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동(30)
-
에밀 타케 신부와 왕벚나무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로4길 112(천주교 대구대교구청) [안내판과 왕벚나무 전경] 대구대교구청 내 오래된 왕벚나무가 제주도 왕벚나무 자생지의 나무와 유전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안내판 글 내용과 에밀 타케 신부] 구한말 프랑스인 선교사 에밀 타케, 한국명 嚴宅基(엄택기) 신부(위 사진) 死後(사후) 대구대교구청내 성직자 묘역에 잠들어 계신다. [왕벚나무 전경] 에밀 타케 신부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으로 우리나라에 파견된 사제이면서 식물학자로서 다양한 식물을 채집하여 세계에 한국의 식물을 알려 다양한 식물의 존재를 연구하게 하고 왕벚나무의 원산지가 한국임을 알게 하였다. [왕벚나무] 현재 남산동에는 에밀 타케신부가 심은 왕벚나무 3그루가 심어져 있으며 대구시에서도 이..
2017.03.31 -
대구대교구청내 성직자 묘역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13-1 [성직자 묘소 입구 전경] 1911년 부터 현재까지 사목을 하시다가 선종하신 성직자가 모셔져있는 곳 입니다. [성신강림(성직자 묘역 입구쪽 조각)] [ALLELUIA(성직자 묘역 입구쪽 조각)] [성직자 묘소 입구] 성직자 묘지 입구 좌우에는 'HODIE MIHI' '오늘은 나' 'CRIS TIB" 내일은 너' 라는 라틴어는 지금 이곳에 잠든 성직자들에게 찾아온 죽음이 내일은 바로 우리에게 찾아올 것이라는 의미라 합니다. [입구쪽에서 담은 전경] 매일마다 새롭게 부여받는 '오늘 하루'가 그야말로 신비한 은총의 하루임을 깨닫게 된다. [좌측 성직자 묘역 전경] 대구대교구에 부임해서 사목활동을 하시다가 국내외에서 선종한 성직자 66명이 영원한 안식을 누리는 성지이..
2017.03.30 -
聖母堂(성모당) 십자가의 길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25-1 [십자가에 죽으심을 선고받으심] [십자가를 지심] [기력이 떨어져 넘어지심] [성모님을 만나심] [시몬이 예수님을 도와 십자가 짐] [베로니카, 수건으로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드림] [기력이 다하신 예수님께서 두 번째 넘어지심] [예루살렘 부인들을 위로하심] [세 번째 넘어지심] [옷을 벗기고 초와 쓸개를 마시게 함] [십자가에 못박히심]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심] [제자들이 예수님의 시신을 십자가에서 내림] [무덤에 묻히심] '슬픔의 길' 혹은 '고난의 길'로 불리기도 하는 '십자가의 길'은 예수 그리스도가 본디오 빌라도에게 재판을 받은 곳으로부터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 언덕(갈라비아언덕)을 향해 걸었던 약 800m의 길과 골고다 언덕에서 십자가 처형에 이르기까..
2017.03.29 -
聖母堂(성모당)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25-1 대구유형문화재 제29호 [천주교대구대교구청 출입구] [천주교대구대교구청 현판] [산상설교(참된 행복) 碑(비) 전경] [산상설교(참된행복)]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다녀가시며 예수님의 손을 잡고, 간절하게 기도를 하셨는지... 두손이 하얗게 반들반들하게 변해버렸네요. 예수님 그들의 간절한 기도의 소원을 들어주셨겠지요. [성모당 오르는 입구] 평화가 여러분과 함께 라는 글이 반겨주네요.^^ [안내판 글 내용] 성모당 가는 길 좌우측 십자가의 길을 조각해 놓았다. 십자가의 길은 다음날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성모당 안내판] [우측에서 담은 성모당 전경] 1990년 12월 15일 대구광역시유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되었다. 프랑스 루르드 동굴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하며,..
2017.03.28 -
2,28민주운동기념회관(역사현장 포토와 그림작품)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113-10 [기획전시실 입구에서 담은 전시실 내부 전경] 2.28 민주운동기념회관 기획전시실에 전시된 자료 사진과 2.28 관련 미술 공모에서 당선된 작품들 소개합니다. [경북고교생들이 2.28당시 교문을 박차고 나가는 모습] [2.28당시 대구지역 고교생들의 데모 관경] [4.19당시의 대구학생 데모(대구중앙로)] [2.28당시 경북도청 광장에 모인 경고 데모대] [2.28직후 대구학생들이 대구중앙로를 시위하고 있는 모습] [2.28당시 데모가 좌절되자 교실에서 농성하는 부고생들] [2.28 대구학생의거 기념탑 이전(1990.2.28 두류공원)] [경북고교생들이 2.28당시 교문을 박차고 나가는 모습] [2.28대구학생 시위도중 많은 학생부상자 발생] [2.28당시..
2017.03.25 -
2.28 민주운동기념회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113-10 [2.28 민주운동기념회관 현판] [2.28 민주운동기념회관 전경] [2.28 민주운동기념회관 출입구 전경] [2.28 민주운동 안내판 글 내용] [2.28 민주운동기념동산 안내 글 내용] [횃불] 1층 전시실 입구로 사람이 들어가면 횃불에 불이 들어온다. 2.28 민주운동은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사에 있어 첫 횃불을 상징한다. 당시 운동을 주도하였던 학생들의 모습이 벽화처럼 벽에 새겨져 있다. 1960년 2.28 민주운동이 일어나게된 역사적배경을 년대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놓아 그때의 상황을 잘 알 수 있다. [냉돌방의 결의] 빈곤과 불법적 인권 유린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1960년 2월 28일 대구지역 8개 고등학교 학생들이 일으킨 대한민국 정부 수..
2017.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