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182)
-
禮賓卿(예빈경) 韓光胤(한광윤) 墓(묘)
소재지 :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 744 [마을 입구의 청주한씨 세장산 표지석] [追遠齊(추원재) 전경] [담너머로 담은 追遠齊(추원재) 전경] [예빈경 한광윤 묘역 전경] 이 묘소는 失傳(실전)되어 오랫동안 韓(한) 政丞(정승) 墓(묘)라 구전되어 오다가 이 묘역에서 '예빈경 한광윤지묘'라는 비석이 발견된 뒤 문중의 헌성으로 제실을 마련하고 묘역을 정비하여 신도비를 세웠다. [新(신) 舊(구) 두 基(기) 神道碑(신도비) 전경] [舊(구) 神道碑(신도비)와 묘역 전경] 조선 世祖(세조)때 영의정을 지낸 풍운아 韓明澮(한명회)의 6대조 할아버지인 고려시대 禮賓卿(예빈경) 韓光胤(한광윤)의 墓(묘)다. 이 墓(묘)는 신라시대 道詵(도선)이 所占(소점)한 우리나라 8대 明堂(명당)의 하나로 알려져 있..
2016.11.23 -
백운사 입구 청풍김씨 묘역
소재지 : 경기도 의왕시 왕곡동 왕림 웃마을 [백운사 입구 표석] [孝貞(효정) 金東獻(김동헌) 神道碑(신도비) 전경] 왕곡동 왕림마을에서 백운사로 이르는 소로를 따라 조금 오르면, 입산통제소를 막 지나 그의 신도비가 나온다. [孝貞(효정) 金東獻(김동헌) 神道碑(신도비)] 비문은 尹定鉉(윤정현)이 짓고, 金世均(김세균)이 썼으며, 洪淳穆(홍순목)이 전액을 올렸다. 神道碑(신도비)를 지나 효정 김동헌의 묘와 청풍김씨 묘역으로 향했다. [묘역 가는 길] [묘역 가는 길 2] [묘역 가는 길 3] [孝貞(효정) 金東獻(김동헌) 墓(묘)] 金東獻(김동헌, 1791~1869) 본관은 淸風(청풍) 자는 子敬(자경) 호는 孝貞(효정) 대사간 致侯(치후)의 증손이다. 조부는 이조판서 鍾正(종정) 아버지는 도정 命淵(..
2016.11.22 -
조선 8대 명당 安東權氏(안동권씨) 묘
소재지 : 경기도 의왕시 고천동 산 31(의왕시청 좌측 옆) [김인백의 부인 안동권씨 묘역 전경] 의왕시 오봉산하에 있는 청풍김씨 판서공 김인백 부인 안동권씨 묘는 조선 8대 명당으로 손 꼽힌다 합니다. [김인백의 부인 안동권씨 묘역 전경 2] 金仁伯(김인백, 1561~1617) 본관은 청풍 자는 君壽(군수), 청풍김씨 인백파(판서공파)의 派祖(파조)이다. 부인 안동 권씨(1564~1632)는 화순 현감을 지낸 김극형의 모친이며 김징의 조모이다. [묘갈과 묘역 전경] 김극형의 지극한 효성으로 이곳에 墓(묘)를 쓴 후 증손부터 16세 김유(대제학), 김구(우의정), 17세 김약로(좌의정), 김상로(우의정), 김재로(영의정), 18세 김치인(영의정), 19세 김종수(좌의정) 등 6명의 재상과 대제학이 배출되..
2016.11.17 -
睡隱(수은) 姜沆(강항) 선생 묘
소재지 :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강항로 [내산서원 옆쪽 묘소 가는 길] [묘소 가는 길] 姜沆(강항, 1567~1618) 조선 중기 학자. 세조 연간에 활약했던 姜希孟(강희맹)의 5세손으로 본관은 진주이다. 1567년 영광 불갑산 밑 유봉리에서 태어났으며, 자는 太初(태초), 호는 睡隱(수은). 私淑齋(사숙재). 1593년 전주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교서관정자. 가주서. 교서관박사를 거쳐 1596년 공조좌랑에 이어 형조좌랑이 되었다. [아랫쪽에서 담은 강항 묘역 전경] 1597년 휴가로 고향에 머물던 중 정유재란이 일어나 군량미 수송임무를 수행했고 남원이 함락당하자 고향으로 내려와 金尙寯(김상준)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나 고향인 영광마저 함락당하여 가족과 함께 해로를 통해 탈출하려다가 포로가 되어 ..
2016.11.16 -
1박 2일 여행 첫날 鎭南館(진남관)
소재지 : 전라남도 여수시 동문로 11 국보 제304호 [진남관 입구에서 담은 망해루 전경] [공사안내도와 설명글] [望海樓(망해루) 현판] [望海樓(망해루)] [망해루 뒤쪽 통제문 전경] [충무공 이순신과 여수 진남관 등 안내판] [진남관임란유물전시관 안내팻말] 아랫쪽 길 한쪽으로 진남관임란유물전시관 안내팻말이 세워져 있었지만, 우선 진남관을 둘러 본 후 들려보기로 하고 통과 [統制門(통제문) 현판] [統制門(통제문) 전경] 統制門(통제문)을 들어서면 곧장 鎭南館(진남관)이다. 이곳이 바로 이순신이 전라좌수영의 본영 지휘소로 삼았던 鎭海樓(진해루) 터 자리에 세운 수군의 중심 기지 鎭南館(진남관)이다. [진남관 안내판 글 내용] [진남관 보수 정비사업 설명글] [鎭南館(진남관) 현판] 현판 글씨는 17..
2016.10.08 -
朴淵(박연) 墓所(묘소)
소재지 :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산 49-1 [景蘭齋(경난재) 전경] 박연선생의 재실(재각) 이곳에서 우측 산길을 700m쯤 오르면 묘소가 있다. [경난재 안내글 내용] [묘역 아래쪽 비석군] [大提學文簡公朴先生神壇碑(대제학문간공박선생신단비)] [묘소 안내판 글 내용] [박연 선생 묘 전경] 朴堧(박연, 1378~1458) 초명 然(연). 자 坦夫(탄부), 호 蘭溪(난계). 아버지 天錫(천석)은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어머니는 경주 김씨로 통례문부사 金珸(김오)의 딸이었다. 부인은 礪山宋氏(여산 송씨)로 판서를 지낸 宋贇(송빈)의 딸로 자녀는 3남4녀를 두었는데 맏아들 孟愚(맹우)는 현령을 지냈고, 둘째아들 仲愚(중우)는 군수를 지냈으며, 막내아들 季愚(계우)는 박팽년 등 사육신들의 단종 복위사건..
2016.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