교를 보고 “무지개 다리가 거꾸로 강물에 비친다”는 시를 남겼다. 이를 감안하면 다리는 아치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경주시는 해외 사례 등을 검토해 일직선의 들보교로 복원하여, 고증을 무시한 채 마구잡이식으로 이루어졌다며 설왕설래 중이라 하네요. [교촌마을쪽에서 월정교 내부 전경]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 지어졌던 교량으로, 조선시대에..
2019.01.25 -
慶尙監營公園(경상감영공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21 [대구 근대역사관 쪽에서 담은 경상 감영공원 전경] 대구 근대역사관 2층 기획실에서 '사진엽서로 떠나는 대구 근대 여행'展을 본 후 그냥 지나쳤던 경상 감영공원을 가는 길에 여러번 들린 곳이지만, 다시 담아 소개할까 하고 담기 시작하였다. 겨울철이라 잎이 다 떨어져서 별 다른 감흥이 없을 줄 알았는데, 겨울은 또 겨울대로 둘러보는 맛이 있네요. [앞쪽 통일의 종각 과 징청각 전경] 통일의 종 조국 통일을 기원하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달구벌대종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제야의 종 타종식을 거행했었지만, 현재는 달구벌대종에게 그 자리를 물러주고 조용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돌다리] 조선 선조 34년(1601) 경상감영이 있던 장소로서 대구도심 중앙에 위..
2019.01.19 -
구미 금오산 採薇亭(채미정)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249 경상북도 기념물 제55호 [채미정 도로 건너 맞은편 주차장 입구 전경] 이곳에 주차를 해 놓고 남편의 배웅을 받으며 혼자 채미정으로 향했다. 마음 놓고 사진을 찍고 돌아오라는 말을 듣긴 하였지만, 그래도 마음은 급하다. [채미정 앞 계곡 작은 폭포] 녹음이 우거진 숲속으로 들어서니 떨어지는 작은 폭포 물소리가 우렁차다. [채미정 정화 기념비 뒤면 과 앞쪽 안내판 전경] 앞쪽에 보이는 碑(비)는 채미정 정화 기념비 뒷면이며 앞쪽으로 안내판이 자리하고 있다. [採薇亭淨化記念碑(채미정정화기념비) 앞면] [採薇亭淨化記念碑(채미정정화기념비) 앞면 전경] [정화비 쪽에서 담은 앞 전경] 앞쪽 하마비와 채미정 표석비와 야은 길재 선생의 회고가 시비가 자리하고 있다. [懷古歌(..
2018.10.25 -
밀양 月淵亭(월연정)
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시 용평동 2-1 경남 유형문화재 제243호 국가지정 명승 제87호 [밀양 월연정 입구 쪽 월연 터널 전경] 우측 월연정 안내판 사이의 도로 건너편에는 용평(백송) 터널이란 표시판이 세워져 있으며, 아래쪽에는 똥개란 영화 촬영지였다는 표시도 함께 되어 있네요. 영화를 감상하지 못하여 잘은 모르겠지만, 제목만 보고도 피식 웃음이 나오게 한다. ㅎㅎ [월연 터널 안내글 내용] 이 좁고 긴 터널을 통과하려면 앞에서 오는 차가 없는지 살펴보고 지나가야 한다. 중간에서 만난다면 피할 수 있는 공간이 없기에 누군가 한쪽이 뒤로 되돌아가야 할 수밖에는 없다. 물론 저도 살펴본 후 가야지 했는데, 마침 앞서 달리는 차가 있기에 뒤따라 무사히 지나올 수 있었다. 터널을 빠져나오면 곧장 월연정 팻말..
2018.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