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층 13전시실(11)
-
제7회 土民(토민) 전진원 개인전 2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 [대구문화예술회관 2층 13전시실 출입구 전경] 전시기간 2019. 10.1(화)~ 10. 6(일) 대구문화예술회관 2층 12, 13전시실에서 개최되었습니다. 12전시실의 작품을 소개를 해 드렸으니 오늘은 13전시실 작품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출입구에서 담은 전시실 내부 전경] [전시실 좌측 전시된 작품 전경] [鏡虛禪師詩 / 70x180cm] 一默禪心淸 / 잠깐동안 참선해도 마음이 맑아져 對物最分明 / 일을 판단함이 가장 분명하다 猶如風過竹 / 바람이 대숲을 지나는 것 같아서 竹中不溜聲 / 대숲에 바람소리 남아 있지 않네. [逐鹿者不顧兎 / 35x135cm] [勤儉謙和 / 72x33cm] [壽富康寧 / 72x34cm] [愼獨 / 62x114cm] [隨處爲主..
2019.11.18 -
대구 미래서예 공연전 가家好호 展 2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 [대구문화예술회관 2층 13전시실 출입구 전경] [13전시실 내부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담현 권상희 / 節臨 北魏石門銘 / 180x140cm] 담현 권상희 칙센트미하이에 따르면 '몰입'은 무언가에 흠뻑 빠져 있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그는 몰입했을 때의 느낌을 '물 흐르는 것처럼 편안한 느낌', 하늘을 날아가는 자유로운 느낌이라고 했다. 일단 몰입을 하면 몇 시간이 한 순간처럼 짧게 느껴지는 시간개념의 왜곡현상이 일어나고 몰입대상과 하나가 된 듯한 일체감을 가지며 자이에 대한 의식이 사라진다고 한다. 이러한 몰입을 통하여 내가 갖고 있는 능력의 최대치를 경험해 보는 것. 그리고 그 한계를 확장 해 나가는 일을 꾸준히 하고 싶다. 는 이 碑에 대한 심미적..
2019.01.12 -
제27회 매일 서예문인화 대전 3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 [대구문화예술회관 2층 13전시실 출입구 전경] 제27회 매일 서예문인화 대전이 대구문화예술회관 2층 11전시실~13전시실에서 개최한 작품 소개를 오늘은 마지막 13전시실 작품소개로 마칠까합니다. [13전시실 내부 출입구 좌측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特選 / 康善愛 / 崔益鉉先生 詩] [特選 / 郭泰天 / 常建先生 詩] [13전시실 내부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特選 / 李鐘淑 / 遁村先生 詩] [特選 / 尹媛義 / 退溪先生 詩] [特選 / 金大一 / 退溪先生 詩] [特選 / 趙道顯 / 崔滋先生 詩] [13전시실 내부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特選 / 吳海榮 / 蘇東坡 詩] [特選 / 朴春河 / 夏畫偶作] [特選 / 李鐘憲 / 春日訪金上舍 不?] [特選 ..
2018.12.24 -
제23회 대구예술대학교 서양화과 졸업작품집 2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 [제23회 대구예술대학교 서양화과 졸업작품집 포스터 편집] [문화예술회관 2층 13전시실 출입구 전경] 어제는 12전시실 오늘은 13전시실에 전시되고 있는 제23회 대구예술대학교 서양화과 졸업전시 '불멸의 역작' 작품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박이현 코너 전시된 작품 일부 전경] [박이현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박이현 작품] [박이현 / Prism / 캔버스에 혼합재료 / 162.2×112cm×2 / 2018] [박이현 작품] 하루의 끝과 72시간의 감정 (글 / 박이현) [이주영 코너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이주영 작품] [이주영 / Alive / 캔버스에 혼합재료 / 95.4×324.4cm / 2018] [이주영 작품] [이주영 / Alive / 캔버..
2018.12.13 -
2018대구사진비엔날레 초대전(대구사진사시리즈 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187 [대구사진사시리즈 1 포스터 전경]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사진사시리즈 1 / 13전시실 입구 전경] [대구사진사 연대기 약력이 상세히 적혀 있는 안내문과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참여작가의 사진 page로 편집] 좌측 첫번째 강영호 작가의 작품과 그 다음 김재수 작가의 전시된 작품부터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강영호(Kang Youngho) / 1928~1989) / 전시된 일부 작품 전경] 1952년 최계복에 의해 설립된 한국사진전문학원에서 1953년부터 사진과학 강의를 맡으면서 사진 교육자로 출발했다. 동시에 그는 우리나라 환경방사능계의 권위자로서 경북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임하였다. 그는 자신의 사진집에서 "최계복, 안월산, 김원영의 사진적인 영향과 ..
2018.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