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182)
-
능성구씨시조 具存裕(구존유) 壇所(단소)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정리 산 71-1 [노거수와 재실 영모재 전경] 전라남도 화순군 綾城(능성)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시조는 具存裕(구존유)이며 관직은 고려에서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 檢校上將軍(검교상장군)에 이르렀다. [능성구씨 사적비와 홍살문 전경]] 그 후 2세 平章事(평장사)를 지낸 具民瞻(구민첨), 3세 門下左政丞(문하좌정승)을 지낸 면성부원군 具珚(구연), 등 많은 후손이 고려 조정에 계속 진출하여 가문의 명성을 높였다. 7세 文節公(문절공) 具鴻(구홍)은 조선의 개국에 협력하지 않고 은둔하여 고려 왕조에 대한 절의를 지켰다. [능성구씨 사적비] [홍살문과 능성구씨시조 구존유 단소 전경] 옛날에는 祠堂(사당)에 祭祀(제사)지내고 墓所(묘소)에 祭祀(제사)지내지 않았다...
2019.04.30 -
학포 梁彭孫(양팽손) 墓(묘)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재실옆 연못] [아랫쪽에서 담은 재실 솟을 삼문 전경] 墓所(묘소)는 雙峰(쌍봉)마을 입구를 들어가다 우측을 보면 산자락 아래에 齋閣(재실)이 있다. [재실 솟을삼문 앞쪽 주차장과 비석군] 이 재실이 學圃公(학포공)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재실 숙경문 앞 주차장안쪽으로 신도비와 헌금기, 영모재중수기 碑(비)가 세워져있다. [神道碑(신도비)] [獻金記(헌금기)] [영모재 중수기] [肅敬門(숙경문) 현판] [肅敬門(숙경문) 재실 솟을 삼문] 재실 솟을삼문인 숙경문은 닫혀 있어서 들어가지 못하고 숙경문만 담고 묘소로 가려다가 혹시나 하고 재실 옆 담을 따라 조금 오르니 재실로 통하는 협문이 열려 있었다. [재실 협문] 열린 협문이 반가웠지요. 문이 고장이 나서 수리중..
2019.04.26 -
金開南(김개남) 將軍(장군) 墓(묘)
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김개남 장군 묘소 전경] 116여년전 동학농민혁명을 이끌었던 3거두 지도자 중 한분이셨던 전라북도 태인 출생 김개남장군의 묘소에들리기 위해 집을 나섰다.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김개남장군 묘 옆쪽 묘] 안내판을 담는 사이에 남편이 묘소에 올라 폐철을 보고 있기에 난 옆쪽의 후손묘인지 아담한 묘소가 있기에 그곳부터 들려 묘와 묘주변의 풍경을 담았다. [묘비] 居士道康金公再鍊之墓(거사도강김공재련지묘)라 묘비에 새겨져 있다. 居士(거사) : 숨어살면서 벼슬을 하지 않는 선비. [묘앞 석물] 문인석도 무인석도 아닌 석물이 세워져 있었다. 석물의 모양이 신기해서 담아왔습니다. [좌우 望柱石(망주석)] 望柱石(망주석) 역시 다른곳과 달리 특이해서 담아왔습니..
2019.04.23 -
不憂軒(불우헌) 丁克仁(정극인) 墓(묘)
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산34 은석동 (칠보면 원촌1길 140) [재실(영모재) 전경]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賞春曲(상춘곡)'을 지은 정극인의 묘가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있다해서 찾아 나섰다. 최치원의 위패를 모신 무성서원은 잘 알아도 무성서원에서 가까운 정극인 무덤까지는 잘 찾지 않지만, 풍수를 하는 남편덕에 불우헌 정극인 묘까지 들리게 되었다. [재실(영모재) 솟을 삼문] 새벽일찍 출발해서 달려왔는데, 행여, 닫혀 있을까 조마조마 활짝 열어둔 대문이 반갑다. [永慕齋(영모재) 현판] 정면에서 담은 永慕齋(영모재)]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며, 가사문학의 효시로 꼽히는 '賞春曲(상춘곡)'을 비롯하여 '不憂軒歌(불우헌가)', '不憂軒曲(불우헌곡)' 등을 지은 불우헌 丁克..
2019.04.12 -
서애 유성룡 祖父(조부) 柳公綽(유공작) 묘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외량리 산10 [서애 유성룡의 조부 유공작 묘 전경] 柳公綽(유공작)은 본관 豊山(풍산) 자 裕裁(유재) 이조판서에 증직된 子溫(자온)의 아들이며, 서애 유성룡의 조부이다. 李亨禮(1448-1507)의 딸과 혼인하였다. [아랫쪽에서 담은 유공작 묘 전경]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蔭職(음직)으로 예빈시 주부, 사헌부감찰 등의 직을 거쳐 간성군수로 부임하여 전임 군수들이 어민들을 수탈해 피해가 극심하였는데, 류공작은 애민정신으로 어려움을 하나하나 해결해 칭송을 받았다 한다. [서애 유성룡의 조부 유공작 묘] 공은 사람됨이 근신하고 순박하여 간략하고 부지런해서 어머니를 섬겨 사사로운 뜻을 두지않고 여러 아우들과 함께 의복을 같이 하였다. [墓碑(묘비)] 아들 중영에게 가르치기를..
2019.03.30 -
절강장씨시조 張海濱(장해빈) 墓(묘)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대북리 357 [절강장씨시조 張海濱(장해빈) 墓所(묘소) 전경] 마을 입구 북산서원 표지판에 있는 건너편 둔덕위에 있는 묘소를 찾지 못하여 마을 안길 까지 들어갔다가 다시 되돌아 나오며 마침 경운기를 몰고 나오시는 분께 여쭈었더니, 앞서 갈태니 뒤따라 오라고 하셔서 그분의 도움으로 들려보게 되었다. 참 고마우신 분 감사의 인사를 드리긴 하였지만, 이곳을 빌어 다시 한번 더 감사를 드립니다. [恭人月城金氏之墓(공인월성김씨지묘)와 뒤 전경 전경] 시조 묘소 맨 아랫쪽에는 어느분의 묘인지는 알지 못하지만, 묘 앞에는 恭人月城金氏之墓(공인월성김씨지묘) 夫君浙江張公諱德信墓(부군절강장공휘덕신묘)라 적혀 있었다. [處士浙江張公諱敬言之墓(처사절강장공휘경언지묘)와 뒤 전경] [處士浙江張..
2019.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