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10월1~2일(11)
-
순천만국가정원 꿈의 다리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풍덕동 610 [동쪽과 서쪽을 이어주는 꿈의 다리 입구] 꿈의 다리는 순천만국가정원만의 자랑스런 상징물로, 설치 미술가인 강익중씨가 일상에서 느껴왔던 유쾌한 시구를 그만의 독특한 서체로 1만 개의 모자이크 타일에 담아 외부에 표현한, 세계 최초의 물 위에 떠있는 175미터의 다리 미술관이라 한다. 다리의 외벽에는 강익중 작가님이 '내가 아는 것'을 주제로 한글로 유리타일에 그린 오방색 그림(50x50cm) 1만여점이 설치됐고, 세계의 어린이들이 꿈을 담아 보내온 그림(3x3in) 14만5천여점은 내벽을 장식하고 있다. [꿈의 다리 안내 글 내용] 꿈의다리 안으로 들어가면 세계 16개국 14만여명의 어린이들이 자신의꿈을 담은 그림이 벽전체에 전시가 되어 있다. 다양한 소재의 어린..
2016.10.28 -
순천만국가정원 紅鶴(홍학)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국가정원1호길 7(오천동) [슾지센터(물새놀이터)] 호수에는 수십마리의 홍학을 볼 수 있었다. 홍학이 날아오르기를 기다리며 비상하는 모습을 담고 싶었지만, 날아오르지 않네요. 아무리 기다려도 날지 않는 홍학. 큰 깃털 몇개를 부러뜨러놓아서 그렇다고 하네요...ㅠ.ㅠ 날지 못하는 홍학.. 나는 모습을 본 적이 없는 새끼 홍학들도 어미를 닮아 깃털을 부러트려놓지 않아도 아에 처음부터 날지 못하는 새처럼 살아간다합니다. 하긴 갇힌 공간이 아닌 자유로운 공간이니 행여 날아가서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까 염려 때문인것은 알겠지만, 그런 내용을 알고 사진으로 다시 보는 홍학의 모습은 왠지 모를 애잔함이 느껴졌다. 습지에 서식하며 아름다운 군무를 보여주는 홍학 쿠바홍학, 유럽홍학, 칠레홍학, ..
2016.10.27 -
2016년 순천만국가정원 정원산업디자인전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남승룡로 66 (오천동) 순천시가 순천만국가정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2016순천만국가정원 산업디자인전’을 9월 30일부터 10월 16일까지 국가정원 및 도심일원에서 개최하였다. 다행히 제가 산업디자인전 기간중에 들렸기에 둘러볼 수 있는 영광을 얻었지요.^^ 순천만국가정원 산업디자인전은 단순한 전시와 연출 위주의 페스티벌이 아닌 정원과 산업, 문화, 디자인에 중점을 두었다 한다. [조각상 떼뜨 제앙트] 순천만국가정원 국제습지센터 1층 실내외에 펼쳐진 크리에이티브 가든 쇼에선 멘디니를 비롯해 세계적인 디자이너의 작품과 유명 디자인회사의 정원 관련 제품을 함께 볼 수 있게 꾸몄다 한다. 알섹산드로 멘디니 하면, 생활용품 속에 예술적 가치를 불어 넣는 세계적인 디자이너라 합니..
2016.10.26 -
1박 2일 여행 둘째 날 낙안읍성내 자료전시관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자료전시관 전경] [자료전시관 현판] [자료전시관 출입구] [전시실 전경] 조선시대 읍성 중 보존이 잘 되어 있는 순천의 낙안읍성 민속마을 내에는 읍성의 역사와 사람들의 생활상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낙민관 자료전시실이 자리하고 있다. [임경업 장군 추모제 모습] 1626년 5월 낙안군수로 부임하여 많은 선정을 베풀었던 임경업장군의 덕을 기리기 위해 정월 대보름에 추모제를 지내는 모습 [전시실 내부] [갑옷과 투구] 이 두정 갑주와 투그는 임경업 장군 추모제 때 제관들이 입었던 옷과 투구로 조선시대의 것으로 추정한다 합니다. [효자. 효부] 효는 백행의 근원이며, 만덕의 근본이라 하여 우리 전통사회에서는 가장 높은 덕목으로 여겼다. 낙안읍성에는 역사만큼이나, 효자와 효..
2016.10.19 -
1박 2일 여행 둘째 날 樂民樓(낙민루)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서내리 [樂民樓(낙민루) 현판] [정면에서 담은 樂民樓(낙민루) 전경] '민초들의 즐거움을 위한다'는 뜻의 樂民樓(낙민루) 조선 헌종때 군수 閔重憲(민중헌 1845~1846)이 중건, 또는 趙溶鉉(조용현)이 중수하였다고 전해 내려온다 한다. 남원의 廣寒樓(광한루), 순천의 燕子樓(연자루)와 더불어 호남의 명루로서 1924년 일부분을 수리를 하였다고 한다. 오랜 세월 낙안 군민과 함께 희로애락을 나눈 루각 이었으나 여순 병란 당시 좌익들에 의해 지서가 소실되어 樂民樓(낙민루)에서 임시 경찰 업무를 수행하던 중 6. 25가 나자 공산군들이 낙민루를 불태우고 말았다. 그 후 1984년부터 복원하기 시작하여 3년 만에 복원공사가 끝났다. [뒤쪽에서 담은 樂民樓(낙민루) 전경] ..
2016.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