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43)
-
藥泉(약천) 南九萬(남구만)선생 묘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초부리 산1-5 용인시 향토유적 제5호 [묘역 가는 길] 南九萬(남구만, 1629~1711년)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顯宗(현종)과 肅宗(숙종) 때의 문신으로, 송준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숙종 때의 少論(소론)의 領袖(영수)로 자는 雲路(운로). 호 藥泉(약천), 美齋(미재). 본관은 宜寧(의령)이다. 개국공신 남재의 후손으로 오달제의 처조카이며 시호는 文忠(문충)이다. 그는 文詞(문사), 書畵(서화) 에도 뛰어났다.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와 '藥泉集(약천집)'이 있으며, 글씨로는 左相南智碑(좌상남지비). 開心寺(개심사). 楊花樓(양화루). 迎送樓(영송루) 등의 額字(액자)를 남기고 있다. [정면에서 담은 신도비 전경] 묘 아래 신도비를 세웠는데 그 좌측에 '동..
2015.08.27 -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의 아버지 許曄(허엽) 묘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맹2리 [許曄(허엽) 묘역 전경] 許曄(허엽, 1517~1580)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로, 자 太輝(태휘), 호 草堂(초당), 본관 陽川(양천)이며, 강릉초당의 맑은 물로 두부를 만들어 초당두부의 기원이 되기도 하였다. 시호 文簡(문간). 그의 슬하에 許筬(허성), 許篈(허봉), 許筠(허균), 許蘭雪軒(허난설헌) 4남매가 있었는데 모두 시문에 뛰어났으며, 특히 許蘭雪軒(허난설헌)은 규수시인으로 이름이 나서 황진이, 신사임당과 함께 삼대여류로 꼽혀왔다. [묘 앞 좌측 문인석] 일찍부터 영리하고 조숙하였으며 노수신에 의하면 7, 8세에 孝友(효우)가 남달랐고 스승에게 나아가서는 번거로이 勸督(권독)하지 않아도 월등히 진취하였다 한다. 어려서 羅湜(나식)에게 소학, 근사록..
2015.08.21 -
延安李氏 烈女旌閭閣 (연안이씨 열녀정려각)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 [연안이씨 열녀정려각 전경] 연안이씨는 이형원의 딸로, 16살 때 박래영과 결혼하였는데, 시어머니는 이미 작고하였지만, 시아버지는 병환으로 문밖 출입도 못하고 있었다. 대소변을 받아내는 등 7년여 동안 극진히 간병하였으나 시아버지는 마침내 세상을 떠났다. 남편 박래영도 병약하여 24살 되던 해에 세상을 떠나자 연안이씨는 그날 밤 남편의 뒤를 따라 자결하였다. 이러한 열행을 기려서 1892년(고종 29)에 나라에서 열녀정문을 내렸다.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연안이씨 열녀정려각 전경 2] 정려각은 정면과 측면 모두 1칸이다. 외벌대 기단을 조성하고 원형 초석 위에 두리기둥을 사용하였다. 기둥 머리에서 초익공을 두었으며, 지붕은 겹처마로 암수막새를 ..
2015.08.05 -
蛟山(교산) 許筠(허균) 墓所(묘소)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맹리 산63 [허균 묘소 안내팻말] 높다랗게 붙어 있는 안내팻말 주변을 뱅뱅 두어번은 들린것 같다. 네비양은 근처에 왔으니, 안내를 마친다고 안내를 마치고... 주변에 사시는 분들께 여쭈어 여쭈어 찾아왔다. [遷奉記念碑(천봉기념비) 전경] [遷奉記念碑(천봉기념비)] 許筠(허균)의 가족 墓域(묘역) 입구에 세워진 遷奉記念碑(천봉기념비)를 세운 이유는 원래 허균가족묘지는 본래 서울 서초동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도시개발로 이곳으로 옮겨졌고 이를 기념해 1968년 이 비석을 세웠다 한다. [許草堂(허초당) 神道碑(신도비)] 20여 미터 안쪽 우측에는 허초당의 신도비가 서 있으며, 비문은 노수신이 짓고 한석봉이 썼다 합니다. 허균의 아버지 許曄(허엽)은 중종 12년(1517)..
2015.07.16 -
磻溪(반계) 유형원(柳馨遠) 선생 墓(묘)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 산28-1 경기도 기념물 제31호 [반계선생 묘소에서 마주 보이는 조비산(투구봉)] 磻溪(반계) 선생의 묘를 찾아 가는 길에 선생의 묘에서 마주 보이는 조산인 조비산을 담아 보았다. 사진으로 보이는 조비산 뒤쪽 산 중턱쯤에 선생의 묘가 있습니다. [선생의 묘소 안내석과 안내팻말] 여기까지는 순조로웠지요. 팻말에서 알려주는 대로 오솔길을 한참을 더 들어가니 외딴곳에 건물이 한채 있었습니다. [안내팻말] 건물 마당 한 켠으로 안내팻말이 보이는 곳에 우선 주차를 해 놓고, 묘지로 향하려 하였더니... 건물안에서 주인이 나와서 왜 오셨느냐 물으신다. 여차여차해서 왔다고 하니, 이곳은 개인집이니 이곳까지 들어오면 안된다며 곱지 않은 시선으로 처다보네요...ㅠ.ㅠ 오면..
2015.07.15 -
陽智鄕校(양지향교)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향교로13번길 20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3호 [입구쪽에서 담은 양지향교 전경] 중종 18년(1523) 賢儒(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양지향교 부속건물(교육관)] [홍살문]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과 명륜당, 內三門(내삼문) 등이 있다. [외삼문] [양지향교 표석] [양지향교 안내판 글 내용] [양지향교 안내도] [담너머로 담은 양지향교] 양지향교는 전체적으로 前學後廟(전학후묘)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대성전과 명륜당이 종축선상에 자리하지 않고 동재터가 명륜당 오른쪽에 남아 있다. 이러한 배치는 일반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형식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양지향교의 특징이라..
201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