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43)
-
崔瑩 將軍 墓(최영 장군 묘)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산70-2 경기도 기념물 제23호 [崔瑩將軍 墓(최영장군 묘)로 가는 길] 高麗(고려) 末期(말기)의 名將(명장)이며 충신인 崔瑩(최영, 1316∼1388) 本貫(본관) 昌原(창원) 諡號(시호) 武愍(무민). 장군은 忠肅王(충숙왕 3년, 1316) 사헌규정 元直(원직)의 아들로 동주(鐵原, 철원)에서 태어나 護軍(호군), 大護軍(대호군)을 거쳐 찬성사, 팔도도통사, 門下侍中(문하시중)등을 역임하였다. 鴻山大捷(홍산대첩)에서 왜구를 섬멸한 것을 비롯하여 수십차에 걸쳐 왜구를 무찌르고 국내의 대소 반란 토벌 등 80여 회나 출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 恭愍王(공민왕 4년, 1355)에는 元(원)나라에 속했던 압록강 서쪽의 八站(8참)을 수복하기도 하였다. 원나라의 횡포와..
2016.01.16 -
坡州鄕校(파주향교)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파주리 335 파주시 향토유적 제2호 [파주향교 外三門(외삼문)] 향교는 옛날의 학교라 할 수 있다. 나라에서 정책적으로 설립한 학교이니 私學(사학)인 서원과는 다른 공립학교의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향교는 고려와 조선왕조의 집권적 정치구조 위에서 전개된 것으로 郡縣制(군현제)와 함께 王京(왕경-수도)이 아닌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관학 교육기관이다. 파주의 鎭山(진산)이라 불리는 봉서산 자락에 위치한 坡州鄕校(파주향교) 이곳을 찾아가기는 그리 쉽지는 않다. 우선 동네에서 물어봐도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은 것 같다. 묻고 물어 파주읍사무소를 지나 산등성이 하나를 넘어, 산길로 죽 이어진 길이 아래까지 쭉 잇달아있고 그 밑으로 향교가 있었다. 향교가까이엔 ..
2015.12.11 -
둔촌 이집선생 사당과 묘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7-1 일대 경기도 기념물 제219호 [묘역 입구쪽에 서 있는 선생의 신도비] [사당과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遁和門(둔화문) 현판] [사당 삼문 遁和門(둔화문) 전경] 사당 삼문인 遁和門(둔화문)은 닫혀 있기에 우선 안내판의 안내글을 담고는 옆쪽 묘역으로 오르는 길이 보여 묘역으로 올랐다. [사당 우측 옆쪽 묘역 오르는 길] 사당 삼문인 遁和門(둔화문)은 닫혀 있기에 우선 안내판의 안내글을 담고는 옆쪽 묘역으로 오르는 길이 보여 그곳으로 갔더니, 참배객 외에는 출입금지란 팻말이 붙어 있네요. 답사도 참배하려 들리는 거나 마찬가지니 묘역으로 향했다. [묘역으로 오르는 길에 담은 사당 옆 전경] 李集(이집, 1327~1387)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
2015.11.23 -
臨津閣 國民觀光地(임진각 국민관광지)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1253-3 [平和(평화)의 種閣(종각) 전경]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한 관광지며, 우리 민족사에서 가장 가슴아픈 사건으로 기록되어 있는 6.25전쟁. 그 전쟁의 아픔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곳이 판문점이며, 판문점으로들어가지 못하는 일반인들이 들어갈 수 있는 최북단 장소가 임진각이다. 임진강에서 임진각이란 이름을 따 왔다 한다. 1972년 임진각이 세워지면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이 곳에는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 관한 각종 자료와 한국전쟁에 관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통일의 횃불, 철도중단점, 경기도북한관, 망향의 노래비, 망배단등이 있으며, 임진강역에서 걸어서 5분 이내 거리에 경의선과 근처엔 돌아올 수 없는 다리가 있다. [망향의 노래 비] 자유로에 접어..
2015.11.12 -
캘리그라피 한택식물원 플라워레터 전시회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 365 답사길에 한택 식물원에 들렸습니다. 마음껏 다녀오라 남편은 말했지만, 그렇지 못한 시간이 걸음을 재촉하게 하였다. 입장권을 끊고, 식물원으로 직행 탐색로를 따라 꽃 사진과 풍경 담기에 정신이 없었지요. 그러다가 캘리거레피 전시회를 하고 있는 곳에 다달았다. 시간이 아무리 촉박하다해도 그냥 지나칠 수 없지요. 서둘러 디카에 담기 시작... 돌아오는 길은 종종 걸음하게 하였지만, 마음은 흐뭇하였답니다. 정리한 캘리그라피 한택식물원 플라워레터 전시회 소개합니다.
2015.11.06 -
화성 龍珠寺(용주사)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송산리 188번지 [思悼世子(사도세자)의 원찰 龍珠寺(용주사)] 경기도 화성시 태안읍의 화산 기슭에 龍珠寺(용주사)가 자리하고 있다. 효심이 지극한 정조가 당파싸움에 희생양이 된 아버지 사도세자를 위하여 지은 용주사는 4년간의 공사 끝에 완공했는데, 낙성식 전날 밤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꾸었기에 용주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 내려온다. 절을 지을 때 정조가 보경스님을 시켜 만든 佛說父母恩重經板(불설부모은중경판)도 보관되어 있다. 부모가 자식을 잉태하여 낳고 기르기까지의 은혜와 그 은혜를 갚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불교경전으로 자식에게 효를 강조하는 것만 아니라, 부모의 구실까지 생각해 보게 하는 효에 관한 경전이다. 계비 김씨의 아버지 김한구와 그 일파인 홍계희, ..
2015.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