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2)
-
경남 고성 상족암
사천 무지개 해안도로를 둘러본 후 흙시루에서 점심을 먹고는 곧장 고성 상족암 군립공원으로 상족암 군립 공원에 주차 서둘러 상족암으로 향했다. 주변 풍광을 담느라 이곳저곳 방향을 바뀌가며 휴대폰을 누르고 있을 때 앞장선 지인의 모습은 아예 보이지 않는다. 그래도 맘 놓고 주변을 살펴보며,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건 넉넉하게 보고 담으며 오라는 무언의 약속 같은 게 우리에게 있기 때문이다. 오늘 하늘은 왜 이리 아름다울까 바다와 숲과 푸른 하늘의 흰 구름 맘에 쏘옥 든다. 퇴적암 등의 퇴적 구조에서 보이는 평행한 줄무늬를 말한다. 층리를 형성하는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퇴적을 일으키는 동인의 운반능력의 차이이다. 물과 바람은 입자들의 크기·무게·모양에 따라서 퇴적물을 분급시키며, 이렇게 분급된 퇴적물들은 비교적..
2022.07.05 -
關東八景(관동팔경) 淸澗亭(청간정)
소재지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청간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2호 [주차장에서 담은 청간정 입구쪽 전경] 淸澗亭(청간정)은 관동팔경 중 하나로 동해바다와 연결되는 청간천 하구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 정자이다. [여러 종류의 안내판 전경] [청간정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글 내용] [청간정으로 오르는 돌계단] [계단 옆 산딸기꽃] [접사로 담은 산달기 꽃] [淸澗亭(청간정) 전경] 창건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중종15년(520) 군수 崔淸(최청)이 고쳐 세웠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건립된 것으로 짐작한다 합니다. [淸澗亭(청간정) 전경 2] 이후 수차에 걸쳐 수리가 이루어지다가 고종 21년(1884) 소실된 것을 1928년 면장 金容集(김용집)의 발의로 재건되었다가 한국전쟁 때 다시 ..
2016.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