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동(15)
-
신명 3.1 운동기념탑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06(신명여자고등학교 내) [신명 3.1 운동 기념탑 전경] 1919년 3월 8일 대구에서 일어났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큰 역할을 했던 신명학교의 교사 이재인과 졸업생, 재학생들을 기리고자 설립된 기념탑이다. [신명 3.1 운동 기념탑 전경 2] 만세운동의 시발지인 큰 장터에서(현 서문시장), 이영현을 비롯한 통학생 및 저학년 10여명은 동신교를 조금 지나서, 그리고 30여명의 기숙사생들은 대부분 남성파출소 앞에서 각각 계성학교. 성격학교. 남선정(제일)교회. 남산교회. 달남(서문)교회 등이 주축이 된 수천명의 만세부대와 합류하였다. [신명 3.1 운동 설명 글 내용] 그 날의 함성이 들려오는듯 하다. [신명의 딸은 앞면] [신명의 딸은 뒷면] [기념탑 건립을 도운..
2017.02.17 -
선교사의 넋이 잠든 은혜정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청라언덕쪽에서 담은 은혜 정원 전경] 대구의 가장 상징적인 개신교 성지는 '은혜 정원'에 잠들어있는 선교사의 넋을 만날 수 있다. 경상도 지역에 첫 복음의 발길을 전한 베어드(배위량) 선교사와 억눌린 한국 사람들의 대변인 베델, 한국인보다 한국인을 더 사랑한 헐버트, YMCA 운동의 개척자 브로크만, 한국 근대여성 교육과 여성전도의 선구자, 교육자로서 대대로 헌신한 가족 선교사 아펜젤러 가(家), 토론토 의대를 졸업하고 한국의 폐결핵 퇴치를 위해 힘쓴 셔우드, 우리나라 첫 서구식 민간병원 광혜원(나중에 제중원으로 바뀜)의 2대 원장 헤론이 잠들어있는 곳이다. [은혜정원 출입구] [은혜정원 안내 글 내용] 동산을 들렸다면, 반드시 들려야 할 장소가 바로 이곳 선교사 묘역..
2017.02.16 -
100주년 기념 종탑과 한국 최초의 서양 사과나무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선교박물관 바로 옆에 종탑이 세워져 있다. 어떤 곳일까? 궁금하여 들려보았지요. 종탑으로 이어진 길은 다듬이 돌로 놓여져 있다. 어릴적 다듬이를 하다 힘을 너무 주어 옷을 상하게 하였던 기억과 함께 어머님과 숙모님이 마주 않아 다듬이질 하던 모습이 떠오른다. 장단을 맞춰 다듬이하는 소리를 자장가삼아 들었던 기억도 함께... 종탑으로 가는 길 옆으로 100년된 사과나무. 잎이 다 떨어져 앙상한 모습의 사과나무 [대구서양 사과나무 전경] 사과나무는 대구 최초로 심어진 사과나무로 수령은 약 100년. 당시 72그루의 나무가 심어졌으나 지금 남은 건 딱 이 사과나무뿐이라 한다. [안내 글 내용] 여기에 뿌리 내린 이 사과나무는 1899년 동신의료원 개원 당시 미국에서 들어온 한..
2017.02.11 -
선교 박물관이 된 선교사 스윗즈 주택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194 대구광역시 시도유형문화재 제24호 [의료선교 박물관 표지석] [선교사 스윗즈 주택 전경] [선교사 스윗즈 주택과 뒷쪽 제일교회 전경] [스윗즈 주택 앞 소나무] [안내판 글 내용] [선교박물관 출입구 벽 안내글] 초록 발판에 신발을 벗어놓고 문을 닫은 후 관람을 하라 적혀 있다. 얌전하게 신발을 벗어놓고, 문도 닫은 후 안으로 들어갔지요.^^ [전시실 내부] [조선에서 사역하던 미국선교사 연차대회(1907년 평양)] 평양 학술관에서 개최된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를 조직하기 위한 집회. 초대 총회장 마포삼열 박사(동산기독병원 제7대 병원장 하위드 마젯 박사의 부친) [기도하는 촌부] 렘브란트 판 레인(1606~1669)의 그림, 기도하는 촌부이다. 렘브란트는 손등의 ..
2017.02.10 -
교육 역사 박물관이 된 선교사 블레어 주택 2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42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26호 [동산병원 근대로의 여행(골목투어) 입구] [골목길에서 담은 교육 역사 박물관 전경] 며칠전 들렸지만, 내부를 볼수 없었기에.. 행여나 하고 근처를 지나치다 다시 들렸다. [아랫쪽에서 담은 교육 역사 박물관(선교사 블레어 주택)] [교육 역사 박물관 안내팻말] 초록발판위에 신발들이 가지련히 놓여 있는게 눈에 띄었다. 살며시 문을 열어 보았더니 열린다. 오메 좋은거~~~ [문 우측으로 보이는 박물관 내부 전경] [뻥튀기 기계] 압력이 걸려 있는 용기에 쌀을 넣고 밀폐시켜 가열하면 용기 속의 압력이 올라간다. 이때 뚜껑을 갑자기 열면 압력이 급히 떨어져서 쌀알이 수 배로 부풀게 된다. 이것을 튀긴쌀 또는 膨化米(팽화미)라 한다. 이 때..
2017.02.08 -
교육 역사 박물관이 된 선교사 블레어 주택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42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26호 [선교사 블레어 주택(교육 역사 박물관) 전경] 블레어 주택은 선교사 블레어(Blair)와 라이스(Rice)가 살던 일제 강점기의 건물이다. 1989년 6월 15일에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교육 역사 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안내판 글 내용] [선교사 블레어 주택 안내표석] 이 집은 외관상 같은 시기 미국의 방가로등에 가까운 양식주거 건물로서 지금까지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곳은 문이 닫혀 있어서 내부를 둘러 볼 수 없었다. [블레어 주택 앞쪽 장독대 전경] 선교사 주택 앞쪽의 장독대가 신기하였다. 그들도 장독대를 실제로 이용하였을까? 아니면 전시용? [선교사 블레어 주택 전경] 청라언덕 바로 옆..
2017.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