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러보기(204)
-
경주 사적 제457호 月精橋(월정교)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274 [교촌마을쪽에서 담은 月精橋(월정교) 전경] 월성 서쪽 끝에 위치하며 남천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경덕왕 19년 2월 궁성 남쪽 문천에 월정교와 춘양교 두 다리를 놓았다고 한다. [교촌마을 쪽 안내판 글 내용] [교촌마을쪽 月精橋(월정교) 현판] [교촌마을쪽에서 담은 月精橋(월정교)] 고려시대 문관 김극기가 월정교를 보고 “무지개 다리가 거꾸로 강물에 비친다”는 시를 남겼다. 이를 감안하면 다리는 아치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경주시는 해외 사례 등을 검토해 일직선의 들보교로 복원하여, 고증을 무시한 채 마구잡이식으로 이루어졌다며 설왕설래 중이라 하네요. [교촌마을쪽에서 월정교 내부 전경]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 지어졌던 교량으로, 조선시대에..
2019.01.25 -
국립대구박물관 '영주 금강사 터에서 만난 보물'展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70 [국립대구박물관 현판] [영주 금강사 터에서 만난 보물]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시실 출입구 전경] [입구에서 담은 첫 번째 사진 자료] [금강사를 만나다 안내도와 안내글 내용] [전시실 내부 전시된 일부 자료 전경] [塑造塔片(소조탑편)] [전시된 일부 자료 전경] [청자 장고, 청자 대접] 청자 장고 : 절에서 행사가 있을 때 사용 [청자 병, 정자 접시, 청자 뚜껑, 벼루 등] [불상 대좌] [전시된 일부 자료 전경] [나무 주걱, 봉숭아 씨] [금강사를 발굴하다. 유물 발굴 안내도] [금강사를 발굴하다 설명 글] [금광리 석탑(고려) (망실 이전)] [금광리 석불좌상(나말여초)] [금강사를 발굴하다 설명 글 2] [금강사 터 유구 조영 시기 및 유물 출토 위..
2019.01.22 -
기획 특별전(여성 한복 근대를 만나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70 [국립대구박물관 전경] 신문에서 본 후 가야겠다 마음먹었지만, 여차여차 시간이 나질 않았다. 그러다가 휴대폰이 말썽을 부려 삼성 서비스센터에 들려 고친 후 "나간 김에 휴대폰 수리도 받고, 사진도 찍고 와." 약간 볼멘소리로 남편이 말한다. 암튼 혼자 나가는 것을 제일 싫어하는 사람이니 내가 휴대폰 고장이라 핑계를 대고 나가려 하는가 생각하고 그런 것 같다... ㅠ.ㅠ [국립대구 박물관 2층 전시실 오르는 계단] 에라 모르겠다. 어차피 의심도 받았으니 옳다고나 하고 국립대구 박물관으로 직행! [여성 한복 근대를 만나다 전시실 출입구 전경] 사실은 남편을 탓할 수도 없다. 요 핑계 조 핑계를 대며 나간 적도 많으니... 알고도 속아주고 모르고도 속아준 게 많으니....
2019.01.21 -
慶尙監營公園(경상감영공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21 [대구 근대역사관 쪽에서 담은 경상 감영공원 전경] 대구 근대역사관 2층 기획실에서 '사진엽서로 떠나는 대구 근대 여행'展을 본 후 그냥 지나쳤던 경상 감영공원을 가는 길에 여러번 들린 곳이지만, 다시 담아 소개할까 하고 담기 시작하였다. 겨울철이라 잎이 다 떨어져서 별 다른 감흥이 없을 줄 알았는데, 겨울은 또 겨울대로 둘러보는 맛이 있네요. [앞쪽 통일의 종각 과 징청각 전경] 통일의 종 조국 통일을 기원하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달구벌대종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제야의 종 타종식을 거행했었지만, 현재는 달구벌대종에게 그 자리를 물러주고 조용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돌다리] 조선 선조 34년(1601) 경상감영이 있던 장소로서 대구도심 중앙에 위..
2019.01.19 -
延安李氏軍威入鄕祖(연안이씨 군위입향조) 묘소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외량3리 [延安李氏軍威入鄕祖(연안이씨 군위입향조) 묘소 안내석 전경] 며칠 전부터 군위에 한번 다녀오자 하기에 그러자 하였지만, 날씨가 좋지 않아, 컨디션이 좋지 않아 차일피일 미루다가 10월 30일 운동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군위로 향했습니다. [묘소로 오르는 임도] 어딘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남편이 가자는 대로 달려 도착한 곳은 延安李氏軍威入鄕祖(연안이씨 군위입향조) 李亨禮(이형례) 묘소였습니다. [입구에서 담은 延安李氏軍威入鄕祖(연안이씨 군위입향조) 李亨禮(이형례) 묘 전경] 묘역 제일 위 쪽의 연안이씨 군위입향조 李亨禮(이형례) 墓(묘), 그리고 좌측 아래쪽에는 아들 李國樑(이국량)의 墓(묘), 우측 아래에는 송오 李軫(이진) 墓(묘) 남계 李輔(이보)..
2018.12.04 -
밀양 여여정사
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행곡리 1066 [여여정사 주차장 앞쪽 화단의 조각 작품] 남편이 지난번 풍수 카페 회원들과 다녀오며 담아 온 여여정사 조각 작품을 소개한 적이 있었다. 만어사와 여여정사에도 들러보고 싶다 하였더니, 밀양의 다른 곳도 다녀올 겸 가보자 해서 길을 나섰다. [여러 가지 조각 작품 등] 맘껏 담아 온 여여정사 대웅보전과 약사전 그리고 주변 야외 법당의 많은 조각 작품들을 이웃님께 소개하겠습니다. [주차장 옆쪽 조각 작품] 밀양은 조선시대 의병을 이끈 사명대사의 고향이기도 하고 표충사와 만어사 등과 같이 유명한 사찰이 많다. 그중 일명 기도발이 잘 받는 사찰이 있다는 소문이 난 만어사보다는 작은 사찰이지만 신자들에게는 유명한 사찰이 삼랑진에 있다. 바로 여여정사다. [대웅보..
2018.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