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고택과 문학관(174)
-
대율리 南川古宅(남천고택)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768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4호 [대청 앞쪽에서 담은 남천고택(상매댁) 전경] 대율리 전통마을의 상징은 南川古宅(남천고택)으로, 上梅宅(상매댁) 또는 雙柏堂(쌍백당)등으로 불리어지고 있다. 마을을 돌다보면, 缶林洪氏(부림홍씨) 宗宅(종택) 이 따로 있지만, 그곳보다 이곳이 더 많이 알려져 있다. [남천고택(상매댁) 출입구와 돌거북과 안내판 전경] 마침 대문을 열고 나오시는 고택의 주인을 만나게 되었다. 대문을 닫고 자물통으로 채우려 하시기에 허락을 얻기위해 여쭈였지만, 외출중이기 때문이 아니라 외부인 출입을 금한다고 하신다. 속으론 약간 언잖았지만, 그럴 수도 있을거란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내심 서운하긴하다. 이곳까지 와서 대문밖에서 거부를 당하였으니.....
2017.11.01 -
대율리 缶林洪氏(부림홍씨) 宗宅(종택)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缶林洪氏(부림홍씨) 宗宅(종택) 표지석] [마을 돌담길] 이 마을은 돌담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뽑힐 정도로 운치가 있다. 이 돌담길을 따라 조금 더 내려가면 부림홍씨 종택이 있다. 한밤마을은 본래 深夜(심야) 또는 大夜(대야)라고 불리던 곳이다. 그러나 1390년경 홍씨 14대손 홍로가 大栗(대율)로 고쳐 불렀다. [缶林洪氏宗宅(부림홍씨종택) 표지석] [宗宅(종택) 삼문] 경북 군위 부계면에 자리한 전통마을로 950년께 남양 홍씨에서 갈려 나온 부림 홍씨의 시조 홍란이란 선비가 입향하면서 촌락을 형성했다. 그 무렵 의홍 예씨, 신천 강씨 등도 마을로 들어왔으나 모두 떠나고 현재는 여양 진씨, 전주 이씨, 예천 임씨, 영..
2017.10.31 -
대구방짜유기박물관(총괄편)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장길 29(도학동 399) [방짜유기박물관 정문 전경] [정면에서 담은 방짜유기박물관 전경] [정문에서 담은 박물관가는 길 전경] [중요 무형문화재 제77호 이봉주 공방 직영판매장] [방짜유기박물관 안내판] [방짜유기박물관 유기문화실 출입구] [유기문화실 안내글] 이곳을 들리지 못하신 분은 요기 클릭하셔서 들려보셔요. [유기문화실과 기증실을 이어주는 복도] 이곳에서는 마침 옛 추억속의 사진들을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담아와서 소개를 하였는데, 행여 보시지 못하신 분들은 요기 클릭하시면 됩니다. [기증실 안내 글] 기증실을 들려보시려면 요기 클릭 [기증실에서 재현실로 내려가는 입구 전경] [재현실 안내 글] 재현실을 둘러보시려면 요기 클릭 [아래쪽 입구에서 담은 재현실 전경] [..
2017.09.14 -
대구방짜유기박물관(재현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장길 29(도학동 399) [기증실에서 담은 재현실 내려가는 출입구] 방짜유기 제작으로 유명하였던 1930년대 평안북도 정주군 납청 마을의 유기공방 모습과 유기가 거래되던 놋점의 모습을 인물모형으로 연출하여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도록 꾸며져 있습니다. 위쪽에서 내려가며 담은 사진을 소개합니다. [윗쪽 출입구에서 담은 전경] 방짜유기의 제작과정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1930년대 평안북도 정주군 납청마을 유기공방의 모습을 1:1 인물모형과 작동모형으로 연출하였고, 방짜유기가 거래되는 놋점의 모습을 재현해 놓았습니다. [내려가며 담은 재현실 전경] 방짜유기가 거래되는 놋점의 모습을 재현해 놓았습니다. [놋점 전경] [내려와서 담은 놋점과 유기공방 전경] [놋점] 유기전이라 많..
2017.09.12 -
대구방짜유기박물관(기증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장길 29(도학동 399) [기증실 입구쪽 전경] [기증자 이봉주 선생] [입구에서 담은 기증실 전경] [기증실 개요 설명 글] [전시된 자료] [연엽 삼첩 반상기 / 옥식기 미음상] [찻잔] [진지그릇] [옥식기 죽상] [옥식기 오첩 반상기] [생활속의 유기 / 좌종 전경] 불교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발 형태의 소리 도구이다. 종의 윗부분을 막대로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데 형태의 특성상 소리가 바깥으로 퍼져나가기보다는 몸체 안쪽에서 맴돌며 소리의 여운이 오래 지속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생활 유기와 좌종] [반상기의 종류] [옥식기 칠첩 반상기] [손잡이없는 옥바리 반상기] [옥바리 칠첩 반상기] [각이 있는 옥바리 반상기] [대종교 대례상] [불교제상] [생활유기] 놋그..
2017.09.11 -
대구방짜유기박물관(유기문화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장길 29(도학동 399) [대구방짜유기박물관 출입구 전경] [대구방짜유기박물관 출입구] 놋쇠를 녹여 부은 다음 다시 두드려 만든 그릇을 방짜라고 하는데 이러한 방짜들을 모아 전시하는 전국 유일의 방짜유기 전문박물관이다. 유기의 역사와 종류 등 유기에 대한 각종 정보와 유기장 李鳳周(이봉주) 선생의 유기명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특대징 전경] 지름이 161cm, 무게가 98kg에 이르는 큰 징으로 소리의 울림이 웅장한 걸작품이다. [특대징 설명 글] [특대징 제작자 이봉주 약력] [좌측 특대징 전경] [우측 특대징 전경] [유기문화실 입구 전경] 유기문화실은 유기에 대한 관람객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도록 꾸며진 전시실로 유기의 역사, 종류, 제작과정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이..
2017.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