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군(4)
-
朴淵(박연) 墓所(묘소)
소재지 :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산 49-1 [景蘭齋(경난재) 전경] 박연선생의 재실(재각) 이곳에서 우측 산길을 700m쯤 오르면 묘소가 있다. [경난재 안내글 내용] [묘역 아래쪽 비석군] [大提學文簡公朴先生神壇碑(대제학문간공박선생신단비)] [묘소 안내판 글 내용] [박연 선생 묘 전경] 朴堧(박연, 1378~1458) 초명 然(연). 자 坦夫(탄부), 호 蘭溪(난계). 아버지 天錫(천석)은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어머니는 경주 김씨로 통례문부사 金珸(김오)의 딸이었다. 부인은 礪山宋氏(여산 송씨)로 판서를 지낸 宋贇(송빈)의 딸로 자녀는 3남4녀를 두었는데 맏아들 孟愚(맹우)는 현령을 지냈고, 둘째아들 仲愚(중우)는 군수를 지냈으며, 막내아들 季愚(계우)는 박팽년 등 사육신들의 단종 복위사건..
2016.08.26 -
蘭溪祠(난계사)
소재지 :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515 충청북도 기념물 제8호 [난계사 팻말] 충북 영동 읍내에서 4번 국도를 타고 옥천 쪽으로 달리다 금강다리(고당교)를 건너면 오른쪽에 난계사가 있다. [홍살문] 우리나라 3대 樂聖(악성)중 한 분이신 蘭溪(난계) 朴堧(박연). 난계사는 난계의 영정을 모시는 사당으로 1973년에 세웠다. 입구 좌측에 난계의 동상과 비가 방문객을 맞이하고 있으며, 입구부터 사당의 외삼문까지의 길 양옆은 조경이 잘 되어 있다. [난계 박연 동상] [내삼문 전경] 난계사의 외삼문은 영당의 정문으로 정면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의 형태이다. [안내판 글 내용] [내삼문] 외삼문을 들어서면 내삼문이 막아서고 있다. 외삼문과 내삼문의 사이의 공간에는 잔디밭과 배롱나무, 향나무, ..
2016.08.25 -
蘭溪國樂博物館(난계국악박물관)
소재지 :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519-1 [蘭溪國樂博物館(난계국악박물관) 전경] 우리나라 3대 악성에 속하는 난계 박연의 뜻과 업적을 기리고 국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전시하고 보존하기 위하여 2000년 9월 23일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에 개관하였다. 1∼2층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1층에는 국악실과 난계실, 영상실 등이 있고, 2층에는 정보검색코너와 국악기체험실이 마련되어 있다. 박물관으로 들어가기 전 직원에게 사진을 찍어도 되냐고 여쭈었더니, 흔쾌히 허락하셨다. [난계 박연선생 조각상] 이 가운데 국악실에는 가야금을 비롯한 현악기 14종과 타악기 37종, 관악기 19종 등 100여 종의 국악기와 국악 의상이 전시되어 있다. [난계의 삶] 朴堧(박연, 1378~1458) 初名(초명)..
2016.08.24 -
蘭溪(난계) 生家(생가)
소재지 :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308 [蘭溪朴堧生家(난계박연생가) 전경] 우리나라 3대 樂聖(악성)에 속하는 蘭溪(난계) 朴堧(박연). 本貫(본관)은 密陽(밀양). 시호는 文獻(문헌) 初名(초명)은 然(연)이었고, 堧(연)은 후에 개명한 것이다. 字(자)는 탄보이고, 호는 蘭溪(난계)이니, 박연은 바위틈에 날렵히 피어난 고고한 蘭草(난초)의 자태에 매료되어 자신의 호를 蘭溪(난계)라고 했다. [우진각(생가 안 기와집)] 고려 우왕 4년(1378) 8월 20일 삼사좌윤 박천석의 아들로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에서 태어났다. 태종5년(1405년)인 28세에 생원이 되었고, 34세(1411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교리, 관습도관제조, 악학별좌, 대제학 등을 역임후 세조 2년(1456년)에 삼남 계우..
2016.08.23