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릉답사(13)
-
조선, 6대 端宗陵(단종릉) 莊陵(장릉)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190 사적 제196호(세계문화유산 등재) [장릉 안에서 정문을 보고] 영월은 어딜 가나 단종의 고혼과 충신들의 넋이 발길 닿는 곳마다 서리지 않은 곳이 없다. 단종의 유배지인 청령포와 사약을 받고 승하한 관풍헌,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시를 남겼던 자규루, 마지막 자리인 단종이 묻힌 장릉 그의 능까지 왔다. [朴忠元旌閭閣(박충원정여각)] 영월 장릉 경내 입구에 들어서면 맨 처음 오른쪽으로 보이는 것이 바로 낙촌비각이다. 영월군수이던 낙촌 박충원이 노산묘를 찾은 일에 대한 사연을 기록한 기적비각이다. 이 비각은 박충원의 충신됨을 후세에 널리 알리기 위하여 1972년에 세운 것이다. 충신 박충원은 중종26년(1531) 文科(문과)에 급제하여 文景公(문경공) 시호를 받았..
2016.04.21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興德王陵(흥덕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42 사적 30호 [왕릉 가는 길 솔숲] 신라 제42대 興德王(흥덕왕, 826~836 재위)의 본명은 金秀宗(김수종), 景徽(경휘)이며, 제41대 헌덕왕의 아우이다. 아버지는 원성왕의 큰 아들인 惠忠太子(혜충태자) 仁謙(인겸)이며, 어머니는 聖穆太后 金氏(성목태후 김씨)이다. 妃(비)는 소성왕의 딸인 章和夫人 金氏(장화부인 김씨)인데, 즉위한 해에 죽으니 定穆王后(정목왕후)로 추봉되었다. [왕릉가는 길 솔숲 2] 즉위 후 당나라 文宗(문종)으로부터 신라왕에 봉해졌으며, 828년 대아찬 金祐徵(김우징)을 시중으로 삼았다. 그해 張保皐(장보고)를 淸海鎭大使(청해진대사)로 삼아 해적의 침입을 막았다. 사신으로 당나라에 갔다 돌아온 金大廉(김대렴)이 茶(차)종자를 가지..
2016.02.11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崇信殿(숭신전)과 昔脫解王陵(석탈해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350-7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 255호 [崇信殿(숭신전) 전경] 광무 2년(1898)에 군수 권상문이 신라 제4대 임금인 탈해왕의 제사를 모시기 위해 세웠다. 1906년부터는 신라의 3성 시조 임금(박, 석, 김)을 같이 모셨고 이때부터 '崇信殿(숭신전)'이라 불렀다. 처음 지을 때 월성 안에 있던 것을 1980년 월성 안의 민가 철거와 함께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으며 봄, 가을과 춘분, 추분에 걸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안내판 글 내용] [新羅昔脫解王碑閣(신라탈해왕릉비각)] 1921년에 세운 '新羅昔脫解王碑銘(신라석탈해왕비명)' 이라는 비와 비각이 있다. [新羅昔脫解王碑(신라탈해왕릉비)] 비의 내용은 金允植(김윤식)이 짓고 글씨는 尹用求(윤용구)가, 전서는 崔鉉弼..
2016.01.30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法興王陵(법흥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효현동 산 63 사적 제 176호 [法興王陵(법흥왕릉)과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좌측에서 담은 法興王陵(법흥왕릉) 전경] 지금의 법흥왕릉은 1966년과 1968년 도굴되었던 봉분을 복원한 것이며, 다른 왕릉에 비해 작은 규모이지만, 봉분주위에 호석을 두른 흔적이 남아 있어신라왕릉에 관한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한다. 신라 최초의 독자적인 年號(연호)를 사용하였으며, 법흥왕 15년(528)에는 불교를 공인하고 국교로 정하였다. 주변에는 소나무숲이 울창하나, 신라에 많은 업적을 남긴 왕의 능으로서는 매우 빈약한 편이다. [정면에서 담은 法興王陵(법흥왕릉) 전경] '三國史記(삼국사기)'에는 '왕이 돌아가시니 諡號(시호)를 법흥이라 하고, 哀公寺(애공사) 북쪽 봉우리에 ..
2016.01.29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善德女王陵(선덕여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산 79-2 사적 제 182호 [입구쪽 안내 팻말과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선덕여왕 표석비] 신라 제27대 善德女王(선덕여왕, 재위 632-647)은 본명이 德曼(덕만)이며 眞平王(진평왕)과 어머니 摩耶夫人(마야부인)의 딸로 신라 최초의 여왕이다.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和白會議(화백회의)에서 그를 왕위에 추대하고 聖祖皇姑(성조황고)란 호를 올렸으니 그 해가 바로 당 태종 6년이다. [솔숲 사이로 보이는 선덕여왕릉 전경] 재위기간에는 唐(당)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내정에 힘썼다. 634년에 年號(연호)를 仁平(인평)으로 고쳤다. 慈藏法師(자장법사)의 청에 의해 645년에 龍寺九層塔( 황룡사구층탑)을 세우고, 芬皇寺(분황사)와 瞻星臺(첨성대)를 건립하..
2016.01.28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眞平王陵(진평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608 사적 제 180호 [주차장에 세워져 있는 안내판 글 내용] [나무테그 다리] 주차장에 차를 주차한 후 진평왕릉으로 가려면 이 다리를 건너야한다. 눈내린 그 다음 다음날인대도 음달진 곳에는 아직 녹지 않은 눈이 하얗게 쌓여 있었다. [진평왕릉 가는 길] 眞平王(진평왕, 재위 579년~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임금이다. 성은 金(김), 휘는 白淨(백정). 중국측 사서에는 眞平(진평)으로 기록되어있다. 아버지는 진흥왕의 태자인 銅輪(동륜)이며, 어머니는 立宗葛文王(입종갈문왕)의 딸인 萬呼夫人金氏(만호부인김씨)이다. 先妃(선비)는 福勝葛文王(복승갈문왕)의 딸인 摩耶夫人金氏(마야부인김씨)이고, 後妃(후비)는 僧滿夫人孫氏(승만부인손씨)이다. [노거수] '三國史記(삼국사기..
2015.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