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26일(12)
-
경주 景哀王陵(경애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73-1 [삼릉과 경애왕릉 사이의 작은 돌다리] 삼릉에서 오른쪽 숲길을 따라 조금 내려가면 작은 돌다리가 있다 이 돌다리 앞쪽 숲 사이로 경애왕릉이 보인다. [돌다리 쪽에서 담은 경애왕릉 옆 전경] 경애왕은 신덕왕의 아들로 성은 박씨이고 이름은 위응 형인 경명왕이 죽자 왕위를 이어 받게 되었다. 그가 왕위에 올랐을 때는 이미 신랑의 국운이 거의 기울어진 때였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후백제의 수차례 공격을 받았던 그가 고려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후백제를 견제하려 하였다. [景哀王陵(경애왕릉) 전경] 고려 왕건이 군사를 일으켜 후백제를 공격하게 되자 신라도 이에 군사를 원조하였다 그러나 후백제의 반격으로 왕건이 수세에 몰리게 되었고 이러한 틈을 타 고려의 원병이 도착..
2019.02.18 -
경주 拜洞三陵(배동삼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73-1 [삼릉 입구쪽 전경] 삼릉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바로 앞의 도로를 건너면 삼릉 입구이다. 이곳이 남산 메인 등산로이기도 하다. [삼릉 가는 길] [경주국립공원(남산지구) 안내도] [문화재와 함께하는 탐방 안내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된 경주 남산 일원 설명글] [경주국립공원 문화유산탐방로] 등산로 옆으로 남산 명소 사진이 걸러있다. 사진들을 보면서 걷다보면 얼마 지나지 않아 삼릉 입구 숲이 보인다. 사진소개는 어제 하였으니 오늘은 삼릉 소개를 하겠습니다. [삼릉과 남산으로 오르는 탐방길 전경] 주변 풍경에 취하거나, 저처럼 사진을 보거나 담다보면, 자칫 삼릉 입구를 놓치고 남산 정상까지 오를 수도 있으니, 삼릉으로 가려면 주의해야한다. [우측 삼릉 입구 전경]..
2019.02.16 -
삼릉 산책길 노천 갤러리 작품 展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경주국립공원 문화유산탐방로 길 전경] 남산을 대표하는 삼릉~금오봉 코스길을 접어들어 곧장 만나는 여기는 경주국립공원 문화유산탐방로 입니다. 라 적혀 있는 담벽의 글을 만났다. 조금 걷다보니 벽에 전시해 놓은 사진 작품이 눈에 확 들어온다. 그냥 갈 수 없죠. 삼릉 오르는 길에 담기 시작하였답니다. 삼릉~금오봉 산책길 노천갤러리 에서 만난 작품 소개를 해 드리겠습니다. [파랑새의 모성] [삼릉숲길] [가을소풍] [삼 릉] [칠불암 마애 불상군] [삼릉계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후투티의 육추]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 [경주 서출지] [삼릉계 제9사지 마애선각여래좌상] [칠불암의 설경] [삼릉계곡 선각여래좌상] [삼릉계 제6사지 선각여래좌상] [..
2019.02.15 -
奈勿王陵鷄(내물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4 [경주 향교 입구 쪽에서 담은 내물왕릉 전경] 사적 제188호. 내물 왕릉은 계림의 서쪽에 있다. 경주향교를 둘러본 후 향교 밖 좌측 안쪽에 있는 奈勿王陵鷄(내물왕릉)으로 향했다. [내물왕릉 입구 쪽 전경] 계림은 본래 始林(시림)이라 불리었으나, 脫解王(탈해왕) 때 흰 닭이 울고 금궤 안에서 옥동자를 얻은 다음 이렇게 불리었다는 전설이 있다. [내물왕릉 전경] 무덤의 모습은 땅 위에 둥근 봉분만 갖춘 신라 초기의 양식이며 근처에 있는 신라 13대 왕인 미추왕의 무덤과 같은 양식이다. 계림은 고목이 무성한 숲으로, 무덤의 동쪽에 있으며, 첨성대와 가까운 곳에 있다. [안내판 글 내용] [奈勿王陵鷄(내물왕릉)] 신라 17대(재위 356~402) 왕으로서 성은 김씨이며 ..
2019.02.08 -
慶州鄕校(경주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慶州鄕校(경주향교) 외삼문] 원래는 이곳을 통하여 향교로 들어가야하지만, 이곳은 향교의 큰 행사나 있을 때 열리는 곳이구요. 우측길 향교 담을 따라 걷다가 담이 꺾어지는 쪽으로 가면 또 다른 향교의 문이 있다. 이 문은 항상 개방되어 있으니 향교를 가시려면 이곳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경주향교 표석비] [慶州鄕校(경주향교) 현판] [慶州鄕校(경주향교) 출입문] [경주향교 배치도] [경주향교 안내글 내용] [향교 출입문에서 담은 전경] 일각문을 들어서자마자 관리사동 바로 앞에 신라시대의 우물로 추정되는 오래된 우물이 있다. 이 우물은 올해 실시되는 '우물포럼' 대상에 포함되는 등 그 역사적 가치가 학계의 주목을 끌고 있는 우물이라 합니다. [다시 담아본 우물 전경..
2019.02.07 -
경주 최부잣집(독립유공자 최준 선생 생가)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69 [입구쪽에서 담은 최부자집(국가민속문화재 제27호) 전경] [최부자집 솟을대문 우측 옆 안내판 전경] [경주 최부자댁 안내판 글 내용] [독립유공자 최준 선생 생가 안내판 글 내용] [관람시간 안내] [최부자집 솟을 대문] 솟을대문 형식을 취했으나 화려하지 않으며 수수하고 평범한 최부자댁 대문. 일반적인 솟을대문보다 낮게 지었다고 한다. 솟을대문 전경을 담아보려 하였지만, 한무리의 관광객들이 오래도록 머물고 있어서 우선 내부부터 둘러본 후 나오면서 담아야지 해놓고는 잊었다...ㅠ.ㅠ [대문안 좌측 경주 최부자집(중요민속자료 제 27호) 설명 글] [작은 사랑채 터] 불에 탄 작은 사랑채터는 주춧돌만 남아 있다. 이 주춧돌은 집을 지을 당시 반월성에 있던 왕궁기둥을 받..
2019.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