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동(15)
-
玄濟明(현제명) 나무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대구제일교회 100주년기념관 옆) [100주년 기념관 옆 현제명 나무 전경] 대한민국의 음악가, 성악가(테너), 작곡가. 1902년 12월 8일 경상북도 대구시 남산동(現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출신. 본관 延州(연주)이며 아호 玄石(현석)이다. [100주년 기념관과 현제명 나무] 대구 대남국민학교와 계성학교를 다녔고, 대구에 있는 제일교회 성가대 활동을 통해 음악에 눈을 뜨고 계성학교, 평양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했다. 1923년에 졸업한 후 전라북도 전주에서 신흥학교의 음악 교사로 활동했다. [2017년 10월에 담은 사진]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일본어와 한문 소개 글 내용] [좌측에서 담은 玄濟明(현제명) 나무 전경] 1926년 미국으로 건너가 시카고에 있는 ..
2018.05.01 -
대구 중구 동산동 샴지공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51번지 샴지공원이란 빌딩 사이의 자투리땅에 조성한 공원이라 한다. 어릴적 할머니의 샴지돈을 받아본 기억이 있다. 할머니 치마를 걷으면 작은 주머니가 있다. 어릴적 난 그 주머니가 참 신기했다. 그속에서는 없는게 없을 정도로 무궁무진했던것 같다. 옛 이야기를 들려주시며 샴지주머니에서 나온거라 하셨거든요.^^ 계산성당 도로 건너면 곧장 샴지공원 관광안내소가 있다. 그곳에 들려 안내를 받아 둘러보시면 더 많은 곳을 알뜰하게 둘러볼 수 있다. 샴지공원을 지나면 곧장 3.1만세길이 있다. 대구 3.1만세길(90계단) 대구 3.1 운동길 3.1만세길을 오르면 청라언덕과 선교사 주택이 의료박물관, 교육 역사 박물관, 선교박물관으로 변한 유익한 자료들을 볼 수 있다. 의료박물관이 ..
2017.07.18 -
龜巖書院(구암서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29 대구광역시 문화재 제 2호 [구암서원 표시판] 버스 승강장 표시판 윗쪽에 서원 표시판이 붙어 있어서 눈여겨 살펴보지 않으면, 그냥 지나칠 수 있다. 사실 저도 그냥 지나쳤다가 다시 되돌아왔거든요. [골목입구 담벽에 그려진 구암서원] 이곳에서 부터는 작은 골목길을 요리조리 따라가야한다. 그러나, 서원 표시판이 군데군데 붙여있어서 찾아가기는 쉽다. [골목길 입구에서 담은 전경] [구암서원 표시판] [구암서원 표시판 2] [골목길] [골목길 2] 한참을 가도 서원은 보이지 않기에 잘못 왔나? 의심이 갈 즈음이면 어김없이 나타나는 서원 표시판 [표시판 3] [골목길 벽에 그려진 경앙문] [다시 담아 본 경앙문 벽화 전경] [봄날 / 서거정] [표시판 4] [담벽에 그려진..
2017.06.08 -
미리 가본 대구 3.1운동 98주년 기념 및 재연행사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3.1운동 98주년 재형행사 현수막 전경] [도로에 새겨진 3.1만세운동 행진로] [3.1운동길 90계단 전경] 대구 근대문화골목의 3.1운동길. 대구만이 가진 역사적 가치를 정책화한 대표적인 사례라 한다. [3.1운동길 90계단] 이곳에서 98주년 3.1운동 재현 행사를 올해도 어김없이 개최한다 합니다. [98주년 3.1운동 재현 행사장] 행사 하루 전날이라 그런지... 90계단 만세길은 관광객도 없이 조용하다. 비록 재현일망정 3.1일 90계단 이곳에서 그날의 그 감동이 태극기와 함께 진한 감동으로 물결치겠지...
2017.03.01 -
大邱第一敎會(대구제일교회)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34번지 [계산성당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계산오거리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조선 말기의 설립된 오래된 교회이며 미국 베위량이 1893년 대구를 방문하여 개척 전도를 하면서 예배를 시작한 것이 시초이고 1897년 선교사 아니와가 정착하면서 본격적으로 교회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건널목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대구제일교회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선교 박물관(선교사 스윗즈 주택)과 제일교회 전경] [영남신학대학교 옛터 기념비 전경] [영남신학대학교 옛터 기념비 글 내용] [선교 박물관 옆쪽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경북 및 대구 지역 최초의 개신교회이며 대구제일교회에서 분리된 교회만 20여개가 넘으며 대한예수교장로회가 분열 됭..
2017.02.21 -
대구 3.1운동 길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3.1운동 길 90계단위에서 담은 앞쪽 전경] 3.1운동 90계단길을 오르면 서문시장으로 연결되는 3.1운동길로 이어진다. [바닥에 새겨진 근대로의 여행 안내도] [3.1운동 길] 대구 만세운동 거사의 첫 집결지는 동산언덕 3.1운동길 솔밭이었고, 최종 거사 출발장소는 섬유회관 앞 당시 큰장 입구 소금집 달구지 위였다. [3.1운동 길 굴다리] 남산교회 김태련 조사의 독립선언문 낭독과 제일교회 이만집 목사의 독립만세 삼창으로 시작된 대구3.1만세운동은 요원의 불길같이 번져 교회와 교회를 통하여 경북 각 지역에 전파되었으며, 4월말까지 산발적으로 일어났다. [굴다리 아래 삼일운동 벽화] 대구의 3.1독립운동은 다른 도시와 달리 기독교 기관이 주축이 된 거사였으며, 당시 ..
2017.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