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천면(3)
-
능선구씨 시조 壇(단) 앞 노거수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정리 산 71-1 난 참 이상하게도 노거수를 보면 그냥 지나치니 못한다. 보는 순간 가슴이 먼저 반응을 한다. 많은 곳을 답사 다니면서 만난 노거수 그들이 들려주는듯 귀를 기울이며 발걸음을 떼지 못할 때도 있다. 오늘은 능성구씨 시조 제단 앞쪽 느티나무(노거수)에 필이 제데로 꽂혔다. 시간도 없는데... 머뭇거리는 나를 곱지 않은 시선을 등 뒤로 느끼면서도 모른척 서둘러 담아 온 노거수와의 얘기를 들려드릴까 합니다. 능선구씨 시조 제단 앞 수문장 처럼 서 있는 노거수(느티나무) 2그루 숫한 세월을 보내오면서 영광의 역사도 아픔의 역사도 함께 하였겠지요. 제가 본 것 아니지만, 알아본 결과를 털어놓을까 합니다. 능성 구씨는 고려와 조선에 걸쳐 유력 가문이었다. 조선시대에는..
2019.05.03 -
호남 8대 명당 具民瞻(구민첨) 墓(묘)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정리 산 71-1 [묘소 오르는 길] 具民瞻(구민첨) 묘소는 始祖墓(시조묘)에서 우측으로 가파른 능성을 타고 올라가면 상하 雙墳(쌍분)으로 夫婦(부부) 묘가 있다. [입구쪽에서 담은 묘소 전경] 호남 8대 명당중 하나이며, 선녀가 하늘로 올라가는 곳 이라는 뜻을 가진 天女登空形(천녀등공형)이라 합니다. [쌍분 묘 아래쪽 좌우 망주석] [우측에서 담은 아랫쪽 부인 묘 / 윗쪽 구민첨 묘 전경] 綾城具氏(능성구씨) 具存裕(구존유)의 아들 具民瞻(구민첨)은 高麗(고려) 때 문과에 급제하여 全州(전주) 고을의 司錄叅軍(사록참군) 등 平章事(평장사)를 지내는 등 후손들이 고려 조정에 계속 출사하여 가문의 명성을 높였다. [부인 묘비] 묘비에는 沔川卜氏之墓(면천복씨지묘)라 새겨져 ..
2019.05.02 -
능성구씨시조 具存裕(구존유) 壇所(단소)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정리 산 71-1 [노거수와 재실 영모재 전경] 전라남도 화순군 綾城(능성)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시조는 具存裕(구존유)이며 관직은 고려에서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 檢校上將軍(검교상장군)에 이르렀다. [능성구씨 사적비와 홍살문 전경]] 그 후 2세 平章事(평장사)를 지낸 具民瞻(구민첨), 3세 門下左政丞(문하좌정승)을 지낸 면성부원군 具珚(구연), 등 많은 후손이 고려 조정에 계속 진출하여 가문의 명성을 높였다. 7세 文節公(문절공) 具鴻(구홍)은 조선의 개국에 협력하지 않고 은둔하여 고려 왕조에 대한 절의를 지켰다. [능성구씨 사적비] [홍살문과 능성구씨시조 구존유 단소 전경] 옛날에는 祠堂(사당)에 祭祀(제사)지내고 墓所(묘소)에 祭祀(제사)지내지 않았다...
2019.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