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22)
-
藥泉(약천) 南九萬(남구만)선생 묘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초부리 산1-5 용인시 향토유적 제5호 [묘역 가는 길] 南九萬(남구만, 1629~1711년)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顯宗(현종)과 肅宗(숙종) 때의 문신으로, 송준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숙종 때의 少論(소론)의 領袖(영수)로 자는 雲路(운로). 호 藥泉(약천), 美齋(미재). 본관은 宜寧(의령)이다. 개국공신 남재의 후손으로 오달제의 처조카이며 시호는 文忠(문충)이다. 그는 文詞(문사), 書畵(서화) 에도 뛰어났다.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와 '藥泉集(약천집)'이 있으며, 글씨로는 左相南智碑(좌상남지비). 開心寺(개심사). 楊花樓(양화루). 迎送樓(영송루) 등의 額字(액자)를 남기고 있다. [정면에서 담은 신도비 전경] 묘 아래 신도비를 세웠는데 그 좌측에 '동..
2015.08.27 -
독립군의 어머니 南慈賢志士 生家址(남자현지사 생가지)
소재지 :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 394 [南慈賢志士(남자현지사) 抗日殉國碑(항일순국비) 전경] 독립운동가 경상북도 英陽(영양) 출생. 영남의 석학인 부친 南珽漢(남정한)의 3남매중 막내딸로 태어나 어릴 때부터 품성이 단정하고 총명하였으며 7세 때에 국문에 능통하였고 부친의 가르침을 받아 小學(소학)과 大學(대학)을 통달하였다. 19세에 金永周(김영주)에게 시집 가 단란한 생활을 꾸렸으나 일제의 만행이 점차 극성을 부리자 남편 김씨는 1896년 여사에게 “나라가 망해 가는데 어찌 집에 홀로 있을 것인가. 지하에서 다시 보자..."며 決死報國(결사보국)을 결심하고 英陽義兵將(영양의병장) 金道鉉(김도현) 의진에서 왜군과 전투중 전사하였다 한다. 남편의 전사소식을 들은 여사는 복수심에 밤잠을 이루지 못..
2015.08.26 -
충남 花巖寺(화암사)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202 도지정문화재 기념물 제151호 [花巖寺(화암사)보호수] [花巖寺(화암사) 보호수 2] [보호수 안내팻말] [花巖寺(화암사) 입구 전경] 화암사의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삼국시대의 古刹(고찰)이라 한다. 화암사는 오서산 중턱에 위치하고 백제때 창건하였고 건물은 화순옹주의 부군이자 영의정 김홍경의 아들로 월성위인 김한신이 재건하고 중수한 것으로 추사선생 댁과는 인연이 깊은 절이다. 추사 김정희 선생의 증조부인 월성위 김한신이 조선영조의 부마가 되었을 때 別賜田(별사전)으로 분급된 일대의 田土(전토)에 포함되어 그 一門(일문)에 세습되었다 영조 28년(1752) 월성위가 중건하였으나 그후 대웅전은 燒失(소실)되고 요사채만 남아있다. 추사선생은 이곳 烏石山(오석산) ..
2015.08.25 -
寧越(영월) 韓半島地形(한반도지형)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 180번지 일원 명승 제75호 [주차장 주변에서 담은 풍경] [줌으로 당겨 담은 뾰족산 전경] 풍수를 좋아하는 옆지기가 풍경을 담고 있는 것을 보드니, 저기 보이는 뾰족하게 올라온 산을 찍으라 하기에 한컷 촬칵!~ 옆지기는 문필봉이라 하였겠지만, 전 산이름을 몰라서 그냥 뾰족산이라 제 맘대로 붙여보았습니다.^^ [한반도지형 조망하는 곳 안내팻말] [한반도 조망대 오르는 길] 오솔길 입구에는 누군가의 정성들이 모여 작은 돌탑이 소원을 이루기를 빌며 서 있었다. 조망대로 올라보실까요. [가는 길에 담은 야생화] [한반도 조망대 오르는 길 2] 오래전 선암마을 한반도 지형이 지금처럼 유명해 지기 전에 찾아갔던 사진을 우연히 다른 자료를 찾다가 찾게 되었다. 평창강 끝머..
2015.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