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182)
-
胡簡公(호간공) 李蓀(이손) 묘역 및 신도비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신월리산22-1 광주시 기념물 제9호 [묘역가는 길 입구쪽 高德閣(고덕각), 석탄공 비문, 신도비 전경] 제가 검색을 잘못하였는지 분명 주소를 보고 다녀왔는데... 다녀와서 포스팅해 올리려 지도를 올리려 검색을 해봐도 나오지 않는다. '광주시 기념물 제9호' 라는데.... 왜 지도상에 나타나지 않는지 궁금하다. [神道碑(신도비)] [안내판과 신도비 와 高德閣(고덕각)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이곳에서 안쪽으로 200m 더 들어가면 재실인 한산재와 고덕재 묘역이 있다. [묘역 입구의 漢山齋(한산재) 전경] [漢山齋(한산재) 일각문] [漢山齋(한산재) 현판] [담너머로 담은 漢山齋(한산재)] 재실인 漢山齋(한산재) 일각문이 닫혀 있어서 안으로 들어갈 수 없기에 담 너머로 漢..
2019.03.22 -
申砬將軍(신립장군) 墓域(묘역)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대리 산 1-1 경기도 기념물 제95호 [신립장군 묘소 가는 길 안내팻말과 등산로 안내도] 네비에 주소를 넣어 왔지만, 네비양이 엉뚱한 곳에서 멈추게 하였다. 좌측으로 묘소가 있다 하는데... 찾지 못하여 다시 턴하여 내려오다가 마침 근처를 지나치는 아주머니를 만나 여쭈어보았더니, 이곳에 주차해놓고 산으로 올라가도 되고, 아래로 내려가서 주차한 후 묘소로 가는 길이 있다 하신다. [평산신씨 충장공 재실과 묘소 가는 길] 산으로 오르는 길도 보이지 않고, 숲이 우거져서 우린 아래로 내려가기로 했다. 동네를 지나 조금 더 내려가니 신립장군 묘 안내팻말이 보였다. 올라올 때 왜 지나쳐 왔을까? 아마도 네비양이 직진하라는 말을 그대로 들었기 때문이었다. [충장공 재실 전경] ..
2019.03.11 -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특별기획전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214 대백프라자 12층 [대백프랴자 12층 갤러리 전경] 대구백화점 프라자점 12층 갤러리에서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특별기획행사로 다양한 전시회와 체험행사를 하고 있다는 신문광고를 보았다. 마침 시내 볼일이 있기에 조금 일찍 나가서 들렸다 왔습니다. 못가 보신 이웃님들께 오늘 3.1절을 기해 소개합니다. [갤러리 입구에서 담은 우측 전시된 자료사진 전경] [시련의 시작 _ 명성황후의 시해] [자료 사진 / 애니메이션 편집] 워낙이 방대한 자료라 다 올릴 수 없기에... 애니메이션으로 편집해서 귀한 자료를 놓치지 마시고 보시라고 올렸습니다. [입구쪽에서 담은 갤러리 내부 전경] [3.1 독립선언서]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민족대표 33명..
2019.03.01 -
2.28 민주운동 기념회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113-10 [2.28 민주운동 기념회관 현판] [2.28 민주운동 기념회관 전경] [대구사랑 대구자랑 2.28민주운동 안내 글 내용] [2.29민주운동기념동산 안내 글 내용] [2.28민주운동 기념회관 출입구 전경] [전시실 안내도] 1층엔 기념관으로 2,3층은 도서관, 4층은 복합문화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민주운동의 문을 열다] 독재와 불의에 항거한 2.28 민주의거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2013년에 개관. [횃불 조각 작품] 1층 전시실 입구로 사람이 들어가면 횃불에 불이 들어온다. 2.28 민주운동은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사에 있어 첫 횃불을 상징한다. [2.28민주운동 벽화] 당시 운동을 주도하였던 학생들의 모습이 벽화처럼 벽에 새겨져 있다. [횃불을..
2019.02.28 -
국채보상운동 112주년 기념전시회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 [대구문화예술회관 1층 4전시실 출입구 전경] 국채보상운동은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화 하기 위해 정치. 군사적 침략과 어울러 경제적 침략을 단행하자 이에 대항해 경제적인 자주권을 회복하여 국권을 수호하자는 운동이다. 러일전쟁에서의 승리와 을사5조약 등을 통해 한반도에서 정치. 군사적 지배권을 확보한 일본은 한국의 경제를 식민지화하기 위해 차관을 강요 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1905년부터 1910년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대일부채는 4,500만원에 달하였다. 이런 막대한 차관은 한국의 경제발전을 위해 들어 온 것이 아니라,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화하는데 사용될 일제의 식민지 건설비용을 모두 한국 정부에 전가시키기 위한 계략이었다. 국채보상운동은 이와 같은 차관의 이면..
2019.02.27 -
경주 景哀王陵(경애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73-1 [삼릉과 경애왕릉 사이의 작은 돌다리] 삼릉에서 오른쪽 숲길을 따라 조금 내려가면 작은 돌다리가 있다 이 돌다리 앞쪽 숲 사이로 경애왕릉이 보인다. [돌다리 쪽에서 담은 경애왕릉 옆 전경] 경애왕은 신덕왕의 아들로 성은 박씨이고 이름은 위응 형인 경명왕이 죽자 왕위를 이어 받게 되었다. 그가 왕위에 올랐을 때는 이미 신랑의 국운이 거의 기울어진 때였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후백제의 수차례 공격을 받았던 그가 고려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후백제를 견제하려 하였다. [景哀王陵(경애왕릉) 전경] 고려 왕건이 군사를 일으켜 후백제를 공격하게 되자 신라도 이에 군사를 원조하였다 그러나 후백제의 반격으로 왕건이 수세에 몰리게 되었고 이러한 틈을 타 고려의 원병이 도착..
2019.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