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182)
-
碧梧(벽오) 李時發(이시발) 墓(묘)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신도비 쪽 도로에서 담은 경주이씨 묘역 전경] 이시발의 묘소는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지전마을의 경주이씨 묘역에 있다. 1610년 3월 이시발은 돌아가신 부친의 묘소를 청원군 오창면 오근리 벌영산에서 청원군 옥산면 환희리 천내로 직접 이장하고, 그해 4월에 진천 초평으로 살 집을 마련하여 가족들을 이주시켰다. 며칠전 소개한 이시발 신도비를 보시지 못한 이웃님이 계신다면, 요기 클릭 하셔서 들려보셔요.^^ [아래쪽에서 담은 묘역 전경] 이곳 묘지는 明(명) 나라의 杜師忠(두사충)이 자리 잡아준 터라 한다. 이곳으로 산소를 정한 까닭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왜군이 방방곡곡에 전승하며 한양으로 밀려오자, 선조는 義州(의주)로 파천하고 끝내..
2018.05.09 -
하늘도 감동 시킨 효자 모암 김덕숭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신도비와 뒤쪽 묘소 가는 길 전경] 모암 김덕숭 묘소 가는 길 앞쪽에 세워진 신도비 전경 [신도비와 앞쪽 塊石(괴석) 전경] 신도비 앞쪽 범상찮아 보이는 거북처럼 생긴 塊石(괴석) 일부러 다듬고 깎은 것이 아니라 저절로 생긴 신비로운 바위인듯 하다. [묘소 오르는 길] 묘소로 오르는 길은 이렇게 좀 가팔랐지만, 들려봐야겠다는 마음이 걸음을 빨리하게 하네요. [중턱을 올라서자 보이는 첫번째 묘] 이젠 다 왔다는 안도의 숨을 내쉬며 살펴보았다. 그랬더니 누구의 묘인지는 몰라도 문인석과 오래된 묘비가 이곳의 주인도 범상찮아 보였지만... 답사지로 정한 뒤쪽 慕庵(모암) 金德崇(김덕숭) 묘소로 향했다. [모암 김덕숭 묘소 오르는 돌계단과 묘소 전경] 공민왕 22년(13..
2018.04.24 -
豹菴(표암) 姜世晃(강세황) 선생 묘소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 510-10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 [표암 강세황 선생 묘소 안내판] [안내판과 묘소로 가는 길 입구] 근처 공터에 주차를 해 놓고 여기서부터 걸어 한 구비 돌면 곧장 표암 강세황 선생의 묘소가 보입니다. [豹菴(표암) 姜世晃(강세황) 묘소 전경] 본관은 晋州(진주). 자는 光之(광지), 호는 添齋(첨재). 豹翁(표옹). 路竹(노죽). 山響齋(산향재). 豹菴(표암), 시호는 憲靖(헌정). 숙종 39년(1713) 한양에서 태어나 정조 15년(1791) 세상을 떠났다. [신도비와 안내판 묘소 전경] 조선 후기의 대표적 문인 화가이다. 진주 강 씨 5대 가운데 강세황은 조선 후기 유명 화가인 김홍도와 신위의 스승이자 그는 詩(시). 書(서). 畵(화)에 고루 뛰어..
2018.04.20 -
국채보상운동 111주년 기념 전시회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 [대구문화예술회관 제4전시실 입구 전경] [국채보상운동 111주년 기념 전시회 안내책자 앞면] 아래는 안내책자 속 설명을 순서대로 소개합니다. [02] [03] [04] [06] [07] [08] [09] [10] [11] [국채보상운동 111주년 기념 전시회 안내책자 뒷면] 오랫만에 지인의 점심을 함께 하자는 전화를 받고, 옆지기의 허락을 받고는 약속장소로... 점심후 한참을 얘기나누다가 조금 떨어져 있는 두류문화예술회관으로 걸음을 옮겼다. 요즘 갤러리 탐방에 푹 빠져 있는 나. 마침 국채보상운동 111주년 기념 전시회를 하고 있었다. 오늘이 3.1절 99주년 기념일이라 뜻깊은 전시회 소개를 드리고 싶어 올립니다. [전시장 좌측 내부 전경] [전시장 내부 전경..
2018.03.01 -
圃隱鄭夢周遺墟碑(포은정몽주유허비)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 1044-5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72호 [포은 정몽주 유허비각 전경] 遺墟碑(유허비)란 한 인물의 옛 자취를 밝혀 후세에 알리고자 세우는 碑(비)로, 이 비는 포은 정몽주 선생의 효행을 기리고 있다. 정몽주 선생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며 三隱(삼은)의 한 사람이다. [포은 정몽주 유허비각] [포은 정몽주 유허비 안내판 글 내용] [圃隱鄭夢周遺墟碑(포은 정 선생 지각) 현판] [정면에서 담은 유허비] 공민왕 5년(1355) 부친상을 당해 廬墓三年(여묘 삼 년) 그로부터 10년 후인 1365년 모친상을 당하여 역시 廬墓三年(여묘 삼 년)을 하였다. 廬墓三年(여묘 삼 년) : 상제가 무덤 근처에 여막을 짓고 살면서 무덤을 삼 년간 지킴 [좌측에서 담은 전..
2018.01.23 -
이상화 묘와 李庄家(이장가) 가족묘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산9 [李庄家(이장가) 가족 묘역 재실] 묘역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재실 李庄家(이장가) [李庄家(이장가) 현판] [李庄家(이장가) 솟을 삼문 전경] 답사를 다니다보면 문이 닫혀 있는 곳이 많아서 활짝 열린 李庄家(이장가) 솟을 삼문이 반갑다. [南齋(남재) 현판] [南齋(남재) 전경] 이장가 솟을 삼문을 들어서면 곧장 보이는 재실 南齋(남재) [좌측옆에서 담은 南齋(남재) 전경] [남재와 정자 그리고 솟을 삼문] [우측옆에서 담은 南齋(남재) 전경] 관리가 잘 된 이장가 재실 건물이 자꾸만 사진을 찍게 만든다. [월성이씨 문중 묘역] [묘역 앞 재각으로 오르는 돌계단] 이상화는 시인으로 호는 尙火(상화)이며, 대구에서 출생하였다. 1917년 고향에서 현진건, ..
201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