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향교와 서원(77)
-
영주 伊山書院(이산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내림리 기념물 제 166호 [伊山書院(이산서원) 전경] 영주의 첫 서원으로 명종 13년(1558)에 군수 안상이 창건하였으며, 선조 5년(1572) 사당을 세워, 이황의 위패를 봉안, 선조 7년(1574)에 사액을 받았다.(도산서원과 같은 해임) 앗 나의 실수 가방에 넣었다 꺼냈다 하는 사이에 p에 맞춰있어하는데, s에 맞춰져 있는것을 모른채 사진을 찍었기에.... 사진이 허옇게 나왔네요...ㅠ.ㅠ 다시 가서 담아 올 수 없으니 마음에 들진 않지만.. 그냥 올립니다. [伊山書院(이산서원)] 예로부터 영주는 문예를 숭상하는 기운이 높았던 곳으로, 이곳 이산리에는 선비양성을 위한 기금이 약간 마련되어 있었으나, 館舍(관사)가 없어서 선비들이 모일 장소가 없었다. [안내판 전..
2015.12.29 -
영주 汚溪書院(오계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천본리 55-1 문화재자료 제 475호 [서원 입구를 지키는 수문목] 주차를 해 놓고 지나온 길을 뒤돌아보니 하늘 높은 줄 모르고 하늘에 닿으려 뻗어나간 서너그루의 소나무 제 눈에는 꼬옥 예전 문을 지키던 守門將(수문장)처럼 오계서원을 지켜주는 守門木(수문목) 같아 보였습니다. [汚溪書院(오계서원)과 관리사 전경] 선조 3년(1570) 艮齋(간재) 李德弘(이덕홍, 154~1596)이 학문연마와 심신수련을 위해 건립한 '오계정사' 후신이라 합니다. 여러차례 이건과 중건을 거쳤다 하구요. [汚溪書院(오계서원) 전경] 사림의 공론으로 현종 6년(1665) 道存祠(도재사)를 建立(건립)하고 艮齋 先生(간재 선생)의 位牌(위패)를 奉安(봉안)한 후 1692년 迂溪書院(오계서원)으..
2015.12.24 -
奉化鄕校(봉화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봉성리 267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53호 [奉化鄕校(봉화향교) 전경] 향교는 선현들에 대한 제사와 학문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세워진 공립학교이다. 고려 17대 인종 5년(1125)에 각 지방에 향학당을 세우라는 교시에 의해 처음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한다. 조선시대 태종 이후에는 유교를 진흥할 목적으로 府(부), 牧(목), 郡(군), 縣(현) 마다 하나씩 건설하여 나갔다. 정문인 由敎門(유교문)은 작고 아담하다. 키도 그렇게 높지 않으며,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이다. [由敎門(유교문)] 향교의 배치는 由敎門(유교문). 樓閣(누각). 明倫堂(명륜당). 內三門(내삼문). 大成展(대성전)의 순서로 되어 있는데, 앞에는 가르치는 곳을 두고 뒤에는 제를 지내는 廟堂(..
2015.12.22 -
경주 司馬所(사마소)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89-1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호 [司馬所(사마소) 전경] [안내판 내용] [담밖 司馬所(사마소) 표석] 조선시대 과거시험에 합격한 지방의 선비들에게 儒學(유학)을 가르치거나 정치를 토론하던 곳이다. 또한 자기수양을 위해 선비들이 찾던 곳으로, 연산군 때에는 백성들에게 곡식을 빌려주었다고 한다. 수양을 위해 선비들이 찾던 곳이기도하여 수양이 부족한 사람을 가리켜 '사마소에 입소하여야 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고도 한다. [司馬所(사마소) 전경] 사마소는 2개 동의 건물이 있다. 본체에 해당하는 風詠亭(풍영정)은 갓 사마시에 합격한 젊은 신진 사류가 주로 사용하였고, 그 서쪽의 炳燭軒(병촉헌)에는 원로 선비들이 애용하였다고 한다. 이들 노소의 선비들은 엄격한 자리 구별이..
2015.12.19 -
道岑書院(도잠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용호리 140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 100호 [道岑書院(도잠서원) 전경] [道岑書院(도잠서원) 옆 전경] 예전에 들렸을 때 이곳은 수리중이라 담지 못하고 이곳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새로 건축한 道岑書院(도잠서원)만 들려보았기에 이쪽으로 걸음하는 길에 행여나 궁금하여 다시 들려보기로 했다. 역시 말끔하게 정리 되어 보수된 道岑書院(도잠서원)을 만날 수 있었다. [도잠서원 안내판 글 내용] [道岑書院(도잠서원) 강당] 曺好益(조호익, 1545~1609) 조선시대 문신. 자는 士友(사우). 호는 芝山(지산) 첫 시호는 貞簡(정간), 나중 시호는 文簡(문간) 李珥(이이)의 문인. 퇴계학맥의 우뚝한 봉우리 가운데 하나인 芝山(지산) 문신으로 의병을 일으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
2015.12.12 -
坡州鄕校(파주향교)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파주리 335 파주시 향토유적 제2호 [파주향교 外三門(외삼문)] 향교는 옛날의 학교라 할 수 있다. 나라에서 정책적으로 설립한 학교이니 私學(사학)인 서원과는 다른 공립학교의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향교는 고려와 조선왕조의 집권적 정치구조 위에서 전개된 것으로 郡縣制(군현제)와 함께 王京(왕경-수도)이 아닌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관학 교육기관이다. 파주의 鎭山(진산)이라 불리는 봉서산 자락에 위치한 坡州鄕校(파주향교) 이곳을 찾아가기는 그리 쉽지는 않다. 우선 동네에서 물어봐도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은 것 같다. 묻고 물어 파주읍사무소를 지나 산등성이 하나를 넘어, 산길로 죽 이어진 길이 아래까지 쭉 잇달아있고 그 밑으로 향교가 있었다. 향교가까이엔 ..
2015.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