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찾아서(25)
-
조선, 6대 端宗陵(단종릉) 莊陵(장릉)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190 사적 제196호(세계문화유산 등재) [장릉 안에서 정문을 보고] 영월은 어딜 가나 단종의 고혼과 충신들의 넋이 발길 닿는 곳마다 서리지 않은 곳이 없다. 단종의 유배지인 청령포와 사약을 받고 승하한 관풍헌,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시를 남겼던 자규루, 마지막 자리인 단종이 묻힌 장릉 그의 능까지 왔다. [朴忠元旌閭閣(박충원정여각)] 영월 장릉 경내 입구에 들어서면 맨 처음 오른쪽으로 보이는 것이 바로 낙촌비각이다. 영월군수이던 낙촌 박충원이 노산묘를 찾은 일에 대한 사연을 기록한 기적비각이다. 이 비각은 박충원의 충신됨을 후세에 널리 알리기 위하여 1972년에 세운 것이다. 충신 박충원은 중종26년(1531) 文科(문과)에 급제하여 文景公(문경공) 시호를 받았..
2016.04.21 -
시선 김삿갓 유적지와 묘역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 와석리 [詩仙 金삿갓 遺蹟地(시선 김삿갓 유적지) 표석 碑(비)] 방랑 시인 김삿갓의 유명한 일화. 언제나 그렇듯 갓쓴 선비네들은 정자에 앉아 옆에 계집을 꿰어차고 술을 마시며 시를 짓고 있었다. 그때 한 삿갓을 쓴 행인이 그들의 틈에 끼더니 시를 쓸테니 술대접을 해 달라고 했다. 양반네들이 그 행인을 쫓으려고 했지만 한 양반이 호감을 느끼고는 선비들을 말려서 그 삿갓쓴 행인에게 시를 지어보게 했다. 그 행인은 정자에 앉자마자 과제를 내라 했습니다. 너무 당당한 모습에 당황한 양반들. 양반들은 꾀를 내어 자신들의 이름을 이용해 詩(시)를 지으라 하며, 자신들의 이름을 밝혔다. '원 생원, 문 첨지, 서 진사, 조 석사' 그 말을 듣자 말자 대뜸 종이위에 글을 쓰놓고는 술을..
2016.03.31 -
창녕조씨 시조 태사공 조계룡의 묘소와 種德齋(종덕재)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노당리 1115-2 [종덕재 정당 솟을 삼문 전경] 창녕조씨 시조인 太師公(태사공) 曺繼龍(조계룡)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하여 영조 33년(1757)에 세운 재실이다. [안내판과 종덕재 정당 솟을삼문] [안내판 글 내용] [종덕재] 순조 17년(1817)에 묘단비를 세우고 순조 32년(1832)에 묘각을 중건하여 種德齋(종덕재)라 명명하였다. 1929년 창녕조씨 대종회에서 중수하였고 6.25전쟁 때 일부 파손되었으나 다시 중수하였다. 매년 음력 10월 초정일 창녕조씨 문중에서 묘제를 거행하고 있다. [종덕재 2] 정당을 중심으로 좌우에 동·서재를 두고 정면에 솟을대문인 영은문을 배치하였으며 정당 옆에 3동의 부속사를 두어 二口자의 배치 구조이다. 정당은 정면 6칸, 측면 ..
2016.03.16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排里 三陵(배리삼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73-1 사적 219호 [배리삼릉 입구에 세워진 상선암가는 이정표] 이곳에서 1.4km를 더 가면 상선암이 있다는 표지판의 유혹을 물리치고, 짜여진 일정에 따라 排里 三陵(배리삼릉)으로 향했다. 간간이 사람들이 산책로를 따라 삼삼오오 걷기 운동을 하며, 솔숲에서 불어오는 한 줄기 바람으로 도시생활에 찌든 몸에 활기를 불어넣어주는 것 같다 [배리삼릉 앞 소나무 숲] 배리삼릉은 경주 남산의 서쪽 기슭에 동서로 3개의 왕릉이 나란히 붙어 있다. '신라 제8대 阿達羅王(아달라왕)'. '신라 제53대 神德王(신덕왕)'. '신라 제54대 景明王(경명왕)'의 무덤이 한곳에 모여 있어 삼릉이라 부른다. 무덤은 모두 원형으로 흙을 쌓아올린 형태를 하고 있다. [안내판과 排里 三陵(배리..
2016.02.02 -
黃喜先生 墓(황희선생 묘)와 사당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금승리 산1 시도기념물 34호 [주차장에서 본 사당과 묘역 전경] 조선 시대를 통하여 가장 명망 있는 재상으로 칭송되는 尨村 黃喜(방촌 황희, 1363~1452)선생의 묘이다. 황희는 長水(장수) 황씨로 개성에서 태어나 1389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다 조정의 요청으로 관직에 나오게 되었으며, 세종 13년 의정부 최고의 관직인 영의정부사에 올라 국가대사를 돌보았다. [사당 삼문 전경] 세종 31년 86세로 은퇴한 후에도 세종이 국가의 중대사를 자문하는 등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농사개량에 힘써 '經濟六典(경제육전)'을 펴냈다. 4군 6진의 개척과 외교와 문물제도의 정비, 집현전을 중심으로 한 문물의 진흥 등을 지휘, 감독하여 조선 왕조를 통하여 ..
2016.01.23 -
副正公(부정공) 趙瑜(조유) 묘역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주암리271 [정헌재 담과 묘역 가는 길] 정헌재에 들려 본 후 정헌재 옆 작은 일각문으로 나와보니, 묘역으로 오르는 길과 연결이 되어 있었다. [묘역으로 가는 길] 꾸불텅 굽은 길을 오르니, 저 멀리 묘역이 보였다. [묘역 입구에서 조유의 손자 趙智山(조지산) 묘 전경] 한국의 100대 명당중에 들어간다는 옥천조씨 조유 묘 나홍선사 소점에 무학대사 점혈지로 알려진 호남의 8대 명당 중 하나이기도 하다. [조유의 손자 趙智山(조지산) 묘 전경] [趙智山(조지산) 묘 앞 좌측 문인석] [趙智山(조지산) 묘 앞 우측 문인석] [趙智山(조지산) 묘 뒤에서 바라 본 안산 전경] [후손의 묘 맨 뒤쪽에 자리한 조유의 묘 전경] 우선 앞쪽 후손의 묘소를 지나 조유의 묘소로 향하였다..
2015.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