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182)
-
관덕정순교기념관내 지하 성당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한국순교성인 103위 유화 와 지하 안내팻말] [지하 성당 출입구에서 담은 전경] [성당 내부 전경] 본 기념관에서 가장 중요한 곳이며, 신자들이 묵상하고 기도하고 미사를 봉헌하는 장소이다. [한국순교성인 103위 유화] 성당 뒤쪽에는 103위 성인 그림과 이윤일 요한 성인이 참수당하는 그림이 걸려 있다. [한국순교성인 103위 유화] 서울 혜화동 성당에 소장하고 있는 문학진 화백의 한국순교성인 103위 유화는 10개월에 걸쳐 전례, 역사, 복식 등 한분 한분의 표정을 특색있게 표현했다 합니다. [성당 내부 좌측 전경] [성당 내부 우측 전경] [앞쪽 전경] 성당 제대 안에는 대구대교구 제2주보 성인이신 이윤일 요한의 유해가 모셔져 있다. [이윤일 요한 초상화] 이윤일..
2017.02.28 -
관덕정순교기념관내 순교전시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순교전시실 출입구] [정면에서 담은 순교전시실 내부 전경] [순교전시실 내부 전경] [김화춘(?~1816) 야고보, 박경화(1757~1827) 바오로] 김화춘(?~1816) 야고보(화목과 평화) 박경화(1757~1827) 바오로(뺨을 맞고 수염이 뽑히고)라는 제목의 설명글이 적혀 있다. [안내 설명 글 내용] [안내 설명 글 내용 아랫쪽 자료 그림] [안내 설명 글 내용 2] [안내 설명 글 내용 2 아랫쪽 자료 그림] [박해시절의 전통인형 전시 모형] [병인박해 무렵의 장터 와 신자생활 전통인형 모형] 좌측 고종5 무진년(1868) 울산 장대순교자들이 진목정에서 목기(그릇)를 만들며 생활하는 모습. 우측 병인박해 무렵의 울산 장대 순교자들이 만든 목기(그릇)과 짚신을..
2017.02.27 -
대구 觀德亭殉敎紀念館(관덕정순교기념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관덕정순교기념관 전경] 순교기념관이 세워진 이곳은 아미산이라고 불리던 언덕바지 땅으로서 조선시대 사상범을 처형하던 형장이었으며,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가 처형된 곳도 바로 이 곳이라 한다. [관덕정순교기념관] 을해박해(1815년), 정해박해(1827년), 기해박해(1839년), 병인박해(1866년) 때 천주교인 25명이 이곳에서 처형되었으며, 대구의 경상감영 옥사에서 순교한 이들도 31명에 이른다고 한다. [천주교 성지 관덕정순교기념관 오르는 계단] [성 이윤일 요한 동상] 계단을 오르면 실내로 들어가기 전 입구 왼쪽에 자리하고 있는 동상은 성 이윤일 요한으로 1866년 12월26일 이곳 관덕정에서 순교하신 분으로 이유일 요한이 시성되면서 관덕정 순교성지의 모습이 갖추어..
2017.02.22 -
신명 3.1 운동기념탑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06(신명여자고등학교 내) [신명 3.1 운동 기념탑 전경] 1919년 3월 8일 대구에서 일어났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큰 역할을 했던 신명학교의 교사 이재인과 졸업생, 재학생들을 기리고자 설립된 기념탑이다. [신명 3.1 운동 기념탑 전경 2] 만세운동의 시발지인 큰 장터에서(현 서문시장), 이영현을 비롯한 통학생 및 저학년 10여명은 동신교를 조금 지나서, 그리고 30여명의 기숙사생들은 대부분 남성파출소 앞에서 각각 계성학교. 성격학교. 남선정(제일)교회. 남산교회. 달남(서문)교회 등이 주축이 된 수천명의 만세부대와 합류하였다. [신명 3.1 운동 설명 글 내용] 그 날의 함성이 들려오는듯 하다. [신명의 딸은 앞면] [신명의 딸은 뒷면] [기념탑 건립을 도운..
2017.02.17 -
선교사의 넋이 잠든 은혜정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청라언덕쪽에서 담은 은혜 정원 전경] 대구의 가장 상징적인 개신교 성지는 '은혜 정원'에 잠들어있는 선교사의 넋을 만날 수 있다. 경상도 지역에 첫 복음의 발길을 전한 베어드(배위량) 선교사와 억눌린 한국 사람들의 대변인 베델, 한국인보다 한국인을 더 사랑한 헐버트, YMCA 운동의 개척자 브로크만, 한국 근대여성 교육과 여성전도의 선구자, 교육자로서 대대로 헌신한 가족 선교사 아펜젤러 가(家), 토론토 의대를 졸업하고 한국의 폐결핵 퇴치를 위해 힘쓴 셔우드, 우리나라 첫 서구식 민간병원 광혜원(나중에 제중원으로 바뀜)의 2대 원장 헤론이 잠들어있는 곳이다. [은혜정원 출입구] [은혜정원 안내 글 내용] 동산을 들렸다면, 반드시 들려야 할 장소가 바로 이곳 선교사 묘역..
2017.02.16 -
儉齋(검재) 金楺(김유) 신도비와 묘역
소재지 : 경기도 의왕시 왕곡동 산 8 번지 [정면에서 담은 金楺(김유) 神道碑(신도비) 전경] 묘역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神道碑(신도비) [뒤쪽에서 담은 金楺(김유) 神道碑(신도비) 전경] [옆쪽에서 담은 金楺(김유) 神道碑(신도비) 전경] [신도비쪽에서 담은 儉齋(검재) 金楺(김유) 묘역 전경] 金楺(김유, 1653~1719) 본관 淸風(청풍) 자 士直(사직), 호 儉齋(검재), 관찰사 澄(징)의 아들. 朴世采(박세채). 宋時烈(송시열)의 문인.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박세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儉齋(검재) 金楺(김유) 묘 전경] 일찌기 학문에 조예가 깊어 朴世采(박세체)가 자신의 후계자로 지목하였으며, 宋時烈(송시열)도 그의 재주를 중히 여겼다 한다. [儉齋(검재) 金楺(김유) 묘] 현종 15년(..
2016.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