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43)
-
黃喜先生 墓(황희선생 묘)와 사당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금승리 산1 시도기념물 34호 [주차장에서 본 사당과 묘역 전경] 조선 시대를 통하여 가장 명망 있는 재상으로 칭송되는 尨村 黃喜(방촌 황희, 1363~1452)선생의 묘이다. 황희는 長水(장수) 황씨로 개성에서 태어나 1389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다 조정의 요청으로 관직에 나오게 되었으며, 세종 13년 의정부 최고의 관직인 영의정부사에 올라 국가대사를 돌보았다. [사당 삼문 전경] 세종 31년 86세로 은퇴한 후에도 세종이 국가의 중대사를 자문하는 등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농사개량에 힘써 '經濟六典(경제육전)'을 펴냈다. 4군 6진의 개척과 외교와 문물제도의 정비, 집현전을 중심으로 한 문물의 진흥 등을 지휘, 감독하여 조선 왕조를 통하여 ..
2016.01.23 -
황희정승 영당지 내 伴鷗亭(반구정)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122 경기도 문호재자료 제 12호 [伴鷗亭(반구정) 전경] 경모재 앞 마당 건너에는 강바람을 막기위해 일부러 쌓아놓은 양 제법 높은 언덕이 성곽처럼 서 있다. 위에는 울창한 소나무가 서 있고, 그 사이로 숨은듯한 정자가 눈에 들어온다. 바로 반구정과 앙지대이다.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이름 높은 재상인 방촌 황희가 관직에서 물러나 여생을 보내던 곳으로, 예로부터 갈매기가 많이 모여들어 '갈매기를 벗삼는 정자 '伴鷗亭(반구정)'라는 이름을 지었다. '伴鷗亭重修記(반구정중수기)'와 '伴鷗亭記(반구정기)' 그리고 한글로 옮겨진 '반구정 중건에 붙이는 글' 등 여러개의 편액이 있다. [반구정 안내판 글 내용] [伴鷗亭(반구정)] 임진강변 언덕위에 세워진 반구정..
2016.01.22 -
黃喜先生影堂址(황희 선생 영당지)내 경모재, 월헌사등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산 127 경기도 기념물 제 29호 [淸政門(청정문)과 뒤쪽에 보이는 건물이 방촌선생 기념관] 朝鮮初期(조선초기)의 名相(명상)이며, 淸白吏(청백리)의 대표격인 尨村 黃喜(방촌 황희, 1363∼1452)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들이 영정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영당이 있는 곳이다. 황희는 고려 말기부터 조선 전기의 여러 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문물과 제도의 정비에 노력했고 世宗年間(세종연간)에는 영의정이 되어 왕을 도와 훌륭한 업적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청백리의 삶을 통한 많은 일화를 남기기도 했다. 文宗(문종2년, 1452) 황희가 89세로 세상을 떠나자 세종의 廟庭(묘정)에 배향하고, 世祖(세조원년, 1455)에 유림들이 그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伴鷗..
2016.01.22 -
黃喜先生影堂址(황희 선생 영당지)내 방촌기념관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산 127 경기도 기념물 제 29호 [방촌기념관] 황희선생 영당지에 들어서면 오른쪽에 커다란 기와 건물이 눈에 띈다. 황희정승의 일대기를 볼 수 있는 방촌기념관이다. 황희정승 유적지 성역화 사업의 일환으로 1999년 7월 착공하여 2000년 6월에 완공되었다. 내부에 방촌선생의 일대기를 영상으로 방영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방촌선생의 삶과 사상을 알기 쉽게 전하는 전시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그림으로 그려 자세히 표기하여 걸어두었다. [황희정승 영정] 기념관 안에 걸린 영정 아래로 사진과 함께 사진속 내용을 그대로 올려봅니다. [影堂址(영당지) 안에서 본 靑政門(청정문)과 방촌기념관] 오늘은 황희정승 기념관 안에 걸린 사진속 이야기만 대충 담아 올렸습니다. 내일은 ..
2016.01.21 -
栗谷(율곡)과 花石亭(화석정)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 산 100-1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1호 [고 박정희 대통령이 쓴 花石亭(화석정) 현판글씨] [花石亭(화석정)] 임진강가에 세워져 있는 정자로, 조선 중기의 대학자 栗谷 李珥(율곡 이이, 1536~1584)가 제자들과 함께 시를 짓고 학문을 논하던 곳이다. 원래는 고려 말 대학자인 冶隱 吉再(야은 길재)의 遺址(유지)가 있던 자리라고 전해지지만, 자세한 문헌 기록은 없다. 그 후 세종 25년(1443년) 율곡 李珥(이이)의 5대 조부인 강평공 이명신이 세운 것을 성종 9년(1478) 율곡의 증조부 이의석이 보수하고 夢庵(몽암) 이숙함이 '화석정'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栗谷 李珥(율곡 이이, 1536~1584) 조선 중기의 대학자이며, 아명은 見龍(현룡), 자는 淑..
2016.01.21 -
臨津閣 國民觀光地(임진각 국민관광지)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1253-3 [멀리서 바라본 平和(평화)의 種閣(종각)]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한 관광지며, 우리 민족사에서 가장 가슴아픈 사건으로 기록되어 있는 6.25전쟁. 그 전쟁의 아픔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곳이 판문점이며, 판문점으로들어가지 못하는 일반인들이 들어갈 수 있는 최북단 장소가 임진각이다. 임진강에서 임진각이란 이름을 따 왔다 한다. 1972년 임진각이 세워지면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이 곳에는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 관한 각종 자료와 한국전쟁에 관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통일의 횃불, 철도중단점, 경기도북한관, 망향의 노래비, 망배단등이 있으며, 임진강역에서 걸어서 5분 이내 거리에 경의선과 근처엔 돌아올 수 없는 다리가 있다. [망향의 노래 비] 자유..
2016.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