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과문학관(64)
-
木月(목월) 文學館(문학관)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550-1 [목월문학관 출입구 전경] 동리문학관을 소개해 드렸으니, 오늘은 약속한 대로 목월문학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시인 박목월 선생 상] 출입구쪽에서 곧장 보이는 시인 박목월 선생님의 像(상)과 뒤쪽에는 대표시 '나그네'의 일부분인 '구름에 달가듯이 가는 나그네' 적혀 있다.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 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읽으면 읽을수록 가락이 붙는 노래 같은 詩(시) [정보검색대와 내부 전경] [박목월 선생의 시대별로 나눈 연보] [입구쪽에서 담은 문학관 전시실 내부] [입구쪽을 바라보며 담은 문학관 전시실 내부] [생전의 집필실 모습] 생전의 집필실방으로 꾸며진 전..
2016.03.23 -
東里(동리) 文學館(문학관)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550-1 [東里木月文學館(동리목월문학관) 전경] [안내판]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東里木月文學館(동리목월문학관) 현판] [東里木月文學館(동리목월문학관) 출입구] [동리. 목월 문학관 안내데스크] 안내데스크 위 중앙 '동리. 목월 문학관' 현판이 붙어 있는 양쪽으로 우측 목월 문학관, 좌측 동리 문학관으로 나뉘어져 있다. [목월 문학관 입구] [동리 문학관 입구] 우선 동리 문학관 부터 들려보겠습니다. [소설가 김동리 선생 상] [년도별 김동리 선생 연보] [김동리 추모사업회] 김동리 선생과 박목월 선생은 경주 출신으로 한국문단의 양대 산맥을 이룬 문단의 거봉들입니다. 김동리 선생은 혼미한 격변기에 우리 순수문학을 굳건히 지켜왔고, 인생의 究竟(구..
2016.03.22 -
烏川遺蹟地(오천유적지)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산27-1 [烏川遺蹟地(오천유적지) 정경] 경북 안동의 오천유적지는 안동댐의 건설로 수몰 위기에 놓인 광산 김씨 예안파의 문화재를 옮겨 놓은 곳이다. 본래 광산 김씨의 집성촌은 군자리라는 곳에 있었는데 안동댐이 건설되면서 군자리가 수몰지역으로 들어가자 이곳으로 중요 문화재들을 옮겨온 것이다. 지금도 오천유적지 입구에는 군자리라는 비석(실제는 오천리)이 서 있다. [군자마을 안내도] [안내판 글 내용] [숭원각] 마을 입구 왼쪽에 숭원각이라는 유물전시관이 있는데, 이 유물전시관에는 고려시대의 호적과 교지, 노비문서, 분재기 등 고문서 1,000여 점과 각종 서책 2,000권 등 광산 김씨 예안파의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枕洛亭(침락정)]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
2016.03.02 -
이육사 문학관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 900 [이육사 문학관 현판] [이육사 문학관 전경] 우리가 가는 날이 마침 월요일... 매주 월요일엔 휴관일. 굳게 닫힌 문. 관람객도 없이 설렁하였지만, 그대신 우린 문학관 밖에서 마음놓고 사진도 찍으며, 둘러보았다. 어릴 때 이름은 源祿(원록), 두 번째 이름이 源三(원삼), 자는 台卿(태경) 호는 陸史(육사)이다. 이육사 선생은 40년의 짧은 생애를 살면서 '청포도' '광야' '절정'과 같은 아름다운 서정시를 우리에게 남겨주었다. 경북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위치한 이육사문학관은 이육사탄신 100주년을 맞아 건립되었으며, 민족사랑을 불태워 왔던 그의 자취를 다시금 찾아보게하는 좋은 장소이다. [이육사 문학관 안내도] [이육사 선생의 시 꽃 옆에서 기념 한컷..
2016.02.25 -
慶州(경주) 崔氏古宅(최씨고택)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69 중요민속자료 제27호 [최씨고택 솟을 삼문 전경] 고택의 대문은 일반적인 솟을대문보다 높이가 낮으며, 솟을대문 형식을 취했으나 화려하지 않고 수수하고 평범하다. 건축 당시 근처에 위치한 향교보다 2단계 낮게 터를 깎아내고 지었다고 한다. 최씨가문이 부자이지만 자세를 낮추고 살았다는것을 알수 있다. [안내판 글 내용] [솟을 대문] 열린 대문은 늘 반갑다. 그러나, 낯선곳의 방문은 늘 조심스럽다. [최씨고가] 사랑채, 안채, 대문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솟을 대문을 들어서면 곧장 보이는 것이 사랑채이다. [사랑채] 이 사랑채에는 구한말 의병장 신돌석장군, 면암 최익현, 스웨덴의 구스타프 국왕(당시 왕세자), 의친왕 이강공등 당대의 기라성 같은 손님들이 머물었다고 한다..
2016.01.26 -
黃喜先生影堂址(황희 선생 영당지)내 방촌기념관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산 127 경기도 기념물 제 29호 [방촌기념관] 황희선생 영당지에 들어서면 오른쪽에 커다란 기와 건물이 눈에 띈다. 황희정승의 일대기를 볼 수 있는 방촌기념관이다. 황희정승 유적지 성역화 사업의 일환으로 1999년 7월 착공하여 2000년 6월에 완공되었다. 내부에 방촌선생의 일대기를 영상으로 방영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방촌선생의 삶과 사상을 알기 쉽게 전하는 전시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그림으로 그려 자세히 표기하여 걸어두었다. [황희정승 영정] 기념관 안에 걸린 영정 아래로 사진과 함께 사진속 내용을 그대로 올려봅니다. [影堂址(영당지) 안에서 본 靑政門(청정문)과 방촌기념관] 오늘은 황희정승 기념관 안에 걸린 사진속 이야기만 대충 담아 올렸습니다. 내일은 ..
2016.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