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고택과 문학관(174)
-
3.1 만세운동 기념관 2층 둘러보기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 116 [3.1운동 기념관 전경] 일제강점기 대구·경북 지역 독립운동과 근대 사회. 교육 운동의 산실이었던 대구YMCA의 전신인 교남YMCA회관이 100여 년 전 모습 그대로 복원됐다. [2층 전시실 내부 전경] [브루엔 傅海利(부해리)] [블레어 邦惠法(방혜법)] [플레처 鱉離秋(별리추)] 브루엔 傅海利(부해리, 1874~1959) 교남(대구)YMCA 설립 주창자 및 발기인 1899년 5월 1일 대구선교사로 임명 블레어 邦惠法(방혜법, 1879~1945) 교남(대구)YMCA 명예총무 교남(대구)YMCA 회관 건축 감리 및 경북서원 운영 플레처 鱉離秋(별리추 , 1882~1970) 교남(대구)YMCA 창립 발기인 제중원의 원장 [李萬集(이만집)] [金兌鍊(김태련] 李萬集..
2017.06.27 -
대구 3.1만세 운동 기념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 116 대구광역시 등록문화재 제570호. [대구 3.1만세 운동 기념관 전경] 일제강점기 대구, 경북 지역 독립운동과 근대 사회, 교육 운동의 산실이었던 대구YMCA의 전신인 교남YMCA회관이 100여 년 전 모습 그대로 복원됐다. [1층 내부 전경] 일제 강점기 3.1 독립만세운동 당시 회합의 공간이자 물산장려운동, 기독교농촌운동, 신간회운동 등 기독교민족운동의 거점이었던 건물이다. 1919년 3.1만세운동 당시 주요 지도자들의 회합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했고 물산장려운동과 기독교농촌운동, 신간회운동 등 기독교 민족운동의 거점공간으로 사용된 역사적 장소이다. 1938년 매각 후 헐릴 위기에 처했으나 대구중구청과 대구YMCA가 2011년 대구시민 모금운동을 펼쳐 매입했다...
2017.06.26 -
湖巖(호암) 李秉喆(이병철) 고택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인교동 [안내팻말] 안내팻말을 보고 그냥 지나칠 수 없지요. [호암 이병철 고택 전경] 사진에 보이는 고택이 고 호암 이병철 전회장의 고택이다. 골목을 끼고 있는 담벽에 안내판이 이곳이 이병철 고택이란것을 증명해주고 있지만, 이리 저리 둘러보았지만, 하나뿐인 대문은 굳게 닫혀 있었으며, 어디에도 들어갈 수 있는 출입구가 없다. 결혼 후 대구로 분가하여 가족과 함께 살든 곳이며 이건희 회장의 유년시절을 이곳에서 보냈다 합니다. 낮선 사람들의 바쁜 일상의 발걸음만 빠쁘게 갈길을 재촉하고...골목은 주민들의 인기척도 없이 조용하다. [안내판 글 내용] 다른 곳으로 들어갈 수 있을까 하고 골목길을 따라 주변을 꼼꼼히 살피며 한바퀴 휘돌아보았더니, 이건희 생가라고 쓴 벽화가 보였다. [..
2017.06.21 -
대구 남산동 인쇄전시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27(남산2동 주민센터 앞) [남산동 인쇄전시관 현판] [남산동 인쇄전시관] 대구. 경북의 100년 인쇄역사를 알려줄 남산동 인쇄전시관 남산동 인쇄골목의 오랜 역사를 알리고 체험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남산동 인쇄전시관] 인쇄전시관 을 상징하는 인쇄활자를 새겨놓았다. [남산 2동 주민센터 전경] 공간이 넓지 않아 주차해둔 차들을 피해 담을 수 없었다. 전시관 안으로 들어가 보실까요. [입구쪽에서 담은 전시실 내부 전경] [안쪽에서 담은 입구쪽 남산동 인쇄골목 주요 연표] [남산동 인쇄골목 주요 연표] [대구 남산동 인쇄골목] [한국의 인쇄 발달사(신라시대)] [한국의 인쇄 발달사(고려시대)] [한국의 인쇄 발달사(조선시대)] [전시관 내부] [활자판과 사진 자료 ..
2017.04.19 -
대구카톨릭대학교 유스티노캠퍼스 100주년 기념관 총괄편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3동 219-3 대구광역시문화재자료 제23호 [카톨릭대학교 정문] [대구카톨릭대학교 현판] [성유스티노신학교 전경] 성유스티노 신학교는 대구 천주교회 초대 교구장이었던 드망즈(한국명 안세화) 주교가 중국인 벽돌공을 동원하여 1913년에 착공, 1914년에 완공한 신학교 건물이다. 성 유스티노 신학교는 1945년 일제에 의해 강제 폐교되기까지 5명의 주교와 67명의 사제를 배출하였다. [유스티노관 전경] 성 유스티노 신학교 100주년 기념관은 기존의 신학교 옛 건물의 내부를 새롭게 보수공사를 하여 성유스티노홀(건축관), 드망즈홀(설립자관) 앗숨홀(문서관), 옴니아홀(100주년관) 등 4개의 홀로 구성하여 만들었다. 대구 문화재로 지정된 대구 가톨릭대학교 안의 신학교는 영화나 ..
2017.04.17 -
개교 100주년 기념관 옴니아홀(100주년관) 4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3동 219-3 대구광역시문화재자료 제23호 [옴니아홀(100주년관) 4관 출입구 전경] [대구가톨릭대학 옴니아홀(100주년관) 4관] [입구에서 담은 전시관 내부 전경] [선목신학대학에 쓰여졌던 聖光(성광)] [100개의 부활초] 성유스티노신학교 개교 100년을 상징하는 100개의 부활초 1914~2014년 부활초 [윗쪽 부활초와 아랫쪽 100주년 자료] [전시관 내부 전경] [신학교 현판 등 자료] [신학교 현판] [전시관 내부 전경 2] [전시관 내부 전경 3] [설명 자료 중 일부] [전시관 내부 전경 4] [성화] [전시된 자료] [중국 성모자 상과 대구관구 대신학원의 발간물 등] [중국 성모자 상과 안내글] [안내 글 내용] [전시관 내부 전경 5] [자료 사진]..
2017.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