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49)
-
강원 육향산 營將(영장)과 觀察使(관찰사) 善政碑(선정비)
소재지 : 강원도 삼척시 정상동 [척주동해비와 평수토찬비 안내판과 육향산 오르는 돌계단 전경] 삼척시에 오면 으례히 들려야 할 곳으로 척주 동해비와 육향산 입구 계단 옆 돌 비석머리라 한다. 그러나 숫하게 오고갔지만, 스쳐지나쳤다. 특별한 일이 있거나, 제사 참석차 들리는 시댁 형님댁이기에... 공사다망(?)하여 들리지 못하였는데, 이번 강릉 시아즈버님 기제사 참석하려 가는 길에 점심을 먹으려 들린 식당 옆쪽에 있는 이곳을 들려보았습니다.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육향산 안내도와 안내판 글 내용] 삼척 포진성과 미수 허목의 유적지를 둘러보려면 입구의 돌 계단을 오르면 오른쪽 옆으로 7개의 비석군이 있다. 이곳을 통과하지 않고는 오를 수가 없다. 물론 뒤쪽 다른 길로 오르는 길도 있지..
2016.07.25 -
청간정 자료전시관
소재지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청간리 [청간정 내려오며 담은 자료전시관 전경] 첫번째로 보이는 건물은 화장실 나란히 자리한 아래쪽 건물이 자료전시관이다. [관동팔경 안내도] [청간정 자료 전시관] [자료전시관 내부] 관광안내소를 겸한 자료전시관 내부에는 청간정의 시판과 현판을 비롯해 청간정을 노래한 시와 회화 자료 등이 전시되어 있다. 天敎滄海無潮汐 하늘의 지시로 바다엔 밀물 썰물 없고 亭似方舟在渚涯 방주 같은 정자 하나 물가에 서 있네. 碧波纔動已吹衣 붉은 해 솟으려고 광선 먼저 창문을 쏘고 碧波?動已吹衣 푸른 물결 일렁이자 옷자락 먼저 나부끼네. 童男樓?遭風引 동남동녀 실은 배 순풍에 간다 해도 王母蟠桃着子遲 왕모의 복숭아 열리는 시기는 까마득해라. 怊悵仙蹤不可接 신선 자취 접하지 못한 아쉬움 속에..
2016.05.23 -
關東八景(관동팔경) 淸澗亭(청간정)
소재지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청간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2호 [주차장에서 담은 청간정 입구쪽 전경] 淸澗亭(청간정)은 관동팔경 중 하나로 동해바다와 연결되는 청간천 하구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 정자이다. [여러 종류의 안내판 전경] [청간정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글 내용] [청간정으로 오르는 돌계단] [계단 옆 산딸기꽃] [접사로 담은 산달기 꽃] [淸澗亭(청간정) 전경] 창건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중종15년(520) 군수 崔淸(최청)이 고쳐 세웠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건립된 것으로 짐작한다 합니다. [淸澗亭(청간정) 전경 2] 이후 수차에 걸쳐 수리가 이루어지다가 고종 21년(1884) 소실된 것을 1928년 면장 金容集(김용집)의 발의로 재건되었다가 한국전쟁 때 다시 ..
2016.05.18 -
하조대 무인등대
소재지 :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하광정리 [정자와 등대 안내팻말] 어젠 하조대(정자)를 소개하였으니, 오늘은 하얀 무인등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등대로 가는 길] 하조대와 등대로 향하는 해안가에는 기암괴석의 바위군으로 둘러쌓여 하나라도 놓치기 싫은 풍경을 자아내고 있었다. [등대로 오르는 길에 담은 동해바다] 하조대 무인등대는 밤이면 불을 밝히는데 그 불빛이 아름다워 등대의 불빛을 보기 위해 찾는 여행객들도 있다 합니다. [등대로 오르는 나무테그 길] 안전하게 오를 수 있게 나무테그길로 만들어 놓아 주변 경치를 감상하며 오를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등대 오르는 마지막 계단] 나무데크와 계단으로 되어있는 길을 산책하듯 걸으며 출렁이는 파도소리를 들으며 등대로 향하는 길은 마음을 풍요롭게한다. [하..
2016.05.17 -
河趙臺(하조대)
소재지 :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하광정리 산3 [안내판 전경] [종합안내도] [양양군 관광안내도] [출입 준수사항] [정자(하조대)와 등대 안내 팻말] [하조대로 오르는 계단] 먼저 온 사람들이 세워둔 차들로 겨우 주차를 해 놓고, 등대보다는 우선 정자(하조대) 부터 오르기 시작하였다. 계단을 따라 오르다 보면, 우측으로는 군사지역이라 출입금지 하조대 가는 길은 따로 활짝 철조망 문을 열어놓았다. [입구쪽에서 담은 하조대 전경] 조선 개국공신 하륜과 조준이 은거하던 곳이라 하여 두 사람의 성을 따서 河趙臺(하조대)로 불렀다 전해진다. [가까이 에서 담은 하조대 전경] 또는 하씨 집안 총각과 조씨 집안 두 처녀 사이의 이루어질 수 없는 애절한 사연으로 인해 명명되었다는 설도 있다. [河趙臺(하조대) 바위]..
2016.05.16 -
三陟鄕校(삼척향교)
소재지 : 강원도 삼척시 교동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2호 [홍살문] 향교는 조선시대 지방의 학교입니다. 이름 높은 성현을 제사하는 임무와 지방의 유생을 모아 강학하는 교육적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향토사회의 문화를 향상시키고 지역 사회 분위기를 순화하는 교육적 임무와 유교정신을 진작시키는 중심체 역할을 했다. [충효관] 태조 7년(1398)에 고사리재 기슭에 지은 것을 태종 7년(1407)에 옥서동 월계곡(지금의 당저리)으로 옮겼다가 세조 14년(1468)에 현재 위치로 옮겼다. 현재 향교에는 명륜당. 동재. 서재. 대성전. 동무. 서무 등 여러 건물들이 있다. 그 이전의 삼척지방 교육기관에 관해서는 문헌상 기록이 없어 내용을 알 수 없다. [仁義禮智(인의예지) 표석비] 사람이 갖추어야 하는 다섯 가지의..
2016.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